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rect water-seeded cultur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7초

벼 담수직파재배에 있어서 적정립모수 설정 (Optimum Number of Seedling Stands of Rice for High Yield in Direct Water-Seeded Culture)

  • 이철원;성기영;임준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05-411
    • /
    • 1994
  • 벼 담수직파재배에서 적정 파종양과 입모수 설정을 위하여 낙동벼와 삼강벼를 공시하여 5월 4일 작물시험장 답작포장에서 파종양을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품종 모두 파종양이 증가할수록 최고분얼수는 많아졌고 유효경비율은 저하하였다. 2. 공시품종 모두 파종양이 증가할수록 유효분얼한계기는 앞당겨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 5kg/10a 파종구의 유효분얼 한계기는 6월 18일 전후이었다. 3. 단위면적당 수수는 공시품종 모두 파종양이 증가할수록 많아졌다. 수당영화수는 낙동벼에서는 파종양의 증가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삼강벼에서는 감소하였다. 4. 파종양이 증가할수록 낙동벼의 등숙률은 떨어 졌으나 삼강벼에서는 차리가 없었다. 5.$m^2$당 적정 입모수는 삼강벼에서는 120개 정도, 낙동벼에서는 78개 정도이었으며 파종양으로 볼 때 삼강벼는 4kg /10a, 낙동벼는 2.7kg /10a 정도가 적당하였다.

  • PDF

Seedling Stand Influenced by Water Management after Seeding and Seed Soaking with Plant Growth Regulators in Direct Wet Seeding Rice

  • Back, Nam-Hyun;Kim, Sang-Su;Kang, Si-Yong;Choi, Min-Gyu;Shin, Hyun-Tak;Kwon, Tae-Oh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25-229
    • /
    • 1999
  • Unstable seedling stand establishment of wet direct seeding culture of rice is one of the major elements preventing the extension of its culture area. In order to develop methods of seedling stand improvement in direct seeded rice on flooded surfaces, three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silty loam soil using a cultivar 'Donjinbyeo' for three years, mainly focusing on water management after seeding and seed soaking with plant growth regulators (PGRs). Under the condition of shallow flooding after seeding, seedling stand rate increased and floating seedling rate decreased in both early and normal season seeding compared to deep flooding. With earlier draining time after seeding, there was a tendency towards preferential growth of the seminal root, increase of seedling stand and decrease of the floating seedling rate. Therefore the highest seedling numbers per unit area and the lowest floating seedling numbers were found upon drainage at 1 day after seeding (DAS), while a contrary tendency was shown upon conventional drainage at 7 DAS. Seed soaking with PGRs such as Metalaxyl or mixing of Metalaxyl with gibberellic acid (GA$_3$)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eedling stand. In addition the effects of PGR treatment on seedling stand and the early growth of plants were greater under flooded conditions than under drained conditions after seeding, although draining of water after seeding improved the seedling establishment rate more when compared with the PGR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draining management after seeding or maintaining of shallow flooding for a week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seedling stand rate in wet direct seeding.

  • PDF

Rapid Quantification of Salmonella in Seafood Using Real-Time PCR Assay

  • Kumar, Rakesh;Surendran, P.K.;Thampuran, Nirmal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3호
    • /
    • pp.569-573
    • /
    • 2010
  • A quantitative detection method for Salmonella in seafood was developed using a SYBR Green-based real-time PCR assay. The assay was developed using pure Salmonella DNA at different dilution levels [i.e., 1,000 to 2 genome equivalents (GE)]. The sensitivity of the real-time assay for Salmonella in seeded seafood samples was determined, and the minimum detection level was 20 CFU/g, whereas a detection level of 2 CFU/ml was obtained for pure culture in water with an efficiency of ${\geq}85%$. The real-time assay was evaluated in repeated experiments with seeded seafood samples and the regression coefficient ($R^2$) values were calculated. The performance of the real-time assay was further assessed with naturally contaminated seafood samples, where 4 out of 9 seafood samples tested positive for Salmonella and harbored cells <100 GE/g, which were not detected by direct plating on Salmonella Chromagar media. Thus, the method developed here will be useful for the rapid quantification of Salmonella in seafood, as the assay can be completed within 2-3 h. In addition, with the ability to detect a low number of Salmonella cells in seafood, this proposed method can be used to generate quantitative data on Salmonella in seafood, facilitating the implementation of control measures for Salmonella contamination in seafood at harvest and post-harvest levels.

벼 휴립건답직파 절수재배에 알맞은 파종량 (Reasonable Seeding Rate for Ridge Direct Seeding on Dry Paddy of Rice as an Irrigation Water-Saving Cultural System)

  • 최원영;박홍규;김상수;신현탁;최선영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143-147
    • /
    • 2000
  • 벼 휴립건답직파 절수재배시 적정 파종량을 알아보고자 1997년~1998년까지 2년간에 걸쳐 전북통(미사질양토)에서 동진벼를 공시하여 파종량을 표준인 60kg/ha부터 2kg/ha씩 증파하여 120kg/ha까지 파종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재배기간중 강수량은 평 915.8 mm였고 관개용수량은 258.75 mm로 1회 관개마다 34.5 mm를 관개하였다. 2. 입모수는 파종량이 많을수록 많았으나 입모율은 반대 경향이었다. 3. 엽면적지수는 파종량이 많을수록 높았고, 지상부건물중도 파종량이 많을수록 무거웠다. 4. 토양수분장력은 관개를 중단한 1일후에는 -2kPa 이었으나 그 후 계속 낮아져 5일후에는 -30kPa이었다. 5. 파종랑이 많을수록 간장+수장이 길어 도복지수가 높았으나 포장도복은 모두 일어나지 않았다. 6. 출수기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등숙비율과 현미천립중은 비슷하였고 m$^2$당 립수는 100kg/ha 파종에서 가장 많아 쌀수량은 파종량 100 kg/ha에서 표준(60kg/ha)대비 9% 증수하였으며, 80kg/ha과 120kg/ha에서는 4% 증수 되었다. 따라서 벼 휴립건답직파 절수재배시 적정 파종량은 100 kg/ha이라고 생각된다.

  • PDF

벼 건답직파 재배시 중간낙수가 생육 및 도복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idsummer Drainage on Growth and Lodging of Rice in Direct Seeding on Dry Paddy)

  • 최민규;김상수;이선용;최선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74-579
    • /
    • 1995
  • 건답직파 재배시 중간낙수처리가 도복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991년에 동률벼를 공시, 5월 1일에 휴립 세조파하고, 파종후 30일에 심수하고 심수후 20일 부터 10일 간격으로 1∼3회 낙수처리하여 도복관련형질 및 수량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장 및 절간장은 낙수회수가 많을수록 짧아지고 간벽은 두꺼워졌으나, 줄기 굵기는 상시심수에서 다소 굵었다. 2. 낙수회수가 많을수록 중심고는 낮아지고 좌절중은 무거워서 도복지수는 적어졌으며, 낙수회수가 많을수록 뿌리량이 많아지고 뿌리의 심층분포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3. 도복은 상시심수에서는 심하게 발생되었으나 낙수회수가 많을수록 경감되어 2∼3회 낙수처리에서는 도복이 발생되지 않았거나 경징하였다. 4. 수량은 등숙후기(출수후 35일)에 도복이 발생되어 상시심수와 낙수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현미중의 청미비율은 낙수회수가 많을수록 감소되는 경향되었다. 5. 따라서 건답직파 재배시 심수후 20일부터 10일간격으로 2∼3회 중간낙수 처리하는 것이 도복방지를 위한 적절한 물관리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 PDF

벼 무경운재배시 볏짚과 둑새풀 고사체 피복이 벼와 논잡초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ice-straw and Dead Waterfoxtail Mulch on Growth of Rice and Paddy Weeds in No-tillage Rice Cultivation)

  • 채제천;전대경;김대욱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1-196
    • /
    • 1998
  • 벼 무경운재배시 수확 잔재인 볏짚과 비선택성 제초제 처리로 고사한 둑새풀이 논토양을 피복할 때 이들이 잡초 발아 및 벼의 입모와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1998년 Pot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볏짚 + 둑새풀 피복구의 입모율은 56.9%로서 볏짚피복구의 79.2%, 무피복구의 80.6%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2. 볏짚 및 볏짚+둑새풀 고사체 피복은 무경운 직파벼의 초기분얼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그러나 분얼성기 이후에는 생육을 유의하게 증진시켰다. 3. 볏짚단독피복, 볏짚+둑새풀 고사체 피복은 무경운직파재배에서의 잡초발생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피의 방제가는 볏짚피복구가 98.5%, 볏짚+둑새풀 고사체피복구에서는 76.1%이었다. 4. 볏짚피복과 볏짚 + 둑새풀 고사체 피복은 담수 후 20일간 수중 pH와 용존산소량을 유의하게 낮추었다. 5. 볏짚 및 볏짚+둑새풀 고사체 피복은 무경운 직파구의 지온을 직파 5일간은 $1^{\circ}C$ 낮추었다가 9일 이후에는 오히려 $1^{\circ}C$ 정도 높였다.

  • PDF

벼 무논골뿌림 재배시 중간낙수 회수가 도복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idsummer Drainage Times on Lodging and Growth of Rice in Direct Drill Seeding Culture on Puddled Soil)

  • 김상수;최원영;석순종;이선용;김종호;조동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3-38
    • /
    • 1995
  • 벼 무논골뿌림재배시 도복방지를 위한 물관리방법을 구명하고자 동진벼를 5월11일에 골깊이를 4cm로 하여 파종하고 중간 락수 회수를 달리하여 도복형질 및 생육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시담수에 비하여 락수회수가 많을수록 절간장이 짧았으며 N$_3$, N$_4$의 간태는 락수회수가 적을수록 굵었으나 간벽은 락수회수가 많을수록 두꺼웠으며 건물중은 1~2회 락수에서 상시담수나 3회락수에 비하여 무거웠다. 2. 락수회수가 많을수록 간장이 작고 생체중이 가벼웠으나 좌절중은 무거워서 도복 지수가 적었으며 도복은 상시담수에서 심하게 발생하였고 1회 락수에서는 약간 발생하였으며 2회와 3회락수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3. 출수기의 토양경도는 락수회수가 많을수록 컸으며 뿌리량은 1~2회 락수에서 많고 뿌리의 심층분포비율은 락수회수가 많을수록 높았다. 4. 수량은 1~2회 락수에서 상시담수와 3회 락수에 비하여 많았고 락수회수가 많을수록 미질이 양호하였다. 5. 따라서 벼 무논골뿌림 재배시는 파종후 30일과 파종후 50일에 실금갈 경도로 락수하는 것이 도복방지 및 수량증대를 위한 적절한 물관리방법으로 생각된다.

  • PDF

주요(主要) 고농서(古農書)를 통(通)한 조선시대(朝鮮時代)의 도작기술(稻作技術) 전개(展開) 과정(過程) 연구(硏究) - IX. 도작기술(稻作技術)에 대(對)한 종합고찰(綜合考察) (A Study on Transition of Rice Culture Practices During Chosun Dynasty Through Old References IX. Intergrated Discussion on Rice)

  • 구자옥;이숭겸;이은웅;이홍석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0-79
    • /
    • 1992
  • 조선왕조초기(朝鮮王朝初期)부터 농업초기정책(農業初期政策)은 지역농업(地域農業)의 현실적(現實的) 조건(條件)과 결부(結付)된 농사직설(農事直說)과 같은 농서(農書) 발간(發刊)에 의해 부여(附與)되었다. 그 책(冊)들은 새롭고, 집약적(集約的)인 농업기술(農業技術)을 제공(提供)하였다. 이 농서(農書)는 그 당시(當時)에 농촌지역(農村地域)에서 경험(經驗)된 우수한 농업기술(農業技術)을 수집(蒐集)하여 만든 것이다. 농사직설(農事直說)에 따르면 벼 재배(栽培)는 무삶이(담수직파법(湛水直播法)), 건삶이(건답직파법(乾畓直播法)), 이앙법(移秧法) 그리고 산도법(山稻法)(육도법(陸稻法))으로 분화(分化)되었다. 이들 농법(農法)에 구비된 고도기술적특성(高度技術的特性)은 과학적제초기술(科學的除草技術)과 적극적인 시비법(施肥法), 축력(畜力)과 인력용(人力用)의 농기(農機)로 일관되게 체계화(體系化)시킨 농작업방법(農作業方法)에 근거(根據)를 두고 있다는 점이다. 해안(海岸)의 습지(濕地)와 황지(荒地)의 개간(開墾)은 화경(火耕)와 윤목(輪木)이라 칭하는 제초장비(除草裝備)로 인하여 가능케 되었다. 또한 벼의 묘령단계(苗令段階)에서 토양(土壤)의 간인(間引), 토기작업(土寄作業)과 동시에 섬세한 제초작업(除草作業)을 할 수 있도록 분화(分化), 발달(發達)된 호미가 있었다. 직파(直播)벼재배(栽培)는 저류지(貯溜地)와 소택(沼澤)을 만들어 평야수전(平野水田)의 직파재배(直播栽培)를 가능케 하였으며, 곡간지답(谷間地畓)은 보(洑)를 만들어 개간했다. 이들은 관수(灌水)에 의해 제초를 쉽게 하는 동시에 관수중(灌水中) 무기영양(無機營養)을 통(通)한 토양비옥도(土壞肥沃度) 유지 및 벼의 생리적(生理的) 호조건(好條件)을 부여하여 논의 생산성(生産性)을 증대시킬 수 있었다. 또한 이앙(移秧)을 하면 더욱 성력재배(省力栽培)가 가능하였을 것이지만 전국적인 물의 사용제약성(使用制約性)때문에 이앙법(移秧法)을 원칙적으로 금해 오지 않을 수 없었다. 건전재배(乾田栽培)에서 직파재배(直播栽培)가 수립되었으며, 수도(水稻)가 직파(直播)되고 유묘기까지 건토(乾土)에 재배(栽培)되었으며 농사직설(農事直說)에서처럼 비올때 관수토양(灌水土壤)에 재배(栽培)되었다. 조선중기(朝鮮中期)(AD 1495-1725)에는 벼 농사(農事)에서의 제초효율(除草效率)과 편리성(便利性) 때문에 정조식(正條式) 이앙법(移秧法)을 포함한 탁월한 성력농법(省力農法)(한정록(閑情錄))과 벼 이앙에 근거(根據)(농사직설(農事直說))하여 못자리(묘대) 기술(벼의 조기이앙(早期移秧)이 강조(强調)되었다. 비료분(肥料分)을 다량투입(多量投入)하고 우력(牛力)을 이용(利用)하여 심경(深耕)해야 한다는 일련(一連)의 기술(技術)들은 토지(土地)와 노동생산성(勞動生産性)을 향상 시키는 것이었다. 농가집성(農家集成)때보다 산림경제(山林經濟)때에 발전된 사항은 오늘날의 육묘대법(陸苗垈法)과 마찬가지인 건앙법(乾秧法)을 개발하여 이앙재배(移秧栽培)하게 만든 것이며, 답이모작(畓二毛作)을 확립(確立)시켜서 답작(畓作)의 노동(勞動) 및 토지생산성(土地生産性)을 높이게 된 것이다. 이결과 소경영생산양식(小經營生産樣式)을 경영형(經營型) 부농적(富農的) 생산양식(生産樣式)으로 변화시켜 광작농법사회(廣作農法社會)를 태동(胎動)시켰다. 우하영(禹夏永)(1741-1812) 은 천일록(千一錄)을 통하여 당시의 광작농(廣作農)이 갖는 폐단을 집약적(集約的) 농법(農法)으로 개혁하고자 하였고, 그가운데 탁월한 견해로서 농지(農地)를 토질(土質)에 따라 이앙법(移秧法)과 grooving 파종법(播種法)(전(田))으로 땅(토지(土地))의 이용을 구분한 것이다. 특히 서유가(徐有架)(산림경제(山林經濟))가 주장한바 이앙(移秧)의 유리성(有利性)은 제초노력이 절감되고 묘대(苗垈)와 본답(本畓)의 토지기력(土地氣力)을 얻기 때문에 벼의 좋은 생육(生育)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또는 벼를 뽑았다가 다시 심기 때문에 새롭게 기력이 얻어진다는 것이었다. 물론 이앙법(移秧法)에 앞선 재평가(再評價), 이모작(二毛作)의 한계성(限界性), 반답법(反畓法)의 제약론(制約論), 광작(廣作)의 폐단에 처한 금지론(禁止論)이 있었다. 그당시 이지연(李止淵)에 의해서 벼의 수도수분생이(水稻水分生理), 토지(土地) 및 제초(除草)의 편리성(便利性)을 고려한 수도직파재배법(水稻直播栽培法)이 쓰여 졌는데 그것은 가장 안정한 농가소득을 확보하는 창조적인 작부체계(作付體系)였다.

  • PDF

Benzenesulfonylurea계 화합물(化合物) KSC-13906의 약해발생요인(藥害發生要因) 및 경감방법(輕減方法) (Phytotoxicity Inducing Factors and Its Safening Methods for Benzenesulfonylurea Compound KSC-13906)

  • 황인택;최정섭;홍경식;유주현;김진석;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25-236
    • /
    • 1998
  • 시험 화합물 KSC-13906에 대하여 이앙심도(移秧深度)와 감수심(減水深)의 차이에 의한 약해 및 약효 변동, 토양중 이동성 등의 효력 변동 요인과 인위적인 용출 조절 처리, dymron 및 타 제초제와의 혼합 처리에 의한 약해 경감 효과와 상호작용 특성 등을 온실에서 조사하여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5 엽기 어린 모의 경우 3cm 깊이로 이앙하고 이앙 10일 이후에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0 - 1cm/day의 무누수 조건보다 3 - 5cm/day의 감수심 조건에서 약효와 약해가 모두 감소되었다. KSC-13906는 3cm/day의 용출조건 에서 2cm 정도의 이동폭을 가지고 있었다. 인위적인 용출조절(溶出調節)에 의하여 KSC-13906의 배량 약해 경감 효과가 뚜렸하였으나 직파벼에 대한 약해를 완전히 제거시킬 수는 없었다. 약해 경감을 위한 dymron의 혼합처리 효과는 아주 우수하여 7 DAT 처리 KSC-13906 18g ai/ha까지도 직파벼가 안전하였고, 12 DAT 처리에서도 18g ai/ha까지 안전성을 증대시켰다. KSC-13906과 mefenacet의 2원 혼합 처리에서는 약해 경감 효과가 나다나지 않았지만, KSC-13906과 mefenacet 그리고 dymron 3원 혼합의 경우 처리한 전 조합에서 약해 문제는 피할 수 있었다. KSC-13906를 thiobencarb, piperophos, 2,4-D, diuron, quinclorac 등과 혼합할 경우 약해 - 약효측면에서 실용적인 장점을 찾을 수 없었으나 9 - 12g ai/ha의 KSC-13906과 250 - 500g ai/ha의 dymron을 혼합하거나, KSC 13906+mefenacet+dymron을 9+250+250g ai/ha로 조합 처리할 경우 실용화 가능성이 인정되었다.

  • PDF

호려과작물(葫藘科作物)에 대한 선택성제초제선발(選擇性除草劑選拔)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Selective Herbicides to Cucurbitaceae Crop)

  • 양환승;문영희;김낙응;김진하;최연철;박형근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08-216
    • /
    • 1988
  • 폴리에칠렌 피복하(被覆下) 호려과(葫藘科)(박과) 5작물(作物)에 대하여 적용(適用)이 가능(可能)한 제초제(除草劑)를 선발(選拔)하기 위하여 밭포장(圃場)(식양토(埴壤土))에서 직파(直播) 또는 이식재배시(移植栽培時) 6종(種)의 제초제(除草劑)를 공시(供試)하여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직파재배(直播栽培) (1) Ethalfluralin은 박, 호박, 수박, 오이, 참외에 대하여 초기약해(初期藥害)가 거의 없었으며, 최종생체중(最終生體重)에 있어서도 박, 호박은 1.080 g ai/ha까지, 수박과 오이, 참외는 720g ai/ha까지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2) Napropamide는 1,500~3,000 g ai/ha까지 박과(科) 5종(種)에 대하여 초기약해(初期藥害)가 거의 없었고, 최종생체중(最終生體重)에 있어서 박, 호박, 오이는 3,000 g ai/ha까지, 참외, 수박은 1,500 g ai/ha까지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3) Trifluralin은 890 g ai/ha, nitralin은 1,500 g ai/ ha에서 박에 한해서 초기약해(初期藥害)도 없었고 최종생체중(最終生體重)에 있어서도 유의차가 없었다. 2. 이식재배(移植栽培) 박을 태목(台木)으로 하고 수박과 참외의 접수(接穗)를 접목(接木)한 묘(苗)를 이식재배시(移植栽培時) 처리(處理)한 제초제(除草劑)중 수박, 참외에 대하여 약해(藥害)가 없고 생육량(生育量)에 있어서 유의차가 없는 제초제(除草劑)는 ethalfluralin(540~1,080 g 단, 수박은 720g ai/ha), napropamide(l,500~3,000 g ai/ha) 및 trifluralin(890 g ai/ha) 및 nitralin(1,500 g ai/ha)이었다. 3. 종합적(綜合的)인 제초효과(除草效果)는 ethalfluralin(720 g ai/ha 이상)과 pendimethalin(1,268 g ai/ha)이 90% 이상(以上)으로 가장 높았고 그 이외(以外)의 약제(藥劑)들은 81~85% 범위의 제초율(除草率)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