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ccharide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9초

Chemical Constituents of Fermented Noni (Morinda citrifolia) Juice Exudates and Their Biological Activity

  • Youn, Ui Joung;Chang, Leng Chee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3권1호
    • /
    • pp.16-20
    • /
    • 2017
  • In a continuing study of the fermented noni (Morinda citrifolia) juice exudates, five compounds, heptanyl $2-O-{\beta}-{\small{D}}-xylofuranosyl-(1{\rightarrow}6)-{\beta}-{\small{D}}-glucopyranoside$ (1), n-butyl ${\beta}-{\small{D}}-glucopyranoside$ (2), (1S)-(3-ethenyl-phenyl)-1,2-ethanediol (3), (2S)-2-hydroxybutanedioic acid (4), and daucosterol (5) were isolated from the buthanol partition of the extract. The structures of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by 1D and 2D NMR, and MS experiments, as well as by comparison of their data with the published values. Among the isolates, compounds 1 - 3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e plant species. The isolated compounds were evaluated for their cancer chemopreventive potential based on their ability to inhibit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alpha}$)-induced $NF-{\kappa}B$ activity, and quinonone reductase-1 (QR1)-inducing effect.

The Central Concept for Chitin Catabolic Cascade in Marine Bacterium, Vibrios

  • Jung, Byung-Ok;Roseman, Saul;Park, Jae-Kweon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6권1호
    • /
    • pp.1-5
    • /
    • 2008
  • The enzymatic hydrolysis of chitin has been studied for almost a century, and early work established that at least two enzymes are required, a chitinase that mainly yields the disaccharide N,N'-diacetylchitobiose, or $(GlcNAc)_2$, and a "chitobiase", or ${\beta}$-N-acetylglucosaminidase, which gives the final product G1cNAc. This pathway has not been completely identified but has remained the central concept for the chitin catabolism through the $20^{th}$ century1 including in marine bacteria. However, the chitin catabolic cascade is quite complex, as described in this review. This report describes three biologically functional genes involved in the chitin catabolic cascade of Vibrios in an attempt to better understand the metabolic pathway of chitin.

Effects of Monosaccharides and Disaccharides on the Rheological Behavior of Dense Alumina Slurries I. Creep Testing Method

  • Kim, Jong-Cheol;Auh, Keun-Ho;Chr
    • The Korean Journal of Ceramics
    • /
    • 제5권2호
    • /
    • pp.104-109
    • /
    • 1999
  • Rheological properties of dense slurries over 45 volume % with different monosaccharides and disaccharides were checked in order to increase the solid content of dense slurries without sacrificing plasticity using creep testing method. Strain in creep test showed good correlations with Burger model which is expressed as an exponential function of time. Among several monosaccharides and disaccharides studied here, fructose and sucrose were most effective in making dense alumina slurry plastic than other monosaccharides and disaccharides like glucose, galactose, xyloss and maltose. In the case of dense alumina slurry with sucrose, sucrose content or additional water content enhanced to the plasticity of the slurries.

  • PDF

감미료 소재로서 Di-D-Fructofuranose DianhydrideIII의 물리 및 생리적 특성

  • 박정복;김소자;최용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19-623
    • /
    • 1996
  • Some physical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di-D-fructofuranose dianhydrideIII (DFAIII), as a new sweetener, were investigated via in vitro experiments. The disaccharide was prepared by decomposing inulin with inulin fructotransferase (depolymerizing) from Arthrobacter sp. A-6. DFAIII had more excellent heat and acid stability than sucrose. This was one of the most desirable properties especially for the oligomer types of sweetener. DFAIII showed the least pH drop in the Streptococcus mutans culture, compared with the other saccharides examined. This indicates that the sugar will be fairly effective for preventing dental caries. The saccharide also had a selective Bifidus growth-promoting effect in PYF medium. Whereas, E. coli did not show growth promotion in the DFAIII-containing medium. In the co-culture of Bifidus longum and E. coli in the BL medium, Bifidus longum had a selective growth while the growth of E. coli appeared rather to be inhibited.

  • PDF

Skin Care Effect of Hyaluronic acid as Beauty Foods

  • Yu, Heui-Jong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 /
    • pp.140-152
    • /
    • 2007
  • Hyaluronic acid(HA) is a naturally occurring mucopolysaccharide composed of the repeating disaccharide unit of D-glucuronic acid and N-acetyl-D-glucosamine. HA exists as a high molecular weight polymer in the extracellular matrix of many tissues in the body. HA has been widely used not only for osteoarthritis and ophthalmology but also for cosmetics for skin care. Recently HA has drawin much attention for use in health foods. Bioland Corporation started production of HA t1y biotechnological process in 1990 for cosmetical use. At present Bioland produces HA for cosmetic and food use. We have done many researches to evaluate the helpful effect for skin and safety of HA as food.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HA on the skin after its oral intake, we measured its bioavailability, skin-care effects on anti-wrinkle, moisturization elasticity and desquamation by clinical trial. The results showed that HA is very safe and could bs helpful to improve anti-wrinkling, moisturization, elasticity, and desquamation on the skin.

  • PDF

A chemosystematic investigation of selected Stichococcus-like organisms (Trebouxiophyta)

  • Van, Anh Tu;Karsten, Ulf;Glaser, Karin
    • ALGAE
    • /
    • 제36권2호
    • /
    • pp.123-135
    • /
    • 2021
  • The taxonomy of green microalgae relies traditionally on morphological traits but has been rapidly changing since the advent of molecular methods. Stichococcus Nägeli is a cosmopolitan terrestrial algal genus of the class Trebouxiophyceae that has recently been split into seven lineages, which, along with Pseudostichococcus, comprise the Stichococcuslike group; there is a need to further characterize these genera, since they are morphologically enigmatic. Here we used organic osmolytes as chemotaxonomic marker to verify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Stichococcus-like strains and were also able to exclude a strain hitherto identified as Gloeotila contorta from this group. Stichococcus-like organisms, including those recently revised, were characterized by the production of the polyol sorbitol and the disaccharide sucrose in high amounts, as is typical of Prasiola-clade algae.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organic osmolyte chemotaxonomy can support green algal taxonomic designations as fundamental research.

식용 및 약용버섯류의 단당류, 이당류, 당알코올 함량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otal sugar and sugar alcohol contents of the fruiting bodies in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s)

  • 조재한;박혜성;한재구;이강효;성기호;전창성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16-323
    • /
    • 2014
  • 당류 성분을 단당류, 이당류, 알코올로 나눠서 비교 분석하였으며 우선 단당류에서 Glucose는 ASI 7114가 81.11 g/l 로 다른 약용버섯 및 식용버섯과 비교를 해 봐도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고, Fructose에서는 노루궁뎅이버섯이 119.98 g/l 이었고, 팽이버섯, 표고버섯도 많은 함량을 보였다. 하지만 영지버섯 중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ASI 7015로 15.70 g/l 이었다. 노루궁뎅이 버섯보다는 1/8정도 수준이었다. Ribose는 전체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으며, 대부분 함유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Xylose는 전체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으며, ASI 7004가 0.96 g/l 로 다른 약용버섯 및 식용버섯과 비교를 해 봐도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지만 큰 차이는 없었다. 다음은 이당류인 Trehalose에서는 양송이버섯이 35.21 g/l 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고, 영지버섯중 가장 많은 함량을 갖고 있는 ASI 7033의 3.09 g/l 보다도 11배이상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lpha}$-Lactose에서는 꽃송이버섯이 3.38 g/l 로 높은 값을 보였고, 영지버섯 중 가장 많은 함량을 갖고 있는 ASI 7060의 0.27 g/l 보다도 12.5배 이상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당 알콜인 Glycerol 에서는 새송이버섯이 69.74 g/l 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고, 영지버섯 중 가장 많은 함량을 갖고 있는 ASI 7004의 8.61 g/l 보다도 8배 이상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Sorbitol에서는 팽이버섯이 0.72 g/l 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고, 영지버섯 중 가장 많은 함량을 갖고 있는 ASI 7003의 0.38 g/l 보다도 2배정도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영지버섯에서는 함유하고 있지 않았다. Mannitol에서는 양송이가 2.96 g/l 로 가장 많은 함량을 갖고 있었으며, 표고버섯과 노랑느타리버섯에서만 함유하고 있었으며, 영지버섯에서는 함유하고 있지 않은 걸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myo-Inositol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모든 것에서 함유하고 있지 않은 걸로 보였다.

콜레스테릴옥시카본화 그리고 (8-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헵타노화 이당류들의 열방성 액정 특성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roperties of Cholesteryloxycarbonated and (8-Cholesteryloxycarbonyl) heptanoated Disaccharides)

  • 정승용;마영대
    • 폴리머
    • /
    • 제31권1호
    • /
    • pp.58-67
    • /
    • 2007
  • 셀로비오스 말토오스 그리고 락토오스를 콜레스테릴 클로로포메이트 또는 (8-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헵타노일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완전치환 콜레스테릴옥시카본화 그리고 (8-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헵타노화 이당류 유도체들을 합성함과 동시에 이들의 열방성 특성들을 검토하였다. 모든 콜레스테릴옥시카본화 유도체들(CH1DSs)은 쌍방성 콜레스테릭 상들을 형성하는 반면 모든 (8-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헵타노화 유도체들(CH8DSs)은 좌측방향의 나선구조를 지니며 온도상승에 의해 광학피치들(${\lambda}m's$)이 감소하는 단방성 콜레스테릭 상들을 형성하였다. 모든 CH1DSs들은 CH8DSs들과 달리 콜레스테릭 상의 전 범위에서 반사색깔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은 콜레스테릴 그룹에 의한 나선의 비틀림력은 콜레스테릴 그룹과 이당류 사슬을 연결하는 스페이서의 길이에 민감하게 의존함을 시사한다. CH8DSs들에서 관찰되는 액정 상의 열적 안정성과 질서도 그리고 ${\lambda}m$의 온도의존성은 콜레스테릴 그룹을 지닌 dimer들과 triplet 그리고 (8-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헵타노화 다당류들에 보고된 결과와 전혀 달랐다. 이들의 결과를 반복단위 몰당의 mesogenic 단위들의 수와 주사슬의 유연성의 차이와의 관련하에서 검토하였다.

군소(Aplysia kurodai)에 분포하는 글루코사미노글리칸의 추출과 기능특성 2. 글루코사미노글리칸의 구조 특성 (Extraction of Glycosaminoglycan from Sea Hare, Aplysia kurodai, and Its Functional Properties 2. Structural Properties of Purified Glycosaminoglycan)

  • 윤보영;최병대;배동원;최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647-1653
    • /
    • 2010
  • 군소에서 추출한 다당류로부터 DEAE-Sepharose 상에서 glycosaminoglycan(GAG)을 정제하여 기능기의 분포, 구성당의 분포, 이당류의 조성과 당 구조를 조사하였다. 정제한 GAG는 기본 형태를 구성하는 이당류 단위가 전체 구성물 중 55%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다당 복합체였다. 정제한 GAG는 1648 $cm^{-1}$에서 amide I의 특징적인 띠와 1457 $cm^{-1}$에서 C-O stretch, 탄수화물 및 아미노산의 특징, 866 $cm^{-1}$에서 단당류의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제한 GAG는 fucose, N-acetylgalactosamine, N-acetylglucosamine, glucose, galactose, 미량의 mannose와 xylose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중에서 N-acetylgalactosamine, N-acetylglucosamine이 70% 이상을 차지하는 다당 복합체인 heparan sulfate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군소 GAG는 단백질핵의 threonine 잔기에 O-연결된 GlyUA(2S)-GlcNS와 GlyUA-GlcNS(6S)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벼(oryza sativa L.)에서 분리한 Methylotrophic N2-Fixing Bacteria의 형태학적 특성 (Phenotypic Characterization of Methylotrophic N2-Fixing Bacteria Isolated from Rice (Oryza sativa L.))

  • ;박명수;이형석;김충우;이규희;;사동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6-53
    • /
    • 2004
  • 벼(Oryza sativa L.)에 서식하고 있는 메탄올 자화세균(methylotrophic bacteria)의 군집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 3지역(청원, 익산, 밀양)의 경작지 논에서 재배되고 있는 4품종(일미, 동진, 남평, 오대) 벼의 잎, 줄기, 이삭, 뿌리 및 근권토양을 수집하였다. Methanol이 유일한 탄소원으로 첨가된 선택배지를 이용하여, 분홍색 색소체를 갖는 35균주와 무색소체의 5균주를 선별하였으며, 선별균주들의 형태학적, 생리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4개의 군집으로 구분하였다. 군집 I 및 IV 는 각각 nitrate와 nitrite reduction 특성에 의해 구별되었으며, pink pigment colony를 형성하는 또 다른 두 개의 군집들은 cellulase 생성유무에 의하여 구분되었다. 표준균주인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은 분리균주들과는 다른 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M. fujisawaense KACC10744는 III 군집에 속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리된 모든 균주들은 urease, oxidase, catalase, pectinase 활성시험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냈으며, indole, MR-VP, $H_2S$, starch, casein 시험에서는 음성반응을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분리 균주들의 열 내성은 없었으며, $45^{\circ}C$ 이상에서는 성장하지 못하였다. 군집 I에서 두개의 분리균주가 각각 gelatin 가수분해와 methane 이용능을 나타내었으며, 대부분의 균주들은 탄소원으로 monosaccharides, disaccharide, polyols를 이용하여 성장하였다. 분리 및 선별되어진 균주들 중 6 균주만이 $86.2-809.9nmol\;C_2H_4\;h^{-1}\;mg^{-1}$ protein 범위의 질소고정능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