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bled User Service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3초

주간(晝間) 정신재활서비스 이용 효과 분석 (Analysis on the Effect of Using the Daytime 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 최숙희;이기효;정용모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33-143
    • /
    • 2011
  • This study is purposed to suggest the method for improving the effect of the mental health project by checking the influence of the "value and func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to the "satisfaction to current life of the mentally disabled" for the users of the daytime 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in the local community, and the difference in the"satisfaction to the current life of the mentally disabled" and "value and func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into the mental rehabilitation program. With regard to the "satisfaction to the current life of the mentally disabl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 current user members" and "consideration about himself in usual time" were the positive influential factors out of the measuring factors for the "value and func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In addition, with regard to the "satisfaction to the current life of the mentally disabled", in case of participating to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out of the mental rehabilitation programs, the general "personal value and function which are felt by the mentally disabled" has hig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case of participating into the "social technology program", "daily life program",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leisure activity program" out of the mental rehabilitation programs than non participating.

영국 커뮤니티케어의 이용자 참여 기제와 한국 장애인복지서비스에 대한 함의 (Issues on User Participation in Korean Disability Services : Implications from UK Community Care)

  • 김용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3호
    • /
    • pp.363-387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 커뮤니티케어의 이용자 참여와 관련된 요소들의 검토를 통해서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서비스에서 이용자 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발견한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서비스에 대한 함의는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영국의 커뮤니티케어에서 채택한 핵심적인 전략인 시장기제의 도입을 통한 소비자주의 접근은 크게 다른 서비스 환경 때문에 현재의 우리나라 장애인서비스에는 적합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지방이양의 쟁점과 관련하여 서비스의 지방이양이 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이용자의 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기 위해서는 서비스의 질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먼저 정립되어야 한다. 셋째, 장애인들에게 사정받을 권리를 보장하고 이와 함께 사례관리 과정에 의해 운영되는 공식적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는 일이 필요하다. 넷째, 이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와 함께 서비스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식화된 이의제기 절차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전문가들이 이용자들의 개별적인 서비스 과정에 대한 참여뿐만 아니라 집단적인 이용자 운동의 참여에 대해서도 지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전문가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용자 참여를 견인할 수 있는 장애인운동의 역할도 동시에 강조될 필요가 있다.

  • PDF

무인우체국 장애인 서비스 모델 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nmanned Post Office Service Model for the Disabled Person)

  • 최지영;이정훈;김재철
    • 경영과학
    • /
    • 제34권2호
    • /
    • pp.1-14
    • /
    • 2017
  • Recently, despite the presence of a large number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acilities and services for the disabled are insufficient in comparison with the advanced countries. Especially, unmanned facilities and devices are not available for disabled people without help. As interest in disabled people increased, the convenient facilities for the disabled person should be legally installed in the public places. Moreover, social consensus formation and technical approaches are being actively pursu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five-step scenario to use an unmanned post office. Based on the proposed scenario, we present the method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unmanned facilities. And we present a plan for establishing the short- and medium-term service models. This plan is expected to be highly practicable because it reflects the current situations of Korea Post and analysis result of the domestic and oversea cases.

배리어 프리 문화예술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arrier-Free Culture and Art Content Applications)

  • 정혜경;고장혁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6-61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 guide service that can provide customized guides according to the disability status of the disabled who consume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It is designed to provide a more individualized service through user input of disabil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type and degree of disability of the disabled, the type of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 desired by the disabled, and information on the cultural and artistic level of the disabled. 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by time and place, and it has the distinction of providing apprecia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and commentary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in various ways on the application. In particular, to provide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differently by identifying the type or degree of disability of the user, or to provide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with different expertise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cultural level and taste, and to improve the cultural level. The most special feature is that it provides recommended content in consideration of the difficulty of art content. User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persona techniqu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eeds for the enjoyment of culture and arts are also increasing among the disabled, while the services that reflect those needs are very insufficient. Therefore, all interviewees stated that they are willing to actively utilize these services if they are releas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the disabled to culture and arts by developing various services using new ICT technologies.

장애인 복지정책에서의 이용자 참여 강화: 독일의 개인예산제도를 중심으로 (Strengthening User Involvement in Welfare Policies for the Disabled: through Case Studies 'Personal Budgets' of Germany)

  • 남용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732-742
    • /
    • 2014
  • 우리나라의 경우 장애인 복지서비스의 공급이 여전히 부족하고, 전달체계도 주로 공급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현실에서 장애인 복지서비스 이용과 관련하여 장애인 당사자의 실질적인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이용자 중심, 즉 이용자의 자율성과 주도성 및 통제권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장애인복지와 관련하여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이용자 참여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이용자 참여' 강화의 사례로서 독일의 개인예산제도를 고찰하여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독일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독일은 개인예산제도의 도입과 운영을 통해 기존에 시행되던 장애인복지와 관련한 지원제도의 지급방식을 전환함으로써, 장애인의 자기결정권 실현이 더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용자 참여를 강화하는 추세로 장애인 복지정책의 방향을 변화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서관장애인서비스 품질요인의 실증적 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mpirical Evaluation of Quality Factor on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 배경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71-287
    • /
    • 2016
  • 본 연구는 이용자 중심의 도서관장애인서비스 품질요인을 실증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품질요인의 실증적인 고찰을 위해 기존 도서관서비스의 품질 측정도구와 장애인서비스 기준 및 지침을 분석하여 총 9개의 품질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 요인을 활용하여 설문조사와 사례의 질적 평가가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에서 가장 핵심적이며, 또한 상대적으로 취약한 품질요인은 시설, 장서, 직원 등 기본적인 도서관 자원의 영역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서관장애인서비스 우수사례를 분석한 결과 독서문화프로그램과 정보서비스 품질요인에 강조를 두고 있음이 조사되었다.

장애인 사용자 경험에 기반한 공공편의시설 접근성 평가 - 주민센터를 중심으로 - (An Evaluation of Accessibility in Public Convenient Facilities based on the Disabled User Experience - Focus on the community center -)

  • 정지원;김현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236-244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ndard 'design guideline' in barrier free laws for the disabled and the disabled's real experience in public convenient facilities. It is mainly focused on accessibility by the disabled people who use an electric motion wheel chair, a wheel chair and crutches as well as a visual impaired person in the public resident centers. For this purpose, four resident centers in Busan have been selected as the objects of investigation. We observed and video recorded the disabled people with various handicaps to access and use facilities in four resident centers, and interviewed them afterwards. We found out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sabled and figured out the difference between barrier free laws and the disabled's real experience. The research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make the arrangement of public convenient facilities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user's movem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better conditions for the disabled to access the public toilet easily and conveniently. Third, it is essential for public convenient facilities to be more strictly controlled by regulations. Fourth, we need to make better standards that could reflect real experiences of various disabled users. Fifth, we need to keep providing the best follow-up service for the disabled in terms of using public convenient facilities safely. This study can contribute for designers to understand specific users through their experiences and suggest improvement ideas for better public convenient Facilities.

Study on Librarian Service Providers' Awareness and Perceptions of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

  • Noh, Young-Hee;Ahn, In-Ja;Park, Mi-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권2호
    • /
    • pp.29-4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library promotional marketing for the disabled by identifying requirements of public library disability servic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librarian service providers' awareness of library programs for the disabled in order to prepare a systematic plan for promoting such library services. Research methods used are a literature analysis and survey. First, the ratio of respondents with experience promoting activities and services for the disabled was less than 50%. Second, regarding methods for promoting library disability services, the respondents used library homepages, press releases, library user guides, library newsletters, and library pamphlets in that order. Third, when asked what kind of PR media the library disability service providers had experience with and how often they use it, library boards and banners were the most common response. Fourth, suggested improvements to the current design and content of PR materials included: clearer word choice (or greater understandability), more detailed descriptions, simpler layouts, and more interesting or eye-catching content in that order. Fifth, the library disability services which are in the most need of public relations were guide information for library disability services,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 (DOI services and search services), using alternative materials and the library collection, and aiding the information search. Overall, when evaluating the promotion of disability services in Korea, the library's public relations for disabled services needs to improve because currently neither librarians nor the disabled community they are targeting has frequent or quality experience with it. Thus, the policy department for the library disability services must develop a variety of promotional strategies adjusted for each type of the disability and distribute PR materials to service providers individually, making sure to utilize effective PR methods.

국내 공공도서관의 장애인 아웃리치 서비스 제공현황 조사분석 연구 (An Analysis of Current Outreach Service for the Disabled in Korean Public Library)

  • 오선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89-316
    • /
    • 2015
  • 장애인은 각종 장애, 이동성 제약, 대체자료 및 서비스의 부족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공공도서관 접근 및 자료이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소하려면 공공도서관은 장애인을 위한 아웃리치 서비스(outreach service)를 제공하여 그들의 다양한 정보요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공공도서관의 아웃리치 서비스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국내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서비스 현황과 인식도를 조사 분석하여 장애인의 규모 및 유형별 아웃리치 서비스 강화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장애인의 도서관 서비스 이용 및 요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brary Service Use and Needs of Disabled Users in Korea)

  • 정연경;김성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01-323
    • /
    • 2008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동등한 정보접근권을 보장하고자 하는 흐름에 발맞추어 장애의 여부나 장애의 유형과 상관없이 모든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해야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 9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국내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장애인 이용자의 이용 실태 및 요구 사항을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장애인 이용자의 도서관 및 도서관 서비스 이용 경험은 상당히 저조한 편이었으며 그 원인은 도서관 및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였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장애인들은 도서관에서 제공되는 자료의 다양성, 충분성, 접근성, 최신성 등에 대해 대체적으로 만족하지 못하였으며 장애유형별로 도서관에 희망하는 프로그램과 개선사항에 차이를 보였다. 결국 장애인 도서관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적극적인 안내와 홍보, 전자자료 구축을 통해 이용자의 접근성을 제고하고, 협령망 구축을 통한 자원공유와 서비스 확대가 필요하고 장애인 서비스를 담당할 전문사서의 배치 및 직무교육 제공이 뒷받침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