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Monitoring

검색결과 663건 처리시간 0.025초

GIS, uIT, RS기반 스마트 방재시스템 구축방안 (An Establishment of the GIS, uIT, RS based Smart Disaster Systems)

  • 오종우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87-106
    • /
    • 2010
  •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effect of the GIS, uIT, and RS based smart disaster systems. Ubiquitous IT strongly involved in intelligent analysis for the natural disasters. Remote sensing technologies, such as hyper-spectral imaging, MODIS, LiDAR, Radar, and optical imaging processes, can contribute many means of investigation for the natural and unnatural problems in the atmosphere, hydrosphere, and lithosphere. Recent IT trends guides abundant smart solutions, such as automatic sensing using USN, RFI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mart monitoring systems using intelligent LBSs will produce many ways of checking, processes, and controls for the human safeties. In results, u-smart GIS, uIT, and RS based disaster systems must be using ubiquitous IT involved smart systems using intelligent GIS methods.

재난재해 분야 드론 자료 활용을 위한 준 실시간 드론 영상 전처리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Near-Real Time Drone Image Preprocessing System to use Drone Data in Disaster Monitoring)

  • 주영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43-149
    • /
    • 2018
  • 최근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 피해의 대규모화로 인하여 재해 모니터링과 방재 등 재난재해 분야에서 원격탐사 기술을 적용한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다. 다양한 원격탐사 플랫폼 중 드론은 기술의 확산 발전으로 민간분야에서도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적시성, 경제성 등의 장점으로 재난재해 분야에서의 적용이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드론 기반의 재난재해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의 요소 기술인, 준 실시간으로 드론 영상자료를 매핑할 수 있는 전처리 시스템 개발에 관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컴퓨터 비전 기술 중 SURF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레퍼런스 영상과 촬영 영상 간 특징점 매칭을 통해 보정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연구 대상 지역은 가화강 하류 지역과 대청댐 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두 지역은 매칭을 위한 특징점이 많고 적음의 차이가 뚜렷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시스템 적용 가능성을 위한 실험에 적합하다. 연구결과 두 지역의 기하보정 정확도가 0.6m와 1.7m로 각각 나타났으며 처리시간 또한 1장당 30초 내외로 나타났다. 이는 적시성을 요하는 재난재해 분야에서 본 연구의 적용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레퍼런스 영상이 없거나 정확도가 낮은 경우는 보정 결과가 떨어지는 한계점이 있다.

Flood Monitoring and Assessment by Remote Sensing and GIS in China

  • Jiren, Li;Silong, Zhang;Sun, Chun-Pe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175-182
    • /
    • 2002
  • The paper introduces the application of flood monitoring and assessment by remote sensing and GIS in china and describes the frame of operational system for practical performance of flood disaster mitigation. In addition, The operational system for flood monitoring and assessment in RSTAC/ MWR and its application in the floods of 1998,1999 in china are introduced.

  • PDF

터널 유지관리 계측의 국내설계기준 개선 및 최신 기술동향 (Improvement of Domestic Design Criteria of Tunnel Maintenance Monitoring and Latest Technology Trend)

  • 백경종;권영억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9-16
    • /
    • 2014
  • 공용 중인 터널 구조물의 구조적 취약부위를 대상으로 시행되는 유지관리 계측은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 터널의 굴착에 따른 지반 및 주변 구조물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한 공사 중 계측과 연계하여 판단되어져야 하나 공사시기 및 유지관리 시점을 기준으로 공사 중 계측과 유지관리 계측을 별도로 시행하고 있어 연계성 및 관련 자료의 체계적 관리가 대부분 미흡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 국내 설계기준의 터널계측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유지관리에는 첨단센서 및 무선통신 기술의 활용이 활발히 추진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이와 관련된 유지관리 계측시스템의 개발 적용 및 국내 설계기준 및 시방기준의 개정이 필요하다.

터널구조물 유지관리계측의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s of Maintenance Monitoring in Tunnel Structure)

  • 우종태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0-20
    • /
    • 2020
  • 연구목적: 터널구조물 유지관리계측의 현장점검 결과를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연구방법: 도심지에서 건설되고 있는 서울지하철◯호선 14개 공구의 터널구조물을 대상으로 유지관리계측에 대한 다양한 항목의 문제점을 조사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지관리 계측 항목과 계측수량 및 설치위치는 개착터널과 굴착터널로 구분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계측기기의 내구연한은 각종 기준을 검토하였고, 내구성 확인방법은 계측센서의 승인 및 검수, 검사 및 시험, 검정 및 교정 등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터널구조물 유지관리계측의 개선방안을 건설현장에 적용하면 유지관리계측의 효율성이 증대되고 건설계측 기술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지반구조물 계측센서의 내구연한 기준에 대한 분석적 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the Durability Standard of Ground Structures Monitoring Sensors)

  • 우종태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53-59
    • /
    • 2021
  • 연구목적 및 방법: 본 논문은 지반구조물 계측센서의 내구연한 기준에 대한 분석적 연구로 국내 건설공사 발주기관의 건설 계측센서에 대한 내구연한 기준과 조달청의 건설계측 및 건설기계 관련 내용연수 기준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반구조물에 설치되기 전 조달청에서 물품 자체로 구매하는 경사계와 변형률계 등의 내구연한 기준은 8년에서 10년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 국내외 댐에 설치된 각종 계측센서의 신뢰성 비교를 통한 실제적인 내구연한 분석과 터널에 설치된 유지관리 계측센서의 경과연수에 대한 손망실율 등을 종합 검토한 결과 구조물이나 지반에 설치된 국내 간극수압계 및 토압계 등의 매립식 계측센서의 적정 내구연한은 5년에서 8년이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낙석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낙석위험지역 관리체계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Management System of Rockfall Risk Area Using the Rockfall Analysis Program)

  • 강배동;정재채;장창덕;전계원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79-86
    • /
    • 2022
  • 국립공원공단에서는 낙석위험지역에 낙석방지시설(낙석방지망, 낙석방지울타리, 피암터널 등)을 설치하거나 우회탐방로를 개설하는 등 안전 환경 조성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나 겨울철 이상 고온, 지반의 노령화로 인한 풍화와 절리현상으로 매년 낙석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기존 낙석위험지역 관리방안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국립공원 중 치악산 국립공원 황골지구를 대상으로 하여 낙석 발생의 위험이 있는 시범지역을 선정한 후 Rockfall 프로그램을 이용한 낙석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 결과에 따라 시범지역에 계측시스템과 결합한 대책공법을 적용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낙석의 지속적 관리와 모니터링을 위한 낙석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CCTV 영상 정보와 재난재해 인식 및 실시간 위기 대응 시스템의 융합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Convergence of CCTV Video Information with Disaster Recognition and Real-time Crisis Response System)

  • 김기봉;금기문;장창복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5-22
    • /
    • 2017
  • 최첨단 과학기술 시대를 맞아 사람들은 재난재해 예경보 시스템 및 재난재해 대응 시스템들이 잘 갖추어져 있다고 믿고 있으나 세월호 사건 등에서 알 수 있듯이 현실에서는 제대로 된 재난재해 예경보 및 대응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상황이다. 기존의 재난재해 예경보 시스템의 경우 대부분 효율성이 낮은 센서 정보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영상 정보는 모니터링 요원에 의해 수동적으로 감시되고 있다. 또한 인식된 재난 재해에 대해서도 어떻게 대응하고 처리할 것인지에 대한 대응 시스템과의 연계가 미흡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 CCTV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재난재해의 발생여부 및 정도를 최대한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하고 위기대응 매뉴얼에 근거하여 이를 모든 관련부처나 담당자들에게 자동으로 통보함으로써 효과적인 위기대응이 가능한 CCTV 기반 재난재해 인식 및 실시간 위기 대응 기술을 제안한다.

소셜미디어 위험도기반 재난이슈 탐지모델 (The Detection Model of Disaster Issues based on the Risk Degree of Social Media Contents)

  • 최선화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21-128
    • /
    • 2016
  • Social Media transformed the mass media based information traffic, and it has become a key resource for finding value in enterprises and public institutions. Particularly, in regards to disaster management, the necessity for public participation policy development through the use of social media is emphasized.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developed the Social Big Board, which is a system that monitors social Big Data in real time for purposes of implementing social media disaster management. Social Big Board collects a daily average of 36 million tweets in Korean in real time and automatically filters disaster safety related tweets. The filtered tweets are then automatically categorized into 71 disaster safety types. This real time tweet monitoring system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and insights based on the tweets, such as disaster issues, tweet frequency by region, original tweets, etc. The purpose of using this system is to take advantage of the potential benefits of social media in relations to disaster management. It is a first step towards disaster management that communicates with the people that allows us to hear the voice of the people concerning disaster issues and also understand their emotions at the same time. In this paper, Korean language text mining based Social Big Board will be briefly introduced, and disaster issue detection model, which is key algorithms, will be described. Disaster issues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potential issues, which refers to abnormal signs prior to disaster events, and occurrence issues, which is a notification of disaster events. The detection models of these two categories are defin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models are compared and evaluated.

특수재난 대응 환자 격리 이송 장비의 효율성 및 편의성 평가: 마네킹시뮬레이션 연구 (Efficacy and Usability of Patient Isolation Transport Module for CBRN Disaster : A Manikin Simulation Study)

  • 김기홍;홍기정;함승희;최진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3호
    • /
    • pp.116-12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발 중인 화학, 생물학, 방사능 및 원자력 특수재난 대응 격리 이송 장비의 효율성과 사용 용이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상기 개발 장비는 자체 개발한 격리, 이송, 환자 감시 모듈을 통합하여 제작하였다. 응급구조사를 대상으로 한 마네킹을 이용한 무작위 교차 실험(또는 시뮬레이션)연구이며, 모든 연구대상자는 기존 장비와 특수재난 대응 격리 이송 장비의 시제품을 교대로 사용하였다. 생체신호 변화 검출 소요 시간과 치료 적용 소요 시간으로 효율성을 평가하였고 각 감시장치, 이송카트, 격리 장치 편의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사용 편의성으로 평가하였다. 총 12명의 응급구조사가 연구에 참여하였고 특수재난 대응 격리 이송 장비 군의 저산소증 검출 시간이 3.5초(2.5-3.9)로 기존 장비군의 4.9초(3.8-3.9)보다 유의하게 짧았다(p < 0.05). 심전도 변화 감지 소요 시간 및 안면 마스크 산소 공급 소요 시간의 감소 경향은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특수재난 대응 격리 이송 장비 군의 환자 감시 장치의 전반적 만족도도 특수재난 대응 격리 이송 장비 군이 4점(3.5-5)으로 기존 장비군의 3점(3-3)에 비해 높았다(p < 0.05). 특수재난 대응 격리 이송 장비 사용군이 저산소증 검출 시간이 짧았으며 기존장비에 비해 환자 감시 장치의 전반적 만족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