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ress messag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비상재난 발생 시 외부 VHF 장비와 연동하는 소형선박용 재난자동속보장치 (Automatic Distress Notification System Working with an External VHF Device in Small Ship)

  • 정헌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14-19
    • /
    • 2013
  • 본 논문은 소형 선박의 비상재난 발생 시 외부 VHF 장비와 연동하여 재난 상황을 자동으로 속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소형 선박용 재난자동속보장치에 대한 내용이다. 재난자동속보장치는 소형 선박의 재난 발생을 방지 또는 신속 대응하기 위한 시스템인 소형 선박재난분석시스템의 일부 장치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선박재난분석시스템으로부터 재난 인지 신호와 GPS 위치 정보를 입력 받는다. 비상 상황 발생 시 위치 정보를 구조 요청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VHF 장비를 통해 송출한다. VHF 장비와 재난자동속보장치가 물에 잠기기 전까지 계속적인 음성 구조 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소형선박에 발생할 수 있는 갑작스런 재난상황의 대응과 인명손실을 예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죄책감 소구 수준과 개인성향의 상호작용이 국제기아 돕기 메시지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uilt Appeal Level and Personal Disposition on Responses to International Relief Messages)

  • 이승조;이한규
    • 감성과학
    • /
    • 제18권3호
    • /
    • pp.49-62
    • /
    • 2015
  • 본 연구는 국제기아 돕기를 촉구하는 설득 메시지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죄책감 소구 수준과 공감적 개인성향의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죄책감 소구 수준은 메시지가 수용자의 죄책감을 이끌어 내는 정도의 높고 낮음을 의미한다. 공감적 성향이란 타인의 경험에 동조하거나 관심을 갖는 개인의 경향을 지칭하며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고통과 공감적 관심이라는 하위 차원을 이용하였다. 메시지의 실험은 2단계로 구성하였다. 1단계에서는 개인성향을 측정하고 2단계에서는 죄책감 소구의 수준을 차별화한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전체 실험은 죄책감 소구수준(2) ${\times}$ 공감성향(2)으로 설계되었다. 그 결과, 죄책감 소구 수준은 개인적 고통과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상호작용은 주로 죄책감 수준이 높은 조건에서 개인적 고통이 높은 개인과 낮은 개인들의 차이에 의해 발현되었다. 공감적 관심이 높은 개인들은 낮은 개인들에 비해 죄책감 수준과 상관없이 돕기 메시지에 더 우호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MF/HF DSC controller의 송신신호처리 구현 (Implementation of transmitter signal processing of the MP/HF DSC Controller)

  • 이홍기;유형열;조형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123-129
    • /
    • 1997
  • 본 논문은 전세계 해상 조난 및 안전 시스템(GMDSS)의 의무 비치 장비인 MF/HF DSC Controller의 송신 기능인 조난호출 및 일반호출의 신호처리 구현에 관한 내용이다 구현을 위하여 필수적인 전파규칙(RR), SOLAS협약을 중심으로 ITU-R, SOLAS의정서, 기술기준 등 DSC관련 국내외 규정을 비교 검토하여, DSC설비의 신호처리 기술 및 송신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본회로를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개발과정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uPD70320)를 이용하였고, 알고리즘을 정립하여 운용 프로그램을 C언어로 작성하였다.

  • PDF

기부 광고 효과에 대한 ERP 연구: 심상과 주의 (An ERP study on charitable donation ad effects: Mental imagery and attention)

  • 성영신;김지연;강정석
    • 감성과학
    • /
    • 제17권2호
    • /
    • pp.3-12
    • /
    • 2014
  • 기부 광고가 기부의향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목표 청중이 동정심, 공감이나 심리적 불편감 등의 정서를 느끼도록 하는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선행연구들은 기부 광고에 의해서 유발되는 정서적 경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광고의 언어적 요소인 메시지의 속성(구체성과 정서가)과 그에 따른 심리적 반응(심상 유발과 주의 집중)을 제안한다. 기부 광고를 처리하는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을 근거로 '기부 광고의 메시지 속성 (메시지의 구체성과 정서가) ${\rightarrow}$ 심상 유발과 주의 집중 ${\rightarrow}$ 정서적 경험 ${\rightarrow}$ 기부의향'의 개념적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개념적 모형 중 본 연구는 메시지의 구체성과 정서가가 (1) 심상 유발과 주의 집중에 미치는 영향을 ERP로 측정하고, (2) 기부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기부의향금액을 측정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했다. 그 결과, 구체적인 메시지는 추상적인 메시지에 비해서 심상을 더 유발시키며, 부정적인 메시지는 긍정적인 메시지에 비해서 더 많은 주의를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메시지가 구체적이면서 부정적일 경우, 기부희망금액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난 수신 시, 인지력 향상을 위한 자동음성경보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영습;최창삼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6-208
    • /
    • 2013
  • 1912년 타이타닉호 사고로 인해 1490명의 희생자 발생되어, 해상에서 인명안전을 국제적으로 검토, 이로 인해 GMDSS(Global Maritime Distress and Safety System)제도가 국내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현(現) 해상에서 조난 긴급 안전 및 일반적인 사항 관련 메시지 수신 시 전 세계 모든 장비가 아직까지 단일화된 비프(Beep)음으로 구성되어 운영자의 인지력 저하, 안전불감증 등 총체적인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는 바, 이에 조난과 같은 긴급 메시지 수신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자동음성경보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를 통해 단 한 면의 소중한 인명을 구하고자 한다.

  • PDF

COSPAS-SARSAT을 이용한 탐색구조 신호 보안 (Secured Search and Rescue Signal using COSPAS-SARSAT)

  • 백유진;조태남;김재현;이상욱;안우근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57-162
    • /
    • 2014
  • The international COSPAS-SARSAT program is a satellite-based search and rescue distress alert detection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best known as the system that detects and locates emergency beacons activated by aircraft, ships and so on. However, the current message format of the system is not encrypted so that, if the rescue signal can be intercepted by the unintended receivers, the subsequent rescue activities can be handled in a hostile environment. So, this article concerns how to deal with the rescue signals in a secure way and proposes some adequate encryption methods and the corresponding key management.

어선용 무선설비의 통합운용을 위한 LAN 기반 MFD 인터페이스 (LAN Based MFD Interface for Integrated Operation of Radio Facilities using Fishery Vessel)

  • 주인웅;강인숙;김정연;이성렬;최조천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496-503
    • /
    • 2022
  • 어업인의 감소와 단독조업 어선이 증가되는 현실에서, 어선의 해상안전을 위한 항해 및 무선설비의 의무장비는 계속 증가되어 왔다. 따라서 협소한 조타실에는 항해, 통신, 어로 등의 많은 장비가 설치되므로 혼잡한 상태이며, 다수의 모니터가 전면에 배치되므로 해상견시 능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된다. 문제의 해결책으로 디지털선택호출-초단파대무선설비(VHF-DSC), 선박자동 식별장치(AIS), 어선위치발신장치(V-Pass) 등의 무선설비를 LAN 기반으로 하나의 MFD(multi function display)에 통합하여 운용하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였다. 또한, MFD와 무선설비들 간의 연동으로 데이터의 교환을 위하여 IEC61162-450의 UDP 패킷과 IEC61162 센텐스를 적용하였고, 장비와 기능별로 필요한 메시지를 추가로 정의하였다. 통합된 MFD 모니터는 메뉴방식으로 쉽게 조작되며, 해상안전 관련 조난 및 긴급통신 기능과 장비별 메시지전송 상태의 확인으로 인터페이스 성능을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