• Title/Summary/Keyword: District unit plan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5초

비오톱 지도를 토대로 한 경관생태계획 모형개발과 적용 - 대규모 택지개발 예정지를 대상으로 -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andscape Ecological Planning Model based on Biotop Mapping - A Case study of Large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Area -)

  • 나정화;조현주;김진효;권오성
    • 농촌계획
    • /
    • 제19권4호
    • /
    • pp.17-32
    • /
    • 2013
  • Reckless development policy, which has continued during the past several decades, caused landscape damag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very urgent to conserve the habitat and to establish systematic database. Recently, various researches related to landscape damage have been conducted actively and the necessity of landscape ecological planning based on the biotop mapping has been issued as one of the solu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study area, which is located in Guji-meon, Dalseong-gun, Daegu and will be formed into Daegu Science Park, and then to develop and apply the landscape ecological planning model based on biotop mapping in district uni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st of al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biotop classification with field survey and literature review, total 13 biotop and total 63 biotop typ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irst evaluation with B-VAT, total 19 biotop types were classified I grade including natural river with abundant plants(BA) and so on. While V grade, which has lowest value, was classified 16 biotop types including vegetable garden adjacent to river(BC). Also the second evaluation, we analyzed total 30 areas such as 1a, 1b grades, which had special meaning for the conservation of species and biotop. Next, 2a, 2b, 2c grades were analyzed total 82 areas. Secondly, in the compliance with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we divided landscape planning model into two parts such as setting of improvement goal and detailed implement plan. For instance, setting of improvement goal, we classified 9 parts such as conservation region and parts of detailed implement plan, we classified total 28 planning indicators with 4 view such as the region which should be special protected from nature and landscape. Lastly, with the developed landscape model we applied to research areas, made maps, and differentiate proposals in each region. Specially, the final master plan was made to help understand the contents of detailed landscape planning. This study will be a useful data, which can solve the landscape damage problem systematically and control it landscape-friendly with biotop classification, evaluation, landscape ecological planning model, and application method which we developed.

친환경시범마을의 LID 적용에 따른 물순환 효과 및 비용편익 분석 (Analysis of Effectiveness for Water Cycle and Cost-Benefit according to LID Application Method in Environmentally-Friendly Village)

  • 백종석;이상진;신현석;김형산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7-66
    • /
    • 2018
  • Water disasters such as flash floods and inundation caused by localized heavy rainfall in urban areas have a large impact on climate change but are also closely related to the increase in impervious areas as pointed out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It is difficult to secure natural green areas in urban areas that have already been developed. So, urban regeneration can be expected using water management optimized with technologies to secure infiltration and storage capacity such as Low-Impact Development technology. In this study, the water cycle improvement ability was confirmed by applying the LID technology within the district unit plan of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village, and the economic feasibility of LID application was analyzed by estimating the costs and benefits of installing the facilities. The site was planned to conserve sufficient green and plans for securing the watershed infiltration and storage capacity were formulated with the application of additional LID technology, such as infiltration trenches, rain barrels and permeable pavements. The LID design method applicable to the site was established, and the water balance of the watershed was analyzed through simulations of the SWMM model. The water circulation improvement effect was confirmed through the water balance analysis, and the cost-benefit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stimation method, and the economic analysis was conducted.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investment of LID technology is economically feasible for the hydrological improvement effect of the housing complex.

세종시 신설 초등학교의 학교규모와 배치특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Site Planning and Size of Newly-Built Elementary Schools in Sejong City)

  • 송병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357-366
    • /
    • 2016
  • 본 연구는 세종시 신설 초등학교의 학교규모와 배치계획의 개선점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24개 학교를 대상으로 교지면적, 학교규모, 외부공간 구성비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초등학교 50학급 이상의 규모계획은 병설유치원 포함 48학급 이하로 조정이 필요하며, 학교규모 산정시 학생 수가 아닌 학급 수에 따른 기준을 적용해 교지면적 대비 적정 학급 수를 유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교지 대비 교사면적은 평균 24.6%로 타 시도대비 높게 나타나고 체육장은 19.9%로 낮게 나타남으로 교사면적 비율을 20%대 초반으로 낮추어 체육장을 비롯한 외부공간의 구성비를 높여야 한다고 판단된다. 아울러 교지면적과 학교규모 산정시에 지구단위계획, 교지의 특수성으로 손실되는 면적을 고려하여 배치가능 면적과 외부공간으로 활용 가능한 면적을 구분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건축행위 유형별 필지의 공간적 특성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s of Parcel by Type of Building Construction)

  • 김기중;김동준;이승일
    • 국토계획
    • /
    • 제54권6호
    • /
    • pp.27-4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arcels in which building construction occurred. In recent, urban development patterns in Korea have been shifting from the past. Small-scale development at parcel level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accordance with individual location needs in the low-growth era unlike public lead large-scale urban development in the rapid growth peri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arcels where small-scale development takes place for future urban development management. This study used the chi square independence test, t-test and ANOVA (analysis of variance) to identif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re is a spatial characteristics difference not only between building construction and non-building construction parcels, but also by type of building construction. The parcel where the building construction occurred have a higher proportion in detached house, major commercial districts, district unit planning areas, and commercial areas. In addition, it is caused by parcels, which are large scale and economically valuable, and are influenced by traffic factors such as urban centers and subway accessibility. As a result of each type of building construction, the parcels where the building use change occurred have spatial characteristic difference compared to other building construction, whil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re similar between the new construction/extension and new construction/extension with change of use. Based on this results, it will be possible to identify areas with high demand for small-scale development in the future and to utilize them for planning management of urban development. Furthermore, it will be possible to manage development demand by type of building construction, and to prepare differentiated plans considering the appropriateness of development plan, availability of infrastructure, and harmony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토지이용을 고려한 주차분석존(Parking Analysis Zone) 기반 주차 공급 및 운영 계획 모형 (PAZ-based Parking Supply and Operation Planning Model Considering Land Use)

  • 유정훈;허겸;류인곤;전교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5호
    • /
    • pp.659-669
    • /
    • 2022
  • 최근 주차문제는 구도심의 주택지역에서만이 아니라 계획도시인 신도시의 점포겸용 단독주택지, 근린생활시설, 상업지역 주변 등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주차문제를 신도시 지구계획 단계에서 검토하여 신도시 건설 전에 주차문제를 최소화하는 전략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주차문제는 공급기반과 운영기반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원인에 따른 해결전략을 공급 및 운영측면에서 검토하여 효과성과 적용용이성의 정도에 따라 해결전략 적용 절차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차문제 검토 단위를 보다 세분화하는 PAZ (Parking Analysis Zone)를 분석 기초 단위로 제안하였으며, 하남 교산지구 토지이용계획을 기본으로 공급기반 주차난 우려지역을 검토하고, 하남 교산지구에 맞게 수립된 적용 절차에 따라 해당 PAZ별 주차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20세기 초 한성부 종로 주변 시전 건물의 공간구조와 특징 (The spati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ijeon around Jongno in Hanseong-bu(漢城府) in the Early 20th Century)

  • 정수인;한동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31권1호
    • /
    • pp.7-17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the shape of The Sijeon (Licensed-Markets) established around the Jongno and Namdaemun-ro Avenues in Hanyang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and the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the urban structures of Hanyang City. By investigating the excavation results of the Cheongjin and Gongpyeong areas, drawings, photos, and documentary records related to the city, this study classified the building types in the Jonggak area. As a result, since the 19th century, the basic form of Sijeon with 2 Gan(間, bay) in the front facade and 3 Gan(間) on the side, in other words, 5M in the front and 8M in the side was arranged in parallel, and it was a type with a corridor-type courtyard inside. The inner sides of Jongno Avenue had an atypical flat shape that suited the more free lot, and a courtyard-type plan with a single entrance was also confirmed in the one or two Bang(房, district). This study reflecte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Sijeon buildings b between the one unit and the other units, which affected the internal spatial structures, and it found that the size and style of the Sijeon buildings were closely relevant to the size of the lots near Jongno Avenue.

대전시 상업지역 주거복합건축물 사례 분석을 통한 관리방안 연구 (A Study on Management Plans through Case Analysis of Residential Complexes in Commercial Areas in Daejeon)

  • 류경수
    • 지역연구
    • /
    • 제39권2호
    • /
    • pp.63-76
    • /
    • 2023
  • 최근 대도시 상업지역 내 주거복합건축물의 입지로 인해 도시기능이 상업기능에서 주거기능으로 전환되고 있다. 대전광역시 상업지역 내 용도용적제를 개선하기 위해 특·광역시의 제도를 비교분석하고, 사업대상지 8개소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주거복합건축물의 용도 분류의 명확화, 둘째, 상업지역의 기능 상실에 대한 도시 계획적 불균형, 셋째, 개발밀도의 차이로 도시환경의 훼손이다. 이에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주거기능과 용도복합의 비율을 최소 10% 이상 확보하고, 둘째, 다양한 용도와 기능을 융·복합화된 시설을 유도하여 도시경쟁력을 확보하고, 용도용적제 폐지를 통한 공동주택의 일괄적인 용적률을 적용하며, 셋째, 지구단위계획 수립 및 자문을 통한 개발밀도를 제시하였다.

도시 내 구조고도화 산업단지와 연접지역의 이질적 도시 공간 특성 연구 (The study of Dissimilar Urban Spac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Structure-advanced Industrial park area within the city and the Adjacent Spaces)

  • 최형구;김원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617-7628
    • /
    • 2015
  • 산업단지는 1960년대부터 우리나라의 경제성장과정에서 기업의 공간적 집적을 통한 수출선도와 산업경쟁력강화에 큰 기여를 해왔다. 하지만 노후산업단지가 증가하였고, 이에 산업단지의 효율적인 재생을 통하여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부각되었으며,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산업단지인 구로공업단지는 산업단지 구조고도화사업을 통하여 첨단산업단지로 변모하게 되었다. 그러나 국지적인 변화속에서 이루어진 산업단지 구조고도화사업은 산업단지와 주변지역을 유리시키게 되었고, 건축적 공공성 확보 측면에서 산업단지는 도시에 속하지 않는 외딴 섬처럼 보이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조고도화사업의 대표적 성공사례인 서울디지털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산업단지와 접해 있는 연접지역을 대상으로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고, 도시 맥락적 측면에서 내재되어 있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방안으로 이질적 도시공간 조성을 지양하고 도시맥락적 단절을 해소하기 위해서 경계에 대한 장소만들기적 접근이 필요하고, 이를 위하여 지구단위계획 관련 법제적 개선을 통해 산업시설구역을 지구단위계획으로 지정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미세먼지 저감대책으로서 바람길 적용 방안 : 세종시를 대상으로 (Application of Ventilation Corridor to Mitigate Particulate Matter for the Sejong-Si)

  • 남성우;성선용;박종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내륙 분지에 위치하여 대기 정체율이 높은 세종시를 대상으로 미세먼지의 저감을 위한 바람길의 적용방안을 도출하고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도시내 바람길의 도입을 위해서는 첫째, 신도시 건설에 따른 신선한 대기의 변화 흐름을 파악하고 둘째, 도시공간에서 바람길을 확보함으로써 대기순환을 촉진해야 함을 밝혀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산유체역학모형을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시 건설 전과 후의 탁월풍의 풍속, 풍향 변화와 일몰 후 생성된 시원한 공기가 낮은 지대를 따라 흐르는 특성이 분석되었다. 이와 더불어 블록단위에서 바람길과 순응하는 건축물을 배치 시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시 가능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 숲, 골짜기에서 내려오는 신선한 공기가 도시 안으로 원활히 유입, 분산되어 미세먼지 농도를 낮출 수 있도록 바람 통로를 조성하고, 적절한 건축물 배치계획을 수립한다. 둘째,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지역에는 공원, 광장, 놀이터 등 공공시설들을 우선적으로 설치하여 미세먼지로부터 안전한 옥외활동을 유인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지구단위계획 등 도시계획 수립 과정에서 바람길 분석을 통해 최적의 대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뉴타운 사업 지구내 가구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시 서·금사재정비촉진지구를 중심으로-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in the Seo·Geumsa Newtown Project)

  • 최재영;남광우;이석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52-163
    • /
    • 2009
  • 본 연구는 부산시 서 금사재정비촉진지구를 대상으로 재정비촉진계획 수립과정에서 가구별 사업에 대한 이해도, 찬반 및 재정착 의사와 관련된 요인 등을 중심으로 가구특성 파악 및 유형화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통단위의 공간분석단위를 설정함으로써 대규모의 개발대상지를 세분화하여 각 특성요인 별 비교분석과 세분화된 지역별 특성을 활용한 소규역 유형화를 통해 대상지의 세부사업구역 설정 및 촉진계획수립과정에 보다 많은 주민의견과 이해를 공간위치와 함께 체계화된 정보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사업 지구내 가구특성 및 유형별 분석결과는 첫째, 지구차원의 특성, 둘째, 찬반요인과의 상관성 분석, 셋째, 지구내 세부지역간의 차별성 분석의 세 단계로 분석되었다. 더불어 전체적인 지구내 가구특성과는 다른 특성을 보이는 지역들을 찾아내고 그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이변량 단계구분도 작성 및 군집분석 등을 실시하여 통 단위로 분석된 가구 특성을 바탕으로 특징적인 세부 지역들을 도출하여 그 공간위치와 함께 지구내 분포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