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ischarge Time

검색결과 2,617건 처리시간 0.031초

Clinical Effect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henhuang Granule in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COVID-19: A Single-Centered,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 Feng, Jun;Fang, Bangjiang;Zhou, Daixing;Wang, Junshuai;Zou, Dengxiu;Yu, Gang;Fen, Yikuan;Peng, Dan;Hu, Jifa;Zhan, Daqi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3호
    • /
    • pp.380-386
    • /
    • 2021
  •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has become a public health emergency of global concern. In Chin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has been widely administered to COVID-19 patients without sufficient evidenc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Shenhuang Granule (SHG) for treating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COVID-19, we included in this study 118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ICU of Tongji Hospital between January 28, 2020 and March 28, 2020. Among these patients, 33 (27.9%) received standard care plus SHG (treatment group) and 85 (72.1%) received standard care alone (control group). Enrolled patients had a median (IQR) age of 68 (57-75) years, and most (79 [67.1%]) were men. At end point of this study, 83 (70.3%) had died in ICU, 29 (24.5%) had been discharged from ICU, and 6 patients (5.2%) were still in ICU. Compared with control group, mortal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reatment group (45.4% vs. 80%, p < .001). Patients in treatment group were less likely to develop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12 [36.3%] vs. 54 [63.5%], p = 0.012) and cardiac injury (5 [15.1%] vs. 32 [37.6%], p = 0.026), and less likely to receive mechanical ventilation (22 [66.7%] vs. 72 [84.7%], p = 0.028) than those in control group. The median time from ICU admission to discharge was shorter in treatment group (32 [20-73] days vs. 76 [63-79] days, p = 0.0074).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HG treatment as a complementary therapy might be effective for critically ill adults with COVID-19 and warrant further clinical trials.

염화암모늄 전해질에 포함된 퀴논 레독스 활물질 조합을 이용한 수계 레독스 흐름 전지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Aqueous Redox Flow Battery using Quinone Redox Couple Dissolved in Ammonium Chloride Electrolyte)

  • 이원미;정건용;권용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2호
    • /
    • pp.239-24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Anthraquinone-2,7-disulfonic acid (2,7-AQDS)와 Tiron을 수계 레독스 흐름 전지 음극 및 양극 활물질로 사용하며 기존의 황산 전해질 대신 중성인 염화암모늄 ($NH_4Cl$)을 전해질로 도입하였다. 이렇게 전해질을 변경함으로써, 황산 전해질의 낮은 셀 전압(0.76 V)을 1.01 V까지 향상시킬수 있다. 성능 최적화를 위해 염화암모늄 전해질에 0.1 M로 활물질 농도를 맞춰 컷-오프 전압에 변화를 주며 완전지셀 성능을 평가하였다. 0.2~1.6 V 구간의 컷-오프 전압으로 $40mA/cm^2$ 하에서 20 사이클 동안 완전지셀을 테스트한 결과, 충전 동안 수소가 발생하였다. 이에 컷-오프 전압 조절로 충전 전압을 낮춰서 수소 발생을 제한하고자 0.2~1.2 V 구간으로 $40mA/cm^2$ 하에서 완전지셀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수소 발생은 없었으며, 전류 효율 99%, 방전 용량 3.3 Ah/L의 성능을 보였다.

중·소하천에서 부착미생물군집의 성장에 따른 불소 제거 효과 평가 (Evaluation of Fluoride Removal Effect with Growth of Attached Microbial Community in Middle and Small Stream)

  • 김태경;류서영;박윤아;이종준;주광진;장광현;오종민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6호
    • /
    • pp.595-603
    • /
    • 2018
  • 본 연구는 경기도 중소하천에서 하상의 부착미생물군집의 시간에 따른 생장 변화와 부착미생물군집의 성장에 따른 불소의 제거 효율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방류수가 유입되는 지점인 P1과 그 곳에서 약 2 km 유하한 하류 지점인 P2에서 12주 동안의 현장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조사 지점의 수질과 부착미생물군집의 생체량 분석을 진행하였다. 부착미생물군집의 성장량은 7차 조사 시점까지 증가하다 이후 탈리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부착미생물군집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유량, 유속, 영양물질(질소, 인) 등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부착미생물군집 체내의 불소 함유량 또한 7차 조사 시기까지 증가하다 8차 시점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부착미생물군집의 탈리현상에 의해 불소의 함유량 또한 감소하였음을 사사한다. 이를 통해 하천 관리의 방안으로서 부착미생물군집의 활용법에 대한 평가 및 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부착미생물군집을 활용한 기법의 적용 시에는 부착미생물군집의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기초 조사 및 탈리 시점에 따른 부착판 교체 방안 등이 포함되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2015-17년 전국 20개 거점병원 응급해독제 비축 및 제공 결과 (Antidotes Stocking and Delivery for Acute Poisoning Patients at 20 Emergency Departments in Korea 2015-2017)

  • 이승민;윤한덕;장한석;원신애;김경환;오범진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1-140
    • /
    • 2018
  • Purpose: The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has been running a project for the storage and delivery of antidotes for acute poisoning patients of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Welfare,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project over the past two years. Methods: The requests received by the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and the data on the delivery process were analyzed. Results: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121 patients with acute poisoning, who were requested to receive an antidote reserved at 20 key hospitals in 2015-2017, and whose age was $52.3{\pm}23.5\;years$; old; 54 were women. Intentional poisoning were 58.7%, and the home was the most common place of exposure (66.9%). The toxic substances were chemicals (32.2%), pesticides (27.3%), medicines (24.8%), and snake venom (4.1%). The patient's poison severity score was $2.4{\pm}0.7$ (median 3) indicating moderate-to-severe toxicity. Antidote administration was the cases treated in key hospitals 67.8% (82/121), in which transferred patients accounted for 57.3% (47/82). After receiving an antidote request from a hospital other than the key hospitals, the median was 75.5 minutes (range 10 to 242 minutes) until the antidote reached the patient, and an average of 81.5 minutes was required. The results of emergency care were intensive care unit (70.3%), general wards (13.2%), death (10.7%), and discharge from emergency department (5.0%).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acute poisoning patients treated with an antidote were different from previous reports of poisoned patient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nd basic data on the time required for delivery from key hospitals was different.

자가간호프로그램이 요추간판제거술 환자의 운동이행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지식, 자가간호이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lf-care Program on Exercise performance Self-Efficay, Self-care Knowledge, Self-care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Lumbar Discectomy)

  • 정진희;이혜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891-902
    • /
    • 2021
  • 본 연구는 자가간호프로그램이 요추간판제거술 환자의 운동이행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지식, 자가간호이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대상자는 D광역시 소재 일개 척추전문병원 입원환자 중 미세현미경 요추간판제거술을 받은 환자로 실험군 26명, 대조군 27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백분율, 표준편차, t-test, χ2-tes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가간호프로그램 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보조기 관리지식(p=.001)과 일상생활관리지식점수(p=.005)가 더 높아 지지되었다. 또한 자가간호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는 대조군보다 보조기 관리이행도(p=.011), 일상생활 이행도(p=.007), 유해생활 습관관리 이행도(p=.011)가 높아 지지되었다. 따라서 자가간호프로그램은 요추간판제거술 환자의 수술 전후 적용을 통해 운동이행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지식 및 자가간호이행도를 향상시켜 보다 빠른 회복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Safety evaluation of atmospheric pressure plasma jets in in vitro and in vivo experiments

  • Lee, Ji-Yoon;Park, Shin-Young;Kim, Kyoung-Hwa;Yoon, Sung-Young;Kim, Gon-Ho;Lee, Yong-Moo;Seol, Yang-J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1권3호
    • /
    • pp.213-223
    • /
    • 2021
  • Purpose: The atmospheric pressure plasma jet (APPJ) has been introduced as an effective disinfection method for titanium surfaces due to their massive radical generation at low temperatures. Helium (He) has been widely applied as a discharge gas in APPJ due to its bactericidal effects and was proven to be effective in our previous study.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ects of He-APPJ application at both the cell and tissue levels. Methods: Cellular-level responses were examined using human gingival fibroblasts and osteoblasts (MC3T3-E1 cells). He-APPJ was administered to the cell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only He-gas treatment. Immediate cell responses and recovery after He-APPJ treatment were examined in both cell groups. The effect of He-APPJ on osteogenic differentiation was evaluated via an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ssay. In vivo, He-APPJ treatment was administered to rat calvarial bone and the adjacent periosteum, and samples were harvested for histological examination. Results: He-APPJ treatment for 5 minutes induced irreversible effects in both human gingival fibroblasts and osteoblasts in vitro. Immediate cell detachment of human gingival fibroblasts and osteoblasts was shown regardless of treatment time. However, the detached areas in the groups treated for 1 or 3 minutes were completely repopulated within 7 days.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was not influenced by 1 or 3 minutes of plasma treatment, bu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5 minute-treated group (P=0.002). In vivo, He-APPJ treatment was administered to rat calvaria and periosteum for 1 or 3 minutes. No pathogenic changes occurred at 7 days after He-APPJ treatment in the He-APPJ-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e gas only). Conclusions: Direct He-APPJ treatment for up to 3 minutes showed no harmful effects at either the cell or tissue level.

리튬이온 배터리를 적용한 실내용 전동휠체어 주행특성 분석 (Analysis of driving characteristics of electric wheelchair for indoor driving using lithium-ion battery)

  • 김영필;함헌주;홍성희;고석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857-866
    • /
    • 2020
  • '이동'이란 사람들이 매 순간 행동하고, 타인과 교류하며 특정 목적을 달성하는 '장소'의 확장 개념으로 이동에 불편함을 느끼는 사회적 교통약자에게 있어 이동보조수단인 휠체어는 신체적·정신적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아주 큰 영향을 발휘한다. 이러한 휠체어는 수동식 휠체어와 전동식 휠체어로 구분되는데, 수동식 휠체어는 이용자의 팔과 손의 힘으로 앞으로 추진하게 된다. 하지만 전동식 휠체어는 배터리를 통해 모터에 전기에너지를 공급 해 주고, 모터의 회전에 의해 앞으로 추진하게 된다. 전동휠체어는 주로 실외활동을 중점으로 개발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일상생활의 주 공간인 실내용 이동보조수단에 대한 개발 요구가 증가하게됨에 따라 실내용 전동휠체어 개발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실내용 이동보조수단의 경우 공간의 특성상 단거리를 반복 주행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전동휠체어의 단거리 주행에 따른 리튬이온배터리의 주행특성을 확인하고, 연속주행의 리튬이온배터리 주행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단거리 주행의 경우 리튬이온배터리의 방전종지전압 도달 시 까지 5초 주행 1초 정지를 반복수행하였다. 리튬이온 배터리를 적용한 실내용 전동휠체어의 주행특성을 분석한 결과 실내 이동을 고려한 단거리 주행시험의 경우 연속주행보다 주행시간이 2.8% 짧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실내용 전동휠체어의 회전모터에 인가 된 전류의 경우 실내 이동을 고려한 단거리 주행이 연속주행 보다 15.4%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드론을 이용한 홍수기 유량측정방법 개발(I) - 항공사진측량 기법 적용 (Development of flow measurement method using drones in flood season (I) - aerial photogrammetry technique)

  • 이태희;임혁진;윤성학;강종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12호
    • /
    • pp.1049-1057
    • /
    • 2020
  • 본 연구는 드론을 이용하여 홍수기 하천에서의 유량측정방법 개발을 위해 수행하였다. 홍수기 유량측정은 예산, 인력, 안전 및 하천공사 등의 문제로 매년 모든 지점에서 유량 측정을 실시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태풍 등 큰 호우사상 발생 시 수위-유량관계 변화 검토가 필요하지만 앞에서 언급한 문제 등으로 인하여 측정에 어려움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소 인력이 단시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항공사진측량 개념으로 접근하여 의정부시(신곡교) 지점과 영동군(영동제2교) 지점 하도 주변에 확인 가능한 위치에 지상기준점(GCP, Ground Control Points) 4개점을 선점하고 VRS DGPS 장비를 이용하여 좌표측량을 수행하였다. 드론을 일정높이의 정지상태(Hovering)에서 하도 내 수 표면을 카메라의 인터벌 기능으로 3초 간격 정사영상을 촬영하였다. 정사 촬영된 항공사진의 좌표계를 평면지각좌표계인 GRS80 TM좌표계로 정의한 후 GCP 좌표를 활용하여 보다 정밀하게 정사보정을 실시하였다. 수표면에 유하하는 부유물의 3초 간격 위치를 X, Y좌표 분석을 통해 이동거리를 평균유속으로 산정하고 유하경로에 따른 통수단면적을 적용하여 유량을 산정하였다. 따라서 항공사진측량 기법을 적용하여 홍수기에 드론을 이용한 유량측정방법에 대한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25-Hydroxyvitamin D level is associated with mortality in patients with critical COVID-19: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in Mexico City

  • Parra-Ortega, Israel;Alcara-Ramirez, Diana Guadalupe;Ronzon-Ronzon, Alma Angelica;Elias-Garcia, Fermin;Mata-Chapol, Jose Agustin;Cervantes-Cote, Alejandro Daniel;Lopez-Martinez, Briceida;Villasis-Keever, Miguel Angel;Zurita-Cruz, Jessie Nallely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5권sup1호
    • /
    • pp.32-40
    • /
    • 2021
  • BACKGROUND/OBJECTIVES: Considering the high number of deaths from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in Latin American countries, together with multiple factors that increase the prevalence of vitamin D deficiency, we aimed to determine 25-hydroxyvitamin D (25[OH]D) levels and its association with mortality in patients with critical COVID-19. SUBJECTS/METHODS: This was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including adult patients with critical COVID-19. Data, including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25(OH)D levels measured at the time of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were collected. All patients were followed until hospital discharge or in-hospital death.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ose surviving and deceased patient groups, and un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independent predictors of in hospital mortality. RESULTS: The entire cohort comprised 94 patients with critical COVID-19 (males, 59.6%; median age, 61.5 years). The median 25(OH)D level was 12.7 ng/mL, and 15 (16%) and 79 (84%) patients had vitamin D insufficiency and vitamin D deficiency, respectively. The median serum 25(OH)D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deceased patients compared with surviving (12.1 vs. 18.7 ng/mL, P < 0.001). Vitamin D deficiency was present in 100% of the deceased patient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ge, body mass index, other risk factors, and 25(OH)D level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mortality. CONCLUSIONS: Vitamin D deficiency was present in 84% of critical COVID-19 patients. Serum 25(OH)D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mortality in critical patients with COVID-19.

수치해석을 통한 화약류 간이저장소의 방폭성 및 구조인자 평가연구 (Evaluation Study of Blast Resistance and Structural Factors in the Explosive Simple Storage by Numerical Analysis)

  • 정승원;김정규;김준하;김남수;김종관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2권2호
    • /
    • pp.160-172
    • /
    • 2022
  • 현재 국내 화약류 간이저장소에 대한 설계 규정은 화약류 저장량이 적다는 이유로 구조기준은 구조물의 벽체 종류 및 두께에 대한 기준만이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간이저장소 내부 폭발 시 2차 피해에 대한 우려가 있어 현재의 기준에 대한 재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간이저장소 내부에서 TNT 15 kg 폭발을 가정하여 강건설계 실험설계법 및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수치해석 결과를 토대로 동일 시간 조건에 발생하는 구조물의 변위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여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기여도 평가 결과 콘크리트 두께가 가장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콘크리트 강도 및 철근 배열의 경우 콘크리트 두께에 비하여 낮은 수준의 기여도를 보였다. 철근 직경의 경우 구조물 변위에 대한 기여도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현재 적용되고 있는 간이저장소에 대한 구조기준은 방폭성능이 부족하여 새로운 설계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었으며 이를 위해 추후 해석 및 실제 실험에 적용할 설계 인자를 선정하였다. 콘크리트 두께의 경우 발생 변위의 양상을 고려하여 15 cm, 콘크리트 강도는 입구 배출 압력을 고려하여 일반 콘크리트, 철근 배열은 발생 변위의 평균이 가장 작은 인자, 철근 직경의 경우 발생 변위의 차이가 낮아 경제성을 고려하여 가장 작은 수준의 인자를 설계변수로서 선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