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oscorea Japonica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산 마속(마과)의 외부형태형질에 의한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Dioscorea L. (Dioscoreaceae) in Korea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 정대희;정규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80-390
    • /
    • 2015
  • 한국산 마속(Dioscorea L.) 6분류군(마; D. polystachya, 참마; D. japonica, 부채마; D. nipponica, 단풍마; D. quinqueloba, 각시마; D. tenuipes, 도꼬로마; D. dokoro)을 대상으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관찰하였다. 지하부의 유형, 주아의 형성 유무 등이 마절(Enanatiophyllum)과 부채마절(Stenophora)을 구분하는 유용한 형질로 관찰되었으며, 엽병 기부의 돌기 유무, 꽃의 형태 및 색, 열매의 형태, 종자 날개의 형태 등을 비롯한 약의 위치 와 암술 형태와 같은 미세구조적 형질 등이 종을 식별하는 중요한 형질로 판단되었다. 또한 상기 식별형질을 바탕으로 검색표를 제시하였고, 한반도 내 마속 식물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참마(Dioscorea japonica Thunb)의 조리법개발과 그 섭취가 당뇨병환자의 혈당에 미치는 영향 (Development of Recipe for the Prepertations of Dioscorea japonica Thunb and Their Hypoglycemic Effects on Diabetes Mellitus Patients)

  • 임숙자;김평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67-273
    • /
    • 1995
  • Twenty five cooking recipe with yam (Dioscorea japonica Thunb) have been developed and their hypoglycemic effects on diabetic patient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s revealed that the tested recipe were in good scores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3.30-4.33) except Chojuli. The 10-panel members indicated that the yam cookings were more acceptable when they were cooked with other vegetables. Twenty seven diabetic patients were entered in a general hospital during the 2-month experimental period and they were allowed to consume the diet with yam cooking dish, 75 g of yam a day. The fasting blood glucose and 2-hour postprandial blood glucose levels were determined. The diabetic patients who consumed yam showed the lower blood glucose levels than those patients who were controlled with the hospital diet only. The hypoglycemic effects of the yam were more evident in the patients who were injected with insulin. The constant lowering effects of blood glucose levels were observed in the normal subjects who had taken the yam cookery, leading to that one subject who started with a low blood glucose level must stop the yam consumption after 10 days.

  • PDF

Enhancement of immune activities of Dioscorea japonica Thunberg in in vivo and ex vivo models

  • Lim, Seokwon;Kim, Na-Hyung;Cho, Hi-Jae;Jeong, Hyun-Ja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98-403
    • /
    • 2019
  • Dioscorea japonica Thunberg (DJ) has been widely used as a healthy food in Korea for the enhancement of physical stamina. Hence,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immune-enhancing effect of DJ in forced swim test of mouse model. The immobility time of the group treated with DJ for 7 days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After a forced swimming test, the changes in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and splenic T lymphocyte populations induced by the administration of DJ were assessed. Serum levels of lactic dehydrogenase, creatine phosphokinase,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DJ-administered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administration of DJ did not affect the splenic T lymphocyte populations. Moreover, DJ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oduction of interferon-g and interleukin-2 compared to the media control in splenocytes. Collectively, it may be concluded that DJ is useful for enhancement of physical and immune function.

Monascus 속 균주를 이용한 발효 홍국마 추출물의 생리학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Extracts from Monascus-Fermented Chinese Yam by Monascus sp. strain)

  • 전춘표;박세철;이준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29-832
    • /
    • 2014
  • 본 연구는 발효 홍국마로부터 에탄올 추출물 농도에 따른 생리활성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발효 홍국마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색소, DPPH radical 소거활성, 환원력 및 monacolin K 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기질로서 장마를 Monascus sp. MK805 균주로 발효하였을 때 홍국색소는 29.6(황색), 15.1(오렌지색), 20.4(적색),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72.8%, 환원력은 1.74 및 monacolin K 함량은 480.6 mg/kg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이처럼 발효 홍국마는 항산화 및 항고지혈증 관련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의 이용 기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마 분말이 첨가된 국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Added with Dioscorea japonica Powder)

  • 안장우;윤종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28-533
    • /
    • 2008
  • 마 분말을 밀가루 대비 0%(시료 I), 1.4%(시료 II), 2.8%(시료 III), 4.2%(시료 IV)를 대체하여 첨가하여 국수를 만들어 여러 가지 특성을 조사하였다. 생국수와 조리된 국수의 L값은 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조리된 국수의 b값은 마 분말의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a값은 네 시료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조리에 따른 국수의 무게증가율에서는 IV 시료가 가장 높았다. III, IV 시료의 부피증가율이 I, II 시료보다 더 컸다. 조리된 국수의 밀도는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국물의 pH와 탁도는 마 분말의 첨가량이 늘어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조리된 국수의 경도와 탄성은 시료 I이 가장 높았고 시료 II, III, IV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응집성과 검성은 시료 III, IV가 I, II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작았다. 관능검사 결과 네 시료 사이에 외관과 향미의 기호도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색은 I과 II 시료가 III, IV 시료에 비해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맛과 조직감,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시료 III이 가장 선호되었다. 이로써 마 분말이 첨가된 국수의 제조를 위해서는 2.8% 정도의 마 분말을 밀가루에 대체하여 첨가하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참마와 명아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Dioscorea japonica and Chenopodium album)

  • 김신애;최수철;윤영한;고창인;하영순;이인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37-34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참마와 명아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참마와 명아주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free radical 소거활성,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실험을 수행하였다. 참마와 명아주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EC_{50}$)에서 각각 2.386, 0.524 mg/mL로 측정되었다. 또한 참마와 명아주 추출물의 혼합 시료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참마 추출물:명아주 추출물 비율이 2:1일 때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IL-6와 $TNF-{\alpha}$의 ELISA 실험을 통해 항염증효능을 평가한 결과, 마우스 비장세포에서 IL-6의 경우 1 mg/mL 농도에서 참마 추출물은 대조군과 대비하여 27.17% IL-6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명아주 추출물은 72.30%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TNF-{\alpha}$의 경우 참마 추출물은 61.97%, 명아주 추출물은 77.85%로 유의성 있는 $TNF-{\alpha}$생성 감소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들을 통하여 참마와 명아주 추출물은 항산화, 항염증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천연물 제제에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산 마의 지질 성분의 분리 및 분석 (Fraction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Lipid Components in Korean Yam (Dioscorea) Tubers)

  • 정혜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6호
    • /
    • pp.509-515
    • /
    • 1994
  • 한국산 마의 주요 품종인 Dioscorea batatas, D. aimadoimo and D. japonica 3가지 품종의 시료들을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만든 다음 지질의 추출,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한 지질의 분획, thin layer chromatography에 의한 지질의 분리 및 gas chromatography에 의한 지방산 조성 등을 행하였다. 총지질의 함량은 D. japonica가 다른 마에 비해 적은 편이었으며, 지질을 분획한 결과 3가지 품종 모두 중성지질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당지질, 인지질 순으로 나타났다. 분획한 각 지방의 구성 지질로는 중성지질이 sterolester, triglyceride, 1,3-diglyceride, 1,2-diglyceride 및 monoglycerid였고, 당지질에서 acylsterylglycoside, sterylglycoside, digalactosyldiglyceride 및 sulfolipid였고, 인지질에서 phosphatidylethanolamine, phosphatidylcholine 및 phosphatidylinositol 이었다. GC에 의한 총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팔미트산과 리놀레산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포화지방산 함량보다 많았다. 또한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도 총 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 조성과 같은 양상을 보여 주었다.

  • PDF

한국산 마의 당질 분석 (Carbohydrates Analyses of Korean Yam(Dioscorea) Tubers)

  • 정혜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6-40
    • /
    • 1995
  • 한국산 마의 주요 품종인 D. batatas, D. aimadoimo 및 D. japonica 등 3가지 품종의 일반성분을 분석하여 비교하였고 각 시료들을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만든 다음 분획하여 HPLC에 의한 탄수화물의 조성과 함량, DNS법에 의한 환원당을 정량하였다. 탄수화물 중 유리당을 구성하는 주된 조성은 fructose, glucose, sucrose 및 maltose 등이었고 이 중 D. batatas에서는 glucose와 sucrose, D. aimadoimo와 D. japonica에서는 fructose와 sucrose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총당은 주로 mannose와 glucose로 구성 되었고 3가지 품종 모두 mannose가 80% 이상으로, 이는 마가 감자나 고구마보다 끈끈한 점질물로 알려진 mannan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Soluble fraction과 전체 마에서의 환원당 정량결과 soluble fraction에서 당함량은 D. aimadoimo가 가장 많았고, insoluble fraction에서 당함량은 D. japonica가 가장 많았다.

  • PDF

단마와 장마 영여자의 항산화능 및 항돌연변이 활성 검정 (Evalu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and Antimutagen Activity of Bulbil Extracts of the Dioscorea japonica Decaisne and Dioscorea batatas Decaisne)

  • 박정섭;이정호;방극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00-208
    • /
    • 2012
  • 단마와 장마 영여자에 대한 항산화 및 항돌연변이원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단마와 장마 영여자 80% 메탄올의 폴리페놀함량은 2.2 와 3.9 mg/g로 장마에서 높았다. 또한 분획물에 있어서는 장마 영여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그리고 DPPH과 ABTS 라디칼소거능 및 지질과산화 억제효과에 있어서는 총폴리페놀이 높은 장마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한편 단마와 장마 영여자 80%메탄올 추출물 1mg/plate의 1-NP, $AFB_1$, Trp-P-1에 대한 항돌연변이원성은 $S.$ $typhimurium$ TA98($his$D3052)에서 37.5, 24.5, 37.9%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장마 영여자는 31.7, 53.9, 56.85%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분획물 중에는 단마와 장마 영여자 클로로포름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만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