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karyon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7초

담자성 효모 Trimorphomyces papilionaceus 이배체균의 세포학적 특성 (Cell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rimorphomyces papilionaceus diploid)

  • 정해숙;최형태;윤권상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2-26
    • /
    • 1993
  • Trimorphomyces papilionaceus dikaryon 으로부터 자영적인 돌연변이에 의해 분리한 이배체를 대상으로 생장속도, U. V. 광 조사 후의 생존율, U. V. 분광광도계와 Hoechst 33258 핵염색에 의한 DNA 함량등을 monokaryon 및 dikaryon 과 비교하여 결정하였다. 이배체는 dikaryon 핵의 DNA 양과 비슷하였고 monokaryon 핵의 DNA 양의 2배 정도가 되었다. Glyoxalase II 의 band 양상에서 monokayon은 한 개의 isozyme band 만을 보인 반면, 이배체와 dikaryon은 같은 위치에서 두개의 isozyme band 가 관찰되었다. 이원전개한 전기영동실험에서 dikaryon 특이 단백질은 분자량이 66.000 보다 컸으며 분자량 24,000-29,000 사이에서 이배체 특이 단백질이 존재한다.

  • PDF

홍색 비유황광합성 세균에 미치는 제초제 Butachlor의 영향 (Effects of Butachlor on the Growth of PurpleNnon-sulfur Bacteria)

  • 이경미;이현순
    • 미생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0-135
    • /
    • 1991
  • Trimorphomyces papilionaceus dikaryon 으로부터 자영적인 돌연변이에 의해 분리한 이배체를 대상으로 생장속도, U. V. 광 조사 후의 생존율, U. V. 분광광도계와 Hoechst 33258 핵염색에 의한 DNA 함량등을 monokaryon 및 dikaryon 과 비교하여 결정하였다. 이배체는 dikaryon 핵의 DNA 양과 비슷하였고 monokaryon 핵의 DNA 양의 2배 정도가 되었다. Glyoxalase II 의 band 양상에서 monokayon은 한 개의 isozyme band 만을 보인 반면, 이배체와 dikaryon은 같은 위치에서 두개의 isozyme band 가 관찰되었다. 이원전개한 전기영동실험에서 dikaryon 특이 단백질은 분자량이 66.000 보다 컸으며 분자량 24,000-29,000 사이에서 이배체 특이 단백질이 존재한다.

  • PDF

DNA 다형성 분석에 의한 느타리버섯 단포자 분리주의 유전적 변이성 (Genetic Variability of Pleurotus ostreatus Monospore Isolates b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Analysis)

  • 송영재;정미정;김범기;노영덕;류진창;유영복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3호통권78호
    • /
    • pp.186-205
    • /
    • 1996
  • 식품으로서의 가치가 증가하고 있는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이핵체와 이것의 자실체로부터 얻은 35 단포자분리균주의 핵산연쇄중합반응에 의한 DNA 다형성을 분석하여 몇가지 유전형질과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느타리의 300개 단포자분리균주중에서 다시 이차로 분리한 35균주의 균총생장 속도를 분석한 결과 4균주는 모균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느린 것, 아주 느린 것으로 나눌 수 있었다. 26개의 Primer를 사용한 RAPD 분석에서 모균주와 단포자분리균주간에 형성된 DNA 다형성 밴드는 345개로, 밴드의 크기는 $0.1{\sim}4.0Kb$였다. Primer J(OPA-01)와 W(OPB-04)는 균주간에 많은 차이를 보였고, 36-MI 103균주는 거의 모든 primer에서 다른 균주와 차이를 나타냈다. RAPD 분석에 의한 모균주와 단포자분리주의 유전유사도는 36-MI 103을 제외하고 약 73% 정도의 유전유사성을 보였으며, 36-MI 103 균주와 다른 분리균주간의 유사도는 49%로 낮았다. 모균주 및 단포자 분리균주들의 유전유사도는 균사 생장속도와 다소 상관이 있는 4개 군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I군은 이핵성 모균주, II군은 빠른 생장의 단핵주, III군은 중간 및 느린 생장속도의 단핵주, IV군은 아주 느린 생장속도의 단핵주였다. 그러나 교배형과 유연관계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원형질체환원(原形質體還元)에 의한 몇가지 식용(食用)버섯류의 Neohaplont의 선발(選拔) (Selection of Neohaplont in Some Edible Fungi by Protoplast Reversion)

  • 유영복;이연희;여운형;엄승덕;차동열;박용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8-41
    • /
    • 1987
  • Neohaplonts were obtained to improve mushroom strain from dikaryon strains of Flammulina Velutips, Ganoderma lucidum, Lyophyllum ulmarium, Pleurotus cornucopiae and Pleurotus spodoleucus by protoplast reversion. The noehaplont frequency from reversion colonies of protoplasts was 4.47-47.7%. Four more type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detected from neohaplonts of protoplast reversion in L. ulmarium, P. cornucopiae and P. spodoleucus, but one or two types were neohaplonts in F.velutipes and G. lucidum. Growth rate of neohaplonts was slow compared with dikaryon strains.

  • PDF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Ganoderma lucidum According to Geographical Origins(III): Classification between Species of Genus Ganoderma Using Dikaryon-Monokaryon Mating

  • Kim, Hong-Kyu;Shim, Myoung-Yong;Seo, Geon-Sik;Kim, Hong-Gi
    • Mycobiology
    • /
    • 제30권2호
    • /
    • pp.61-64
    • /
    • 2002
  • A Monokaryotic strain G8M without clamp connections was isolated from germinated basidiospore that was obtained from cultivated fruit body. Strain G8M was used as a tester isolate for 'dikaryon-monokaryon mating'(di-mon mating) with the strains of Ganoderma lucidum, G6 and G35(Korean wild strains), G3(Taiwan), G4(Canada), G15(America), G. oregonense G24, G. resinaceum G28, G. oerstedii G23, and G. subamboinense G29. Isolate G8M was compatible to Korean strains G6 and G35, but was incompatible to foreign strains G3, G4, or G15. Compatible reactions between strains were readily observed macroscopically. Clear barrage lines formed between incompatible strains. These clear lines were not apparent in compatible di-mon matings. The Korean strains were morphologically distinct; they did not form any chlamydospores, and stopped growth at $35^{\circ}C$. The strains of G. lucidum from Korea may be considered as different species from Taiwan, Canadian and American cultures.

URP-PCR 분석에 의한 느타리 이핵-단핵 계통간 교잡주의 핵 DNA 유전 (Nuclear DNA inheritance of intra-specific somatic hybrids by di-mono cross in Pleurotus ostreatus based on URP-PCR analysis)

  • 김은정;신평균;장갑열;공원식;한영숙;유영복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6-106
    • /
    • 2014
  • 느타리(Pleurotus ostreatus)의 이핵-단핵 계통간(di-mono) 교잡주의 DNA 유전에 관한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느타리 6계통 및 사철느타리 1계통으로 이핵-단핵 계통간 12조합 48교잡주를 얻어 교잡율, 교잡주의 핵 DNA 패턴 양상과 유연관계도, 자실체의 형태, 갓 색깔을 분석하였다. 이핵-단핵 계통간 교잡에서 느타리와 느타리간, 느타리와 사철느타리간 교잡은 모두 교잡율 100%로 나타났다. 이핵-단핵 계통간 교잡주는 공여체(donor) 이핵체의 핵이수용체(recipient) 단핵체로 전이되었다. 이핵-단핵 계통간 교잡주의 DNA 패턴은 이핵체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것이 87.5%, 양친의 중간 패턴이 12.5%였다. 즉, 느타리 이핵주와 느타리 단핵 계통간 교잡주는 이핵체와 유사한 DNA 패턴이 70.9%, 양친의 핵이 공존하는 중간 패턴이 12.5%였으며, 사철느타리와 느타리간 이핵-단핵 계통간 교잡주는 16.6%로 모두 사철느타리 핵 DNA 패턴과 유사하거나 동일하였다. 교잡주의 핵 DNA 패턴은 교잡조합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는데 12교잡조합 중에서 4조합에서만 단핵주와 유사하거나 중간 형태를 나타내었고 나머지는 이핵주와 동일한 양상이었다. 교잡주의 자실체 형태는 이핵주 형태가 79.2%, 양친의 중간형태 또는 단핵체 모군주의 형태가 20.8%였다. 하지만 이핵체 형태라 하더라도 자실체 색깔은 다소 달랐다. 사철느타리 이핵-느타리 단핵주간 교잡주의 자실체 갓 색깔은 모두 이핵체 사철느타리와 유사하거나 동일하였다. 느타리 이핵-사철느타리 단핵 계통간 교잡주는 양친의 중간 갓 색깔로 모두 나타났으며 다소 이핵체와 유연관계가 가까운 색깔이었다. 따라서 사철느타리가 다소 우성으로 나타나는 경향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교잡주는 3종류의 핵이 모두 공존하는 세포가 많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핵-단핵 계통간 교잡 방법은 우수한 계통을 육성하는 훌륭한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느타리버섯 속(Pleurotus spp.)의 계대배양에 따른 유전적 변이 (The Genetic Variations of Pleurotus spp. on Subculture)

  • 강경홍;송주희;김홍남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3-30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느타리버섯과 큰느타리버섯의 균사체 계대배양에 따른 유전적 변이 양상을 조사하고, 각각의 이핵체와 단핵체를 RAPD 방법으로 계대배양 횟수에 따른 변이를 조사하는 것이다. 또한, 유전적 변이와 생장력과의 관계를 추적하기 위하여 계대배양 횟수 및 종에 따른 생장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균사생장력은 대체적으로 3회와 4회째 계대배양 때의 생장속도가 가장 빨랐으며, 5회째 이상부터는 감소하였다. 느타리버섯 이핵체는 가장 빠른 생장속도를 보였으며, 느타리버섯 단핵체와 큰느타리버섯 이핵체, 단핵체는 거의 비슷한 속도로 생장하였다. 또한, 느타리버섯의 이핵체와 큰느타리버섯 이핵체 간의 생장속도는 동일한 조건에서 약4배의 차이기 났다. 유사성 조사에서는 느타리버섯 이핵체는 57.5%, 단핵체 85.7%, 큰느타리버섯 이핵체는 71.8%, 단핵체 72.2% 이상의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균주의 변이는 생장속도와 균주의 type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생장속도가 빠른 균주가 느린 균주보다 변이가 많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핵균주보다는 단핵균주가 유전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phylogenetic tree에서는 종, 균주 type, 균주 생장속도 및 계대배양 횟수와는 무관하게 branch가 분기되고, grouping 되었다. 결론적으로, 균사체의 많은 계대배양은 생장속도를 저하시키고, 유전적 변이를 야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동일한 조건의 배양에서 이핵균주로 배양 보존하는 것보다는 단핵균주로 배양 보존하는 것이 종균제조와 육종에 유리한 것으로 사료된다.

야생에서 채집된 검은비늘버섯(Pholiota adiposa)균에 관한 연구 (Pholiota adiposa and its Related Species Collected from the Wild Forestry)

  • 이상선;김미혜;장후봉;신춘식;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4호통권87호
    • /
    • pp.574-582
    • /
    • 1998
  • 1996년부터 속리산 법주사 주변과 그 외의 지역에서 Pholiota species 5종을 채집하여 Pholiota adiposa와 Pholiota species로 동정하였다. 이 버섯들을 다른 버섯들과 random primer에 의한 RAPD를 실시하여 형태적 분류와 연관시켜 본 결과, primer #28(1.5kb와 1.0kb 사이)에서 Pholiota adiposa와 Pholiota sp.의 공통밴드가 형성되었고, primer #36(750과 500bp 사이)와 OPD-18(760 bp)에서는 검은비늘버섯만의 특이적 밴드가 나타났다. 모균주와 이를 접종원으로 하여 수확한 자실체의 DNA에서는 동일한 모양의 다형적 밴드가 형성되었다. 또한 채집된 5종의 검은비늘버섯은 약간씩 다른 밴드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검은비늘버섯의 포자지문법을 통한 단포자분리에 의한 mating 결과 tetrapolar형을 관찰하였는데, 이는 Arita와 Mimura(1969)가 이미 P. adiposa와 P. nameko가 bipolar 형이라고 한 것과 다른 결과이다. 본 실험은 PCR-RAPD를 이용하여 하나의 버섯에서 얻은 담자포자의 단핵(monokaryon)과 이핵(dikaryon) 균사간의 차이를 보기 위한 기초실험이며, 또한 육종 계획에 대한 응용을 위한 실험이다.

  • PDF

팽이버섯 자실체 색택의 유전연구 (Studies on the Inheritance of fruitbody color in Flammulina velutipes)

  • 변명옥;공원식;김영호;유창현;차동열;이두형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4호통권79호
    • /
    • pp.237-245
    • /
    • 1996
  • 팽이버섯 야생종과 재배종들의 esterase isozyme 밴드패턴을 비교하고 그 중 특정 야생종 ASI 4019균을 단포자 분리후 교배형을 결정하였다. 단포자의 PDA plate상에 색소 집적과자실체 형성관계를 비교한 결과, 갈색 색소를 집적시킨 단포자와 색소를 집적시키지 않은 단포자간 교배시 갈색 자실체를 형성하였으며 색소를 집적시키지 않은 백색 단포자간 교배한 결과 백색 자실체를 형성하였다. 백색자실체는 재배종의 백색과 색택이 다르게 나타났다. 백색 균사체를 나타내는 단포자와 재배종 단포자를 교배한 결과 연갈색 자실체가 나타났으며 이 Fl의 단포자를 재배종 단포자와 여교배하여 BC1F1을 비교한 결과 1계통은 연갈색 자실체만 형성하고 또 다른 한계통은 연갈색 자실체 8개, 연갈색과 백색 자실체가 혼합된 것이 2개 있었다.

  • PDF

Stain improvement in the white button mushroom 'Seolgang' and its varietal characteristics in Agaricus bisporus

  • Lee, Byung-Joo;Lee, Mi-Ae;Kim, Yong-Gyun;Lee, Kwang-Won;Lim, Yong-Pyo;Lee, Byung-Eui;Song, Ho-Yeon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51-159
    • /
    • 2012
  • The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is one of the most widely cultivated important edible mushroom species. In the breeding of new button mushroom, 'Seolgang' was developed by crossing two monokaryons 'CM020913-27' and 'SSU423-31'. Because of the secondarily homothallism, only a small percentage of the basidia produce 3 or 4 spores, which are mostly haploid (n) and do not fruit. Single spore cultures derived from these types of spores produce a vegetative mycelium that also contain a variable number of genetically identical nuclei per cell called monokaryon. The lack of clamp connections between monokaryon and dikaryon required a series of mycelial culture and fruiting test. After crossing, hybrids were cultivated on a small scale and on a commercial scale at a farm. For this, the spawn was made by a commercial spawn producer and the spawned compost by a commercial compost producer. Mycelial growth of 'Seolgang' on CDA was better at $20^{\circ}C$ and $25^{\circ}C$ when it was compared with that of '505 Ho'. The mature cap shape of new strain 'Seolgang' is oblate spheroid and the immature cap shape is round to oblate spheroid. The cap diameter was 41.2 mm on average. In comparison with white strain '505 Ho', the strain had a yield that was 9% higher. It produced fruiting bodies which had a higher weight on average per fruiting body and were 19% firmer with a good shelf life. Days of fruiting body were 3-4 days later than those of '505 H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elasticity, chewiness, adhesiveness were better than that of '505 Ho'. Genetic analysis of the new strain 'Seolgang' showed different profiles compared to '505 Ho', CM02913-27, SSU413-31, when RAPD primers A02 and O04 were u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