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ribution of Fishes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23초

남동대서양 파타고니아이빨고기(Dissostichus eleginoides)의 분포 (Distribution of Patagonian toothfish(Dissostichus eleginoides) by bottom longliner in the southeastern Atlantic Ocean)

  • 김두남;김영승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4권4호
    • /
    • pp.304-311
    • /
    • 2008
  • Patagonian toothfish(Dissostichus eleginoides) was investigated in the southeastern Atlantic Ocean during the period of 19 March to 7 July 2007 by commercial bottom longliners. The number of 116 hauls were carried out individually in this study area by two bottom longliners during 111 days. The total catches were 89,559kg(9.91kg/100hooks) and 66,758kg(7.38kg/100hooks), respectively. Most Patagonian toothfishes were caught on the $46-48^{\circ}S$, $6-11^{\circ}E$ of southeastern Atlantic Ocean. Patagonian toothfish comprised 67.01-92.49%(by weight) of the catches in the southeastern Atlantic Ocean. No Antarctic toothfish (Dissostichus mawsoni) was caught during the surveys. Patagonian toothfish was found throughout the experimental area, but the density was considerably greater in the layer of 1,300-1,900m, where 49.88% of the fishes were caught. Smaller fishes were generally distributed to the shallow waters and larger fish were more frequently caught with the depth. Mean size of Patagonian toothfish increased with depth of capture. Accordingly economically profitable fishing activities for the Patagonian toothfish fishery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size distribution of the Patagonian toothfish by depth.

원격어군탐지기의 시작 및 그 응용에 관한 연구 -II -낭장망 입망어군의 원격관측- (Studies on the Trial Manufacture of Telesounder and its Application (2) - Remote Observations of Fishes Entering in the Gape Nets With Wings -)

  • 이원우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1권1호
    • /
    • pp.54-62
    • /
    • 1995
  • 해상에서 어군의 행동과 분포상태를 탐지하여 그 정보를 원격으로 전송하기 위한 원격어군탐지기를 시험제작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서해의 고군산군도 연안에서 1994년 8월 8일, 18일~19일 및 9월 8~9일에 낭장망에 입망하는 어군의 유영층과 그 어획변동 등을 조사하고, 원격어군탐지기의 실용성을 평가하여 분석,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어획어종은 12종이었으며, 멸치(Engraulis japonica), 꼴뚜기(Loligo beka), 밴댕이(Harengula zunasi) 등이 전 어획량의 95%이상을 차지하였다. 2. 해상이 동국에서 탐지한 어군탐지기의 기록과 그것을 원격으로 전송한 선상고정국의 어군기록은 매우 잘 일치하였다. 3. 멸치는 유속이 0.6kt 이하로서 유속변화가 적은 경우에 어획이 많았으며, 유속이 0.6kt이상인 때에는 적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 어군의 유영층은 유속이 1kt이하에서 얕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며, 유속이 1kt이상이고 유속변화가 커지면 유영층에 큰 변동이 없으며, 이때 평균깊이는 약 4m였다. 5. 1회 조업당 어획량은 10~30 kg이었으며, 유향과 어구의 부설방향이 일치하지 않거나 유속이 너무 강해지면 어획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본 연구에서 시험제작한 원격어군탐지기는 낭장망어업에서 어군의 행동과 분포에 관한 어업정보를 파악하는데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魚類消化管의 Alkaline Phosphatase 活性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n the Digestive Tracts of Fishes)

  • 하재청;김국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67-176
    • /
    • 1974
  • 著者들은 3種의 어류를 재료로 하여, 咽頭, 食道, 胃, 前場部 및 後場部 alkaline phosphatase의 分布상태를 비교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미꾸리, 가물치의 咽頭上皮 細胞層에서 중등도의 alkaline phosphatase 양성반응을, 미꾸리와 뱀장어의 食道上皮의 基底細胞層에 증등도의 양성반응을 보였다. 2. 上記 全 魚類의 咽頭, 食道, 腸管膨大部 및 腸粘膜의 杯狀細胞와 胃腺細胞에서는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은 관찰할 수 없었다. 3. 腸管膨大部 및 腸上皮 유리연에 강한 alkaline phosphatase 양성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미꾸리의 後場部의 上皮유리연에서는 미약한 반응을 보였다.

  • PDF

Anisakis 류에 관한 연구 (I) 각종 해산어에 있어서의 Anisakis류 유충의 분포 (Studies on Anisakis spp. (I) On the infection rate of Anisakis-like larvae isolated from various marine fishes.)

  • 전세규;정부관;류봉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7
    • /
    • 1968
  • Formerly T. Nishimura, T. Oshima and M. Otsuru studied on Anisakis-like larvae in the various marine fishes from the Japan Sea and the Pacific Ocean. In the present observation, many kinds of marine fishes from the Yellow Sea and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ere. studied, with the samples from the islands: Eocheng-do, Sohuksan-do, Chuja-do and Keomun-do. The authors examined 313 samples from the adjacent waters of Korea and the distribution of the Anisakis-like larvae in the fish body was found to be 9,219 larvae of Anisakis-like larvae found in the mesentery and coelomic cavity of all samples. Of them, 8,112 Anisakis-like larvae were found from 187 samples from the southern coast of Korea, 1,107 Anisakis-like larvae were found in 126 samples from the Yellow sea (Tables 1 & 2). The fish from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re much more infected than the fish from. the Yellow Sea. The larger the fish length, the heavier infection of Anisakis-like larvae were observed.

  • PDF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of Water Masses and that of Demersal Fishes in the East China Sea in Spring

  • Cho Kyu Dae;Kim Hee Y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3권1호
    • /
    • pp.14-22
    • /
    • 2000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of demersal fishes and that of the water masses was examined by using the catches data and hydrographic data i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on May 13-19, 1996 and May 10-17, 1997. During the study period, the dominant fish species were Cleisthenes pinetorum herzinsteini, Lophiomus setigerus and Pseudosciaena polyactis. These three low temperature water species accounted for $21-24\%$ of the total catches. The percentage of the low temperature water species was high in the Yellow Sea and the coastal area on the continental shelf of the East China Sea but was low in the vincinity of Kyushu during the study period. In the East China Sea, the isotherm of $15^{\circ}C$ at 50m, mid layer depth, was located more southeast in 1996 than in 1997. The bottom water temperature was about it lower in 1996 than in 1997. The direction of the detided current on the continental shelf of the East China Sea was southward in 1996 and northward in 1997. Yellow Sea Bottom Cold Water (YSBCW) strongly expanded to south in 1996 when the northward current was weak. But, Tsushima Warm Current (TSWC) strongly intruded into the continental shelf of the East China Sea in 1997. As YSBCW expanded strongly to south in 1996, the percentage of the low temperature water species relative to the total catches was high. But, TSWC strongly intruded and the percentage of low temperature water fishes was low in 1997.

  • PDF

우리나라 주요 수계에 서식하는 어류 및 양서류 체내에 함유된 DEHA, Carbaryl, Amitrole의 분포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DEHA, Carbaryl, and Amitrole in the Fishes and Amphibians from the Major River Systems of Korea)

  • 주여정;김혜숙;김영복;문지용;정기호
    • 분석과학
    • /
    • 제15권2호
    • /
    • pp.149-15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수계에 서식하는 어류와 양서류에 대해 DEHA, carbaryl, amitrole의 잔류 실태를 조사하였다.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그리고 기타 수계를 포함한 29개 지점과 습지 2개 지점 등 총 31개 지점을 선정하였다. Carbaryl과 amitrole은 모든 지점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며, DEHA는 10개 지점에서 검출되었다. 검출된 DEHA의 최대 평균 농도는 금강에서 $52.7{\mu}g/kg$으로 나타났다. 검출된 10개 지점에 대해 살펴보면, 어류에 대한 평균 농도는 $40.0{\mu}g/kg$으로 나타났고, 양서류에 대한 평균 농도는 $8.90{\mu}g/kg$으로 어류에 비해 1/5 정도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검출빈도는 어류 10/62, 양서류 2/62를 보였고 어류에 대한 최대 검출 농도는 공주 지역의 붕어로 $95.5{\mu}g/kg$을 나타내었고, 양서류에 대해서는 나주 지역의 황소개구리로 $12.1{\mu}g/kg$였다. 검출된 10개 지점 중 6개 지점은 농경지였고 나머지 4개 지점은 준도시였다.

남해안 자연산 어류에서 Marine birnavirus(MABV)의 검출 (Detection of Marine Birnavirus(MABV) from Marine Fish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윤현미;김석렬;이월라;정성주;오명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18
    • /
    • 2008
  • Marine birnavirus(MABV)는 중요한 어류 병원체로서 일본 양식산 방어서 처음 분리되어 이후 다양한 해산어종에서 MABV 분리가 보고되었으며 환경적인 샘플인 저질, 해양의 동물성 플랑크톤과 해수에서도 MABV 유전자가 검출되고 있다. 본 연구는 Marine birnavirus disease 에 대한 예방학적 접근의 일환으로서 자연산 어류로부터의 MABV 검출 및 지리적 분포, 보균 어종에 대한 유전학적인 조사를 목적으로 2003년과 2005년도에 동중국해역 3지점, 서해안 5지점 그리고 남해안 5지점에서 어류를 채집하였다. RT-PCR(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한 연구결과 자연산 해산어류 160마리 중 13종 17마리에서 MABV가 거출되어 감염율10.6%를 보였다. 조사된 13종의 어류 중 특히 농어목에서 가장 높는 검출율을 보였다. 자연산 어류에서 분리한 MABV 분리균주는 염기서열 분석에서 94.7%-100%, 아미노산 분석에서 97.2-100% 유사성을 나타내었으며 IPNV strain과는 구분되며 MABV에 속하였다.

낙동강 하구해역에서 저인망에 의해 어획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es Collected by an Otter Trawl in Nakdong River Estuary)

  • 허성회;정석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5권2호
    • /
    • pp.178-195
    • /
    • 1999
  • 낙동강 하구 주변 해역에서 1987년 2월부터 1988년 1월까지 1년 동안 매월 소형 기선저인망(otter trawl)을 이용하여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100개 어종에 속하는 23,008마리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가장 많이 채집된 어종은 실양태(Repomucenus valenciennei), 흰베도라치(Pholis fangi),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 전갱이(Trachurus japonicus), 밴댕이 (Sardinella zunasi)였는데, 이들 5어종은 총 개체수의 63.0%와 생체량의 47.8%를 차지하였다. 계절별 우점종을 보면, 봄에는 흰베도라치와 실양태, 여름에는 실양태와 참서대(Cynoglossus joyneri), 가을에는 열동가리돔(Apogon lineatus)과 청멸(Thryssa kammalensis), 그리고 겨울에는 설양태, 주둥치, 밴댕이 등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어종수, 채집 개체수 및 종다양도지수는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였다. 또한 어종 수 및 채집 개체수는 정점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낙동강 하구쪽으로 갈수록 어종수 및 채집 개체수가 감소하였다. 수온은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며, 염분은 어류의 공간 분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산 놀래기과 어류의 분류학적 검토 (Taxonomical Review of the Korean Labroidei (Teleostei: Perciformes))

  • 김병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sup1호
    • /
    • pp.74-74
    • /
    • 2009
  • The perciform suborder Labroidei comprising six families (Cichlidae, Embiotocidae, Pomacentridae, Labridae, Odacidae, and Scaridae) are characterized by having the specialized pharyngeal jaws for food processing, i.e., united fifth ceratobranchials and upper pharyngeal jaw articulating with the basicranium via diarthroses (Stiassny and Jensen, 1987). They usually inhabit in the most tropical and subtropical seas and comprise about 235 genera and roughly 2,274 species worldwide (Nelson, 2006). Concerning the Korean labroid fishes, Mori (1952) had listed 18 genera and 26 species belong to four families in his check list of Korean fishes since Jordan and Metz (1913) firstly reported six genera and seven species in only two families (Embiotocidae and Labridae). Chyung (1977) added two species, Tilapia mossambica and Cirrhilabrus temmincki, to Mori’s list and also classified them into three suborders, i.e., Embiotocina (containing only Embiotocidae), Pomacentrina (Cichlidae and Pomacentridae), and Labrina (Labridae and Scaridae). Subsequently, Lee and Kim (1996) reviewed the Korean labroidfishes taxonomically resulting in 22 genera and 32 species in five families with some taxonomical modifications including a new Korean record. It is remarkable to be added many new Korean recordsto the pomacentrids or the labrids for recent 10 years (Koh et al., 1995; Yoo et al., 1995; Koh et al., 1997; Myoung, 1997; Choi and Kim, 2000; Choi et al., 2002; Kim and Go, 2003). Recently, Kim et al. (2005) briefly described all members of the Korean Labroidei with a color photograph or a figure, recognizing 27 genera and 42 species in five families. In the present study, the current taxonomical status of the Korean labroid fishes including distributional features is summarized based both on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Korean waters and on literature survey to provide bio-information of the Korean native fish species. As a result, the Korean labroid fishes totally consist of 27 genera and 44 species in five families, that is, Cichlidae (1 species), Embiotocidae (3), Pomacentridae (15), Labridae (22), and Scaridae (2). They distributed mainly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South Sea, Korea, however, most pomacentrids or labrids occur in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only, although some species were observed in their larval or juvenile stages only from coastal waters of the island. Interestingly, several species are expanding their distribution north to Ulreung and Dok islands in the East Sea, Korea lately.

우리 나라 주요 하천유역에 서식하는 양서류 및 어류의 유기질소계 농약류 축적 (Accumulation of Organonitrogen Pesticides in Fishes and Amphibians from the Basin of Major Rivers of S. Korea)

  • 오동진;김영복;이지영;문지용;정기호
    • 분석과학
    • /
    • 제15권6호
    • /
    • pp.489-495
    • /
    • 200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계에 서식하는 어류와 양서류에 대해 trifluralin, atrazine, metribuzink, alachlor, malathion, nitrofen, permethrin, cypermethrin, fenvalerate, parathion 등의 유기 농약의 잔류실태를 조사한 것이다. 전국의 주요 하천 유역 31개 지점에서 양서류와 어류를 채집하였으며, 이들의 근육 부분을 최종 분석시료로 하였다. 전처리 과정에서 아세토니트릴로 추출한 후 n-헥산으로 씻어 지질성분을 제거하고 정제수를 넣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재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탈수 농축하여 플로리실 컬럼으로 정제한 후 동위원소 표준물질을 첨가하여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검출된 농도 범위는 양서류에서는 $0.17{\sim}6.8{\mu}g/kg$, 그리고 어류에서는 cypermethrin이 최대 $16{\mu}g/kg$을 비롯해서 $0.26{\sim}16{\mu}g/kg$의 농도로 검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