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persion analysis

검색결과 1,433건 처리시간 0.027초

누출공 크기에 따른 밀폐공간 내 수소 가스의 확산 특성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Hydrogen Gas by the Effect of Leakage Hole Size in Enclosure Space)

  • 최진욱;이용남;박철우;이성혁;김대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26-35
    • /
    • 2016
  • 수소는 공해가 없는 청정에너지 자원으로, 이를 활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점차 생산 및 소비량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수소의 열화학적 특성 상 매우 높은 가연성을 가지며, 특히 밀폐공간에서 수소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에 위험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체역학 해석기법을 적용하여 밀폐된 공간 내부의 수소가스 누출 현상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를 수행하였고,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검증된 해석기법을 적용하여 누출공의 크기에 따른 가스 확산 거동에 대하여 해석하고 다양한 기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누출 시간 경과에 따른 공간 내의 가연영역을 누출공 크기 별로 확인하고, 가연영역의 체적분율을 통하여 누출공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공간 내부의 가연영역은 급속히 성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소 가스의 누출량과 가연영역이 천장까지 성장하는 최소 소요시간 사이의 관계를 도출하였다. 특정 모니터링 지점에서 가스 몰분율 분석을 통해 가스는 형상 규모의 영향을 받지 않고 등방적 특성으로 퍼져나감을 확인하였으며, 특정 지점에서의 가스 농도는 누출구로부터 발생하는 주 유동의 효과와 밀폐공간에서의 가스 누적 효과를 모두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양파유 미세캡슐화 공정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Onion Oil Microencapsulati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홍은미;유문균;노봉수;장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37-443
    • /
    • 2002
  • 생체내에서 각종 생리활성이 있는 양파유의 기능성 및 저장성 향상을 위하여 agar와 gelatin이 혼합되어 있는 물질을 피복물질로 사용하여 양파유(중심물질)를 미세하게 캡슐화하는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먼저 양파유 미세캡슐화 수율을 예민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ethyl acetate 추출 및 gas chromatography 기술을 사용하여 확립하였다. 확립된 미세캡슐화 수율 측정법을 사용하여 양파유 미세캡슐화를 위한 제반 공정조건들, 즉 [중심물질, Cm] : [피복물질, Wm]의 비율($X_1$), 분산액의 온도($X_2,\;^{\circ}C$), 분산액내의 detergent 농도($X_3$, %(w/v)), 유화체의 농도($X_4$, %(w/w)) 등의 최적화를 수행하였으며, 공정 최적화를 위해서는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이용하였다. RSREG 처리 결과, 4가지 독립변수가 각각 변화함에 따른 미세캡슐화 수율(Y, %)에 대한 회귀식은 $Y=97.028571-0.775000(X_1)-0.746726(X_1){\cdot}(X_1)-1.100000(X_3){\cdot}(X_2)$으로 표현되었으며, 반응표면분석 결과 양파유 미세캡슐화를 위한 최적화 조건으로서 [중심물질, Cm] : [피복물질, Wm]의 비율은 4.5 : 5.5(w/w), 분산액의 온도는 $17.1^{\circ}C$, 분산액내 detergent농도는 0.037%(w/w), 유화제(sorbitan monolaurate, HLB 16.7)의 농도는 0.42%(w/w)인 것으로 판명되었으며(미세캡슐화 수율의 최대 예측값은 95.7%), 이상의 최적조건하에서 양파유 미세캡슐화를 실제 수행한 결과 96.2%의 미세캡슐화수율 실측값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RSM에 의하여 결정된 미세캡슐화 최적 조건은 ${\pm}5%$ 오차범위내에서의 높은 신뢰성을 갖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실제 미세캡슐화 공정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미세먼지 발생 레미콘시설에서의 대기확산모델 CALPUFF와 AERMOD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ALPUFF and AERMOD Atmospheric Dispersion Models for Ready-Mixed Concrete Manufacturing Facilities Generating Particulate Matter)

  • 한진희;김영희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67-278
    • /
    • 2021
  • Objectives: Using atmospheric dispersion representative models (AERMOD and CALPUFF), the emissions characteristics of each model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ready-mixed concrete manufacturing facilities that generate a large amount of particulate matter (PM-10, PM-2.5). Methods: The target facilities were the ready-mixed concrete manufacturing facilities (Siheung RMC, Goyang RMC, Ganggin RMC) and modeling for each facility was performed by dividing it into construction and operation times. The predicted points for each target facility were selected as 8-12ea (Siheung RMC 10, Goyang RMC 8, and Gangjin RMC 12ea) based on an area within a two-kilometer radius of each project district. The terrain input data was SRTM-3 (January-December 2019). The meteorological input data was divided into surface weather and upper layer weather data, and weather data near the same facility as the target facility was used. The predicted results were presented as a 24-hour average concentration and an annual average concentration. Results: First, overall, CALPUFF showed a tendency to predict higher concentrations than AERMOD. Second, there was almost no difference in the concentration between the two models in non-complex terrain such as in mountainous areas, but in complex terrain, CALPUFF predicted higher concentrations than AERMOD. This is believed to be because CALPUFF better reflected topographic characteristics. Third, both CALPUFF and AERMOD predicted lower concentrations during operation (85.2-99.7%) than during construction, and annual average concentrations (76.4-99.9%) lower than those at 24 hours. Fourth, in the ready-mixed concrete manufacturing facility, PM-10 concentration (about 40 ㎍/m3) was predicted to be higher than PM-2.5 (about 24 ㎍/m3). Conclusions: In complex terrain such as mountainous areas, CALPUFF predicted higher concentrations than AERMOD, which is thought to be because CALPUFF better reflected top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future, it is recommended that CALPUFF be used in complex terrain and AERMOD be used in other areas to save modeling time. In a ready-mixed concrete facility, PM-10, which has a relatively large particle size, is generated more than PM-2.5 due to the raw materials used and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tarch$^Na+$-montmorillonite clay nanocomposites

  • Na, Seong-Ki;Park, Jong-Shin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The Korea-Japan Joint Symposium
    • /
    • pp.67-68
    • /
    • 2003
  • Native corn starch and montmorillonite caly nanocomposites were prepared using the glycerol as the plasticizer. These were characterized by mechanical analysis, X-ray diffraction, infrared spectroscop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tensile strength increased with the clay content to a maximum point and then decreased due to gapping between the two phases. Dispersion of the layered silicate within the starch was verified using X-ray diffraction pattern. Examination of these materials by scanning electron showed that intercalates have good wetting to the starch surface.

  • PDF

오염물질 확산모형의 불확실성 (Uncertainty Analysis of the Pollutant Dispersion Model)

  • 조홍연;채장원;정신택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6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72-75
    • /
    • 1996
  • 연안지역의 개발 및 이용으로 오염물질의 발생량이 증가하게 될 뿐 아니라, 발생된 오염물질은 인근 하천 및 해역에 의한 방류 등으로 연안해역의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다(통상산업부 등, 1996). 연안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하천유입, 해양방류 및 해상투기 또는 오염물질 유출사고가 연안환경에 미치는 장ㆍ단기적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대상해역의 흐름을 고려한 오염물질의 이송ㆍ확산을 적절하게 예측하여야 한다(National Research Council, 1994). (중략)

  • PDF

조합형 문자구성을 이용한 문서 인식 알고리즘 (Development of an Algorithm for Korean Letter Recognition using Letter Component Analysis)

  • 김영재;이호재;김희식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7-430
    • /
    • 1995
  • This paper proposes a new image processing algorithm to recognize korean documents. It take out the region of syllable area from input character image, then it makes recognition of a consonant and a vowel in the character. A precision segmentation is very important to recognize the input character. The input image has 8-bit gray scaled resolution. Not only the shape but also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dispersion graph are used for segmentation. Theresult shows a higher accuracy of character segmentation.

  • PDF

통계기법을 활용한 무유도 로켓의 탄착분산 해석 연구 (A study on the Trajectory Dispersion Analysis for Unguided Rocket Using Statistical Method)

  • 신동수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1998년도 제11회 학술강연회논문집
    • /
    • pp.26-26
    • /
    • 1998
  • 다련장 로켓과 같이 무유도로서 대량 발사하는 탄을 설계함에 있어서 탄의 성능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사거리와 고도 해석을 통해 체계 성능을 분석하고 탄의 특성 및 외부요소의 변화 가능성을 고려하여 탄착 정확도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여야 한다. 탄착 정확도는 설계하고자하는 무기체계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최종단계이므로 매우 중요한 factor이다. 다련장 로켓과 같은 무유도 로켓의 탄착 정확도를 평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많은 발수의 시료를 발사하여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예비 설계시에는 적용할 수 없으며 제작이 되었다 하더라도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적용하기 무척 어렵다.

  • PDF

다해상도 시간영역법의 수치적 분산특성과 안정조건 (Numerical Dispersive Characteristics and Stability Condition of the Multi-Resolution Time Domain(MRTD) Method)

  • 홍익표;유태훈;윤영중;박한규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328-335
    • /
    • 1996
  • The numerical dispersive characteristics and the numerical stability confition of the Multi-Resolution Time-Domain(MRTD) method are calculated. A dispersion analysis of the MRTD schemes including a comparison to Yee's Finite-Difference Time-Domain(FDTD) method is given. The superiority of the MRTD method to the spatial discretization is shown. The required computational memory can be reduced by using the MRTD method. We expect that the MRTD method will be very useful method for numerical modelling of electromagnetics.

  • PDF

유전체 도파관을 이용한 채널 드로핑 필터 (Dielectric Waveguide Channel Dropping Filter)

  • 김신기;박동철;오승엽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1-7
    • /
    • 1988
  • A new type broadband channel dropping filter which has a potential use as a millimeter-wave multiplexer has been realized by properly connecting 3-dB directional couplers and bandstop filters. 90\ulcorner3-dB directional couplers have been designed using two nonuniformly coupled dielectric image guides, while bandstop filters with Chebyshev passbands have been designed using dielectric image-guide grating structure. Effective dielectric constant method has been aplied to the image-guide dispersion analysis and to the design of bandstop gratings and 3-dB couplers. Experimental results in excellent agreement with computed responses are demonstra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