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ribution changes

검색결과 4,121건 처리시간 0.029초

도시외곽지역의 산림변화 특성 (Characteristics of woodland changes in an urban fringe in Gwangju city)

  • 김근호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2호
    • /
    • pp.177-182
    • /
    • 2012
  • It is widely recognised that changes in size and isolation of habitat patches have a negative impact on species richness and the distribution and persistence of populations. Thus, the aim of the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hange, distribu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woodlands in an urban fringe landscap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common trend of woodland loss across all landscape types while no new woodlands were established during 1976 and 2009. Small patches (less than 5 ha in size) were particularly vulnerable to and more likely to disappear due to human activities such as urbanisation. Changes in woodland cover were clearly observed between 1976 and 2009. Loss of many woodlands was caused by residential and infrastructural developments. As a result, woodlands were becoming smaller and more isolated. This trend probably had adverse effects on biodiversity. This woodland information can be used to identify the potential and specific needs for conservation planning in rapidly developing urban areas.

온도와 습도의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 내부의 열, 수분 분포 예측 (Prediction of Heat and Water Distribution in Concrete due to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 박동천;이준해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31-32
    • /
    • 2020
  • Concrete changes its internal moisture distribution depending on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changes in the condition of the material's interior over time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concrete. These effec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long-term behavior and durability of concrete, and the degree of deterioration varies from climate to climate in each region. In this study, we use actual climate data from each region with distinct climates. A multi-physical analysis based on the method was conducted to predict the difference and degree of deterioration rate by climate.

  • PDF

신갈나무와 상수리나무 숲에서 細根의 空間分布 (Spatial Distribution of Fine Roots in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acutissima Stands)

  • Kwak, Young-Se;Kim, Joon-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2호
    • /
    • pp.113-119
    • /
    • 1994
  • Vertical and horizontal distribution and seasonal changes of fine roots as well as inorganic nitrogen content in soil were determined in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acutissima stands in Mt. Taemosan, Seoul.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fine rooth phytomass showed a power-functional decrease as descending soil depth. Fine root phytomass was 170 g $DM/m^2$(46%) and 225 g $DM/m^2$(47%) in top soil of 5 cm depth, and 370 g $DM/m^2$ and 480 g $DM/m^2$ from soil surface to 50 cm depth in Q. mongolica and Q. acutissima stands, respectively. Fine roots in relation to the distance from the nearest tree were evenly distributed horizontally in both stands. Fine roots phytomass in top soil of 5 cm depth reached a peak in June, and thereafter decreased gradually in both stands. Patterns of seasonal changes in fine root phytomass were closely related to inorganic nitrogen and moisture content.

  • PDF

연쇄통행행태분석과 통행분포모형 (Trip-Chaining Behavior and Trip Distribution Model)

  • 김형진
    • 대한교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교통학회 1995년도 제27회 학술발표회
    • /
    • pp.58-82
    • /
    • 1995
  • This study providesd an empirical analysis of trip-chaining behavior and its application to transportation planning. In the empirical analysis, changes in trip-chaining patterns since 1970 have been examined and details of current trip-chaining behavior as they describe shopping trip-chaining behavior has changed. Individual trip-chaining has become longer and complex. It appears that the average number of trips per chains has substantially increased over the past 20 years. An increased number of trips in chains means fewer home-based trips. Changes in trip-chaining behavior have several consequences. Important consequences are for transportation and land-use planning. Up to now trips have been treated as if they are independent clusters of home-to-destination-to-home; this approach has not usually taken into account the trip-chaining behavior of individuals. this calls for a different approach to at least the trip generation and trip distribution part of transportation planning. In this study, application of trip-chaining behavior to trip distribution model formulation is proposed and its calibration results are presented.

  • PDF

밀폐형 함침법을 이용한 CFRP 사각 파이프 인발성형에서 인발장치 및 경화금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rawing device and curing mold in CFRP rectangular pipe pultrusion process using a closed impregnation method)

  • 강병수;유형민
    • Design & Manufacturing
    • /
    • 제16권2호
    • /
    • pp.60-65
    • /
    • 2022
  • In the pultrusion process for the 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rectangular pipe, the drawing device is eseential which can continuously produces products and draws the carbon fiber tow. In addition, since the degree of cure change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ditribution of the curing mold changes depending on the pultrusion speed,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curing mold under certain conditions must be studied before processing. In this study, in the pultrusion process using a closed impregnation method, which has several advantages compared to the general pultrusion process using a open bath impregnation method, the drawing force required to pull the carbon fiber tows and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curing mold was analyzed to design the drawing device and the curing mold efficiently.

우리나라 연안의 기온과 수온 분포함수 추정 및 비교평가 (Estim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istribution Functions of Air and Water Temperatures in Korean Coastal Seas)

  • 조홍연;정신택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3호
    • /
    • pp.171-176
    • /
    • 2016
  • 기온과 수온의 분포형태는 발생빈도의 양상을 결정하는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정보이다. 또한 기후변화에 의한 기온과 수온의 장기변화 양상 파악에 유용하다. 기온과 수온의 전형적인 분포형태는 다수의 첨두(mode)를 가지는 형태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정규분포로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Gaussian 혼합함수와 Kernel 분포함수를 보다 기온과 수온의 보다 적합한 분포함수 형태로 제안한다. 제안된 분포함수를 우리나라 연안 기온과 수온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평가한 결과, 관측 자료의 분포는 꼬리 영역에서 크게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높은 수온영역과 낮은 기온 영역에서 꼬리 영역이 길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분포함수 추정 및 비교는 기온과 수온의 상호 변동관계 및 장기적인 변동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평균 기온 및 수온 그리고 정규분포 함수 형태로는 이러한 변화 양상의 파악은 크게 제한되고 있다.

식품컨셉의 다양화에 따른 일본 식품유통시스템의 변혁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Japanese Food Distribution System in response to Diversification of Food Concept)

  • 오범석;김상철
    • 유통과학연구
    • /
    • 제3권2호
    • /
    • pp.15-28
    • /
    • 2005
  • 본 연구는 소비자 니즈의 변화에 따른 식품컨셉의 변형으로 인한 일본의 식품유통시스템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식품컨셉으로서 일반적으로 가공식품과 비가공식품으로 분류되었던 식품컨셉을 확장시켜 비가공적 가공식품과 가공적 비가공식품의 개념을 소개하고, 그에 따른 일본식품유통시스템의 물류, 도매, 소매상에서의 혁신적 관리 및 발전과정을 살펴본다. 일본 식품유통시스템의 변화에 근본적인 원인을 제공한 요인으로서 소비자 니즈와 인식의 변화를 들 수 있으며, 일본 식품유통시스템의 개념정립 및 현황분석과 함께 일본 식품유통시스템의 실제적 변화로서 온도대별 물류혁신, PB상품개발, 체인시스템의 다양화 등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와 같은 일본소비자의 특성, 식품유통시스템의 발전상황 및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한국식품유통시스템의 발전과정과 비교분석이 가능하며 나아가 합리적인 식품유통시스템으로의 방향제시가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 PDF

농산물 소매유통환경 변화에 따른 국내 산지유통조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조직화·규모화·전문화를 중심으로 (A Study 0n the Improvement of the domestic in producing area organizations According to the change retail environment: Focused on organized, scaled, Specialization.)

  • 김대윤
    • 산경연구논집
    • /
    • 제2권2호
    • /
    • pp.5-14
    • /
    • 2011
  • 1996년도의 유통시장개방을 계기로 소매유통 환경이 급변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소매유통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강화하기 위해 조직화를 통한 규모화가 산지의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산지에서는 여건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소규모 개별농가가 조직화를 통해 전문화·대규모화 되어 가고 있고, 품목별·지역별로 특화되어 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소비지 시장에 대한 경쟁력 강화라는 관점에서는 여전히 문제점을 보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시장대응상의 산지유통조직의 조직화·규모화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통한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에 따른 산지 조직화 배경 및 필요성, 국내 산지유통조직의 현황 및 문제점, 국내·외 산지유통조직 우수사례를 살펴보고, 조직화·규모화를 중심으로 향후 산지유통조직 경쟁력 제고방안을 위한 개선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농산물 소매유통환경 변화에 따라 산지유통조직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1) 원물수집 체계 다양화를 통한 가동률 향상 및 조직화 강화, 2) 전문화된 품목의 광역연합마케팅 추구를 통한 규모화 실현, 3) 국외 산지유통조직 우수사례인 프랑스 "브레따뉴 청과물 경제위원회"와 같은 관리 운영조직 설치 및 운영, 4) 국내에 적합한 산지유통조직모델 개발을 위한 지원체계 확립 등의 4가지를 제시하였다. 특히 국내 산지의 경우 산지조직화·규모화에 성공한 각종 사례분석을 통해, 조직적 규모화의 과정 속에서 생겨나는 각종 어려움과 그에 대한 극복방식 등을 일반화 시켜가는 노력이 요구된다.

  • PDF

동해 중부 연안 환경 변화에 따른 명태 개체 크기 및 분포의 시공간적 변화 (Influences of Oceanographic Features on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of Size Spectrum of Walleye Pollock, Gadus chalcogrammus Inhabiting Middle Eastern Coast of Korea)

  • 정해근;이충일;박현제;박주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48-159
    • /
    • 2020
  • 본 연구는 동해 중부 연안에 서식하는 명태의 연직 분포와 개체 크기의 계절 및 연간 변화를 분석하였다. 2016년 1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채집된 명태 개체의 전장은 16.6 cm~81.5cm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50~600 m 사이의 수심대에서 어획되었다. 이 중 25~35 cm 그룹이 차지하는 비율은 45.5%, 35~45 cm 그룹이 차지하는 비율은 27.2%를 나타내며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평균 전장은 1월에 가장 크고, 6월에 가장 작았으며, 6월 이후 점차 증가하는 계절주기 변동 특성을 나타내었다. 25 cm 미만 그룹은 100~200 m 수심에 서식하는 비율이 겨울철에 가장 높으며, 이후 봄, 여름, 가을에는 보다 깊은 수심으로 주 서식처를 변화하여 400 m 이상 수심에서 서식하는 비율이 40% 이상을 차지하였다. 25~35 cm와 35~45 cm 개체 그룹의 겨울철 연직 분포는 400 m 이상 수심에서 서식하는 비율이 45% 이상을 기록하였으며, 봄과 여름에는 보다 얕은 수심영역으로 서식처를 변화하여 200 m 미만 수심에서 서식하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이후 가을부터는 다시 서식하는 수심대가 깊어져 300 m 이상 수심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45 cm 이상 개체 그룹은 뚜렷한 계절 변동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300 m 이상 수심에서 서식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러한 명태의 연직 분포는 서식처의 물리적 환경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특히, 상층부의 수온이 상승하고 수온약층 아래 100~300 m 수심대의 수온이 하강한 시기에는 300 m 이상의 깊은 수심대에서 어획되는 비율은 감소한 반면, 수온이 하강한 100~300 m 수심대에서 어획되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우리나라 구상나무 잠재 분포 변화 예측 (Project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Abies koreana in Korea Under the Climate Change Based on RCP Scenarios)

  • 구경아;김재욱;공우석;정휘철;김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9-30
    • /
    • 2016
  • The projection of climate-related range shift is critical information for conservation planning of Korean fir (Abies koreana E. H. Wilson). We first modeled the distribution of Korean fir under current climate condition using five single-model species distribution models (SDMs) and the pre-evaluation weighted ensemble method and then predicted the distributions under future climate conditions projected with HadGEM2-AO under four $CO_2$ emission scenarios, the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 2.6, 4.5, 6.0 and 8.5. We also investigated the predictive uncertainty stemming from five individual algorithms and four $CO_2$ emission scenarios for better interpretation of SDM projections. Five individual algorithms were Generalized linear model (GLM), Generalized additive model (GAM), Multivariate adaptive regression splines (MARS), Generalized boosted model (GBM) and Random forest (RF). The results showed high variations of model performances among individual SDMs and the wide range of diverging predictions of future distributions of Korean fir in response to RCPs. The ensemble model presented the highest predictive accuracy (TSS = 0.97, AUC = 0.99) and predicted that the climate habitat suitability of Korean fir would increase under climate changes. Accordingly, the fir distribution could expand under future climate conditions. Increasing precipitation may account for increases in the distribution of Korean fir. Increasing precipitation compensates the negative effects of increasing temperature. However, the future distribution of Korean fir is also affected by other ecological processes, such as interactions with co-existing species, adaptation and dispersal limitation,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extreme weather events and land-use changes. Therefore, we need further ecological research and to develop mechanistic and process-based distribution models for improving the predictive accur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