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persing stress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5초

상악 전치부 즉시하중 임플란트의 식립 깊이에 따른 삼차원 유한요소 분석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insertion depth of an immediately loaded implant in the anterior maxilla)

  • 박철우;김성훈;여인성;윤형인;한중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05-113
    • /
    • 2018
  • 목적: 삼차원 유한요소분석을 이용하여 상악 전치부 즉시하중 임플란트의 식립 깊이가 주위 골의 응력 분포와 임플란트의 미세움직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임플란트 상단이 치조정 피질골 상연을 기준으로 0.00 mm, 0.25 mm, 0.50 mm, 0.75 mm, 1.00 mm 깊게 위치되도록 총 5개 골모형을 제작하였다. 고정체와 주위 골 계면에 마찰접촉과 35 Ncm의 식립 토크를 재현하였다. 임시 보철물에 178 N의 정하중을 고정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축방향의 수직하중과 $30^{\circ}$의 경사하중으로 가하고 유한요소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임플란트의 식립 깊이가 주위 골의 응력 분포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임플란트의 가장 큰 미세움직임이 $39.34{\mu}m$로 나타났다. 경사하중이 수직하중에 비해서 응력 분포와 미세움직임의 변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결론: 임플란트 식립 깊이의 증가는 피질골에 집중된 응력을 분산시키는데 유리하였으며, 초기 골유착 실패와 관련이 있는 미세움직임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하악골 충격시 안면 두개골의 응력분산양상에 미치는 구강보호장치의 역할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연구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effects of a mouthguard on stress distribution of facial bone and skull under mandibular impacts)

  • 노관태;김일한;노현식;김지연;우이형;권긍록;최대균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9
    • /
    • 2012
  •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하악골 충격 시 안면 두개골의 응력분산양상에 미치는 구강보호장치의 효과에 대해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구강보호장치를 제작하고 사람의 머리부위와 치열의 3차원적 유한요소 모델을 컴퓨터 토모그래피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머리부위의 finite element model은 356,092요소와, 87,099절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skull과 maxillae, mandible, articular disc, teeth, 그리고 구강보호장치로 구성되었다. 경부의 움직임을 묘사하기 위하여 스프링이 사용되었다. 하악골의 충격점은 gnathion, center of inferior border 와 anterior edge of gonial angle이었다. 충격방향은 수직, 경사방향($45^{\circ}$), 그리고 수평이다. 충격량은 0.1초당 800 N이었다. 결과: 수직충격을 가한 경우에는 구강보호장치의 장착여부와 무관하게 비슷한 응력과 분산양상이 나타났다(P>.05). 경사충격($45^{\circ}$)을 가한 경우 구강보호장치를 장착한 모델에서는 응력이 치아와 안면골 및 두개골로 넓게 분산되었으나 이에 비하여 장착하지 않은 모델에서는 치아에 응력이 집중되었다(P<.05). 수평충격을 가한 경우 구강보호장치를 장착한 모델에서는 응력이 치아와 안면골 및 두개골로 넓게 분산되었으나 이에 비하여 장착하지 않은 모델에서는 치아에 응력이 집중되었다(P<.05). 구강보호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모델에서는 상악 치아에 응력이 집중되는 반면, 장착한 모델에서는 모든 충격실험에서 계측된 응력이 매우 낮았으며, 전달된 응력이 상악 치아와 안면골 및 두개골로 넓게 분산되었다. 결론: 구강보호장치는 외부충격 시에 하악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충격에는 완충효과가 적었고, $45^{\circ}$경사 충격과 수평 충격에는 발생하는 응력을 안면골과 두개골의 넓은 범위로 분산시키고 응력을 감소시켜 응력의 완충 효과가 있었다.

폐암(肺癌)의 한의치료(韓醫治療)에 관(關)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 박정희;김병탁;김성훈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6권1호통권29호
    • /
    • pp.71-95
    • /
    • 1995
  • To be helpful to the treatment of pulmonary cancer with oriental medicine, we got clinical reports together and analyzed the data.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 treating methods could be summarized as three methods that were reinforcing vital energy, eliminating harmful Qi, and reinforcing vital energy with eliminating harmful Qi. The methods of reinforcing vital energy were supplementing Qi & Yin, increasing pahological heat & reinforcing kidney, augmenting Qi & blood, supplementing vital energy and strengthening fundermental energy, reinforcing spleen and increasing Qi, lubricate Yin and lung, and the other methods of eliminating harmful Qi were transforming pathological fluid and softening, clarifying heat and eliminating poison, dipersing lung and softening, toxicding and softening, guiding Qi and activating blood, clarifying heat and dispersing lung, guiding Qi and counteracting stress etc., and the methods of supplementing vital energy with eliminating poison were reinforcing spleen and transforming pathological fluid, increasing Qi and activating blood, supplementing Yin and clarifying heat, reinforcing spleen and dry the dampness, lubricating lung and transforming patholigical fluid and supplementing Qi and activating blood. 2. The oriental prescriptions used for pulmonary cancer were Chunkeum-Weekyungtang & Sohamhwingtang, Jinhayookgunjatang, Hyulboochukeotang, Bokbangkyogonamtang was reported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metastasis. 3. Bokbangshinjingtang and haewool were applied for the complications of pulmonary cancer, Soshihotang for fever, hangamryung for tumor pain. Prunus ansu Komarov, Eriobotrya japonica Lirdley, Pyrrosiae lingua Farwel, Steomon japonica Miguel, Maximowiczia chinensis Ruprecht var, Morus bombycis Koidzumi for cough, Panax Pseudo-ginseng Wall. var, Bletilla striata Reichenbach f., Acacia catechu(兒茶) for hemoptysis, Lonicerae flos, Aspongopus chinensis(九香蟲) for chest pain, Cypsum Fibrosum, Gazella gutturosa,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Gypsophila oldhamiana Miquel for fever, Lepidii semen descurainiae semen, Belamcanda chinensis D.C, Gnaphalium affine(佛耳草) for asthma. 4. For the reduction of side effect by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it was known that supplementing Qi was used chiefly for side effect of chemotherapy and augmenting Yin applied to side effect of radiotherapy. 5. The oriental presciptions were suggested for the side effect by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 Sammaekaek(參麥液), Whaebokwontang(化瘀復元湯), Hwangjungomitang(黃精五味湯), Yukmijihwangtang(六味地黃湯), Hyangsayukgunjatang(香砂六君子湯), Samlyeekulsan for side effect by chemotherapy while Geumgweisingiwhan, Hwanglyentang(黃連湯), Hwanglyenhaedoktang(黃連解毒湯), Yangyeunchungpeitang(養陰淸肺湯), Idongtang(二冬湯), Jayeunkanghwatang(滋陰降火湯) for side effect by radiotherapy.

  • PDF

알콕사이드로부터 Mullite 분말의 합성 및 Mullite-Zirconia 복합체의 특성 (Synthesis of Mullite Powder from Alkoxides and the Properties of the Mullite-Zircocnia Composites)

  • 함종근;이홍림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01-210
    • /
    • 1990
  • The mullite-15v/o ZrO2 composites were prepared by dispersing ZrO2-3m/o Y2O3 powders into the mullite matrix in order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mullite. The densification and retention of t-ZrO2 in the matrix of synthetic mullite were also investigated. From IR spectroscopic analysis, the obtained amorphous SiO2-Al2O3 powder was observed to have Si-O-Al chemical bond in its structure which might result in the homogeneous mullite composition. The lattice parameter of the mullite powder calcined above 130$0^{\circ}C$ (a0=7.5468$\AA$) is nearly close to the value of stoichiometric mullite (71.8wt% Al2O3, a0=7.5456$\AA$). The sintering behavior, microstructure, flexural strength and fracture toughness of the mullite and mullite-15v/o ZrO2 composites have been studied. The mullite-15v/o ZrO2(+3m/o Y2O3) ceramics with relative densities of 96% were obtained when sintered at 1$600^{\circ}C$. The flexural strength and fractrue toughness of the composites sintered at 1$600^{\circ}C$(calcination temperature of mullite powders ; 125$0^{\circ}C$) had maximum values of 307MPa and 2.50MPa.m1/2, respectively. The fracture toughness improvement in the mullite-ZrO2 cmoposite is assumed to be resulted from the combined effect of the stress-induced phase transformation of tetragonal ZrO2 and the crack deflection due to microcracking by the monoclinic ZrO2 formation.

  • PDF

텅스텐 다공성폼 강화 Zr계 비정질 기지 복합재료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성질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morphous Matrix Composite Reinforced with Tungsten Porous Foam)

  • 손창영;이상복;이상관;김충년;이성학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09-115
    • /
    • 2010
  • In the present study, a Zr-based amorphous alloy matrix composite reinforced with tungsten porous foam was fabricated without pores or defects by liquid pressing process, and its microstructures and mechan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About 69 vol.% of tungsten foam was homogeneously distributed inside the amorphous matrix, although the matrix of the composite contained a small amount of crystalline phases. The compressive test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posite was not fractured at one time after reaching the maximum compressive strength, but showed considerable plastic strain as the compressive load was sustained by tungsten foam. The tungsten foam greatly improved the strength (2764 MPa) and ductility (39.4%) of the composite by homogeneously dispersing the stress applied to the matrix. This was because the tungsten foam and matrix were simultaneously deformed without showing anisotropic deformation due to the excellent bonding of tungsten/matrix interfac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liquid pressing process is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amorphous matrix composites with improved strength and ductility.

하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Milled-bar와 ADD-TOC 부착 장치를 이용한 탈착 가능한 지르코니아 보철물 수복 증례 (Detachable zirconia prosthesis using Milled bar and ADD-TOC attachment in partial edentulous mandible: A case report)

  • 손민성;허중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90-99
    • /
    • 2023
  • 임플란트 피개의치는 골 흡수가 심한 완전 무치악 또는 부분 무치악 환자의 구강 기능 회복을 위한 치료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Milled bar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경우 bar가 임플란트 고정체를 연결 고정하므로 기계적으로 유리하며, bar에 추가적으로 부착 장치를 적용하면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4개의 임플란트를 사용하여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사용하던 환자가 의치의 반복적인 파절과 유지력의 약화로 인해 새로운 보철물 제작을 원하여 ADD-TOC 부착 장치가 부착된 milled bar와 탈착 가능한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CAD-CAM 방식으로 제작하였고, 이를 통해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반도체 다이싱 공정에서 발생하는 실리콘 슬러지를 재활용한 실리카 나노입자의 제조 및 전기감응형 유체로의 응용 (Preparation of Silica Nanoparticles via Recycling of Silicon Sludge from Semiconductor Dicing Process and Electro-responsive Smart Fluid Application)

  • 추연룡;제갈석;김지원;김하영;김찬교;사민기;심형섭;윤창민
    • 유기물자원화
    • /
    • 제31권3호
    • /
    • pp.15-2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반도체 패키지 다이싱 공정에서 발생하는 실리콘 슬러지를 재활용하여 실리카 나노입자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전기감응형 스마트유체의 분산 물질로 적용하였다. 상세히는, 실리콘 슬러지에 산처리를 통해 금속불순물을 제거한 고순도의 실리콘 분말을 얻고, 수열합성법을 통해 실리카 나노입자를 합성하였다. 실리카 나노입자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수열합성법의 반응시간을 8, 15, 20, 30시간으로 진행하였으며, 반응시간이 증가할수록 실리카 나노입자의 크기가 증가하였다. 수열합성의 반응시간이 길어질수록 실리콘의 가수화 및 탈수 반응이 증가하며 입자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실리콘 슬러지에서 제조한 실리카 나노입자를 실리콘 오일에 분산하여 전기감응형 스마트유체로 응용하였다. 그 결과, 30시간의 수열합성으로 제조된 실리카 나노입자가 동일한 전기장 하에서 21.4Pa의 가장 높은 전단응력을 나타내었다. 이는 큰 실리카 나노입자의 사이에 작은 입자들이 배치되는 보강효과 효과를 통해 단단한 사슬구조의 형성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반도체 다이싱 공정에서 발생하는 실리콘 슬러지를 성공적으로 재활용하여 실리카 나노입자를 제조하였고, 이를 전기감응형 스마트유체에 적용함으로써 산업현장에서 친환경성을 강조하는 ESG 경영의 일환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Biofilm Differentiation and Dispersal

  • Kjelleberg, Staffan;Barraud, Nicolas;Egan, Suhelen;Ho, Wing Ka;Huynh, Trieu Tran;Klebensberger, Janosch;Koh, Kai Shyang;Lucas-Elio, Patricia;Mai-Prochnow, Anne;Marshall, Dustin J.;Matz, Carsten;McDougald, Diane;Rice, Scott A.;Sanchez-Amat, Antonio;Schleheck, David;Shahbazi, Jeyran;Steinberg, Peter D.;Tan, Chuan Hao;Thomas, Torsten;Webb, Jermy S.;Woo, Jerry K.K.
    • 한국미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f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 /
    • pp.42-44
    • /
    • 2008
  • Bacterial biofilms are analogous to multi-cellular organisms or to clonal communities of higher organisms. In this respect, it can be demonstrated that biofilms display the type of genetic variation associated with macroorganisms. The formation of genetic variants from biofilms is the result of internally produced and regulated signals and the appearance of these variants coincides with dispersal from the biofilm. Moreover, the generation of such variation, has similar outcomes for the bacterial community, where diversification of phenotypic traits ensures that the bacterial community optimizes its chances of success when dispersing or surviving when challenged with environmental stress. These observations increase the complexity with which we view bacteria and also suggest that microbial systems can serve as models for the testing of eukaryotic ecological theories.

  • PDF

다중벽 탄소나노튜브가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변학적 물성 및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 on Rheological Behavior and Compressive Strength of Cement Paste)

  • 김지현;김원우;문재흠;정철우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467-474
    • /
    • 2020
  • 탄소나노튜브는 뛰어난 역학적 성능 및 기능성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나노소재이다. 탄소나노튜브를 건설재료 분야에 활용하는 연구는 현재의 화두 중 하나로, 예전에 비해 점차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탄소나노튜브의 혼입률이 시멘트 페이스트의 압축강도 및 유변학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문헌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Polyvinyl Pyrrolidone을 사용하여 수용액 분산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하여 시멘트 페이스트를 제조하고, 이의 유변학적 물성 및 압축강도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탄소나노튜브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소성점도 및 소성항복응력의 증가가 발생하였으며, 물시멘트비가 낮은 경우에 이러한 경향이 더욱 뚜렷하게 드러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탄소나노튜브 혼입 시멘트 페이스트의 압축강도는 물시멘트비가 0.30인 경우 탄소나노튜브 혼입률 0.1wt%에서, 물시멘트비가 0.40인 경우에는 혼입률 0.2wt%에서 최대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차원 보강 복합재 체결부의 피로강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Fatigue Strength of the 3-D Reinforced Composite Joints)

  • 김지완;안우진;서경호;최진호
    • Composites Research
    • /
    • 제35권5호
    • /
    • pp.322-327
    • /
    • 2022
  • 복합재 체결부는 뛰어난 물성과 가벼운 구조의 수요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두께 방향의 취약한 물성으로 인해 체결부 파손이 쉽게 발생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체결부 끝단의 집중되는 응력을 완화시켜주는 Z-피닝, 스티칭 등 다양한 공법들이 적용되고 있다. Z-피닝 공법은 프리프레그의 두께 방향으로 금속 핀이나 카본 핀을 적용하여 보강하는 공법이고, 스티칭 공법은 프리폼에 상부 및 하부 섬유를 교차시켜 두께방향으로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I-fiber 스티칭 공법은 Z-pinning 공법과 Stitching 공법을 보완한 유망한 공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I-fiber 스티칭 공법으로 보강된 Single-lap joint 시편을 오토클레이브 진공백 성형법으로 제작하여, 모재의 두께와 스티칭 각도에 따른 인장강도 및 피로강도 특성을 평가하여, I-fiber 보강 복합재 체결부 구조물의 보강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복합재 체결부의 두께가 얇을수록 I-fiber 보강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I-fiber로 보강된 복합재 체결부는 파손강도에서 약 52%, 피로강도에서 약 118% 우수한 특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