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library anxiety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디지털 도서관에서의 도서관불안과 측정도구 분석 (Library Anxiety and library Anxiety Scale in the Digital Library Environment)

  • 권나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9-47
    • /
    • 2004
  • 본고는 도서관 정보 서비스 및 이용자교육의 중요한 연구 영역인 도서관 불안에 관한 연구를 디지털 도서관 환경 측면에서 새로이 검토하였다. 특히 본 논문은 디지털 도서관이 활성화되기 전에 개발되어 현재까지 대부분의 도서관 불안 연구에서 측정도구로 사용된 Bostick(1992)의 도서관불안척도(Library Anxiety Scale: LAS)를 분석하면서 디지털 도서관 환경에서의 변화(예: 디지털 참고 정보봉사, 원격 이용의 증가, 서지교육에서 정보이용교육으로의 질적 전환 등)를 충분히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그 도구의 한계점을 파악한 후, 이 논의를 토대로 정보이용과 관련된 불안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개발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디지털도서관 불안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brary Anxiety Scale)

  • 박주범;정동열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53-371
    • /
    • 2010
  • 도서관 불안은 문헌정보학에서 이용자의 정서적 부분에 관한 대표적 연구로 인정 받아왔으며, 많은 도서관 이용자들이 정보이용 과정에서 도서관 불안을 경험하고 있으며 도서관 불안이 정보 활용에 제한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이 밝혀져 왔다. 오늘날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가장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디지털도서관 환경은 전통적 도서관의 그것과 매우 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도서관 불안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신뢰성과 타당성을 인정받는 디지털도서관 불안척도(DLAS)를 개발함으로써 디지털도서관 불안의 개념과 하위영역 등을 파악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DLAS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정서적 문제, 자원, 이용지식, 보안, 언어, 기술적 문제, 과제 등 7개의 하위영역과 39문항으로 개발되었으며, 이 7개의 영역은 전체 디지털도서관불안의 51.165%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이용 특성 변수를 사용하여 T검증과 분산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디지털도서관 불안의 특성을 살펴보고, 일반적 변인과 영향요인을 예측하였다.

공공도서관 시니어 이용자의 도서관불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brary Anxiety of Public Library Senior User)

  • 오선혜;이성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57-276
    • /
    • 2012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 가장 적은 비율을 차지하는 이용자층인 시니어를 대상으로, K-LAS를 이용하여 도서관불안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전체적인 도서관불안 점수는 2.95점으로 선행연구에서 측정된 대학생과 지역주민의 불안 점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지털정보' 요소의 불안 점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도서관불안 점수가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도서관 이용목적이 문화강좌 참여인 시니어와 도서관 방문 빈도가 낮은 시니어일수록 도서관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시니어의 도서관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비대면 서비스가 도서관 불안해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K대학도서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Non-Face-to-Face Service on Relieving Library Anxiety)

  • 이경화;노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7-44
    • /
    • 2022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 불안 요인을 분석하여 비대면 서비스가 도서관 불안해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대학도서관의 이용자 서비스 대응 활동 사례를 살펴보고, 재학생 5,000명 이상 10,000명 이하의 국내 4년제 대학도서관에서 재학생 1인당 도서관 방문자수가 가장 높은 순위부터 40교를 선정하여 비대면 방식의 정보 서비스 및 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였고, K대학도서관을 이용하는 재학생을 대상으로 K-LAS를 재구성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이용자의 도서관 불안 요인을 분석하였다. 도서관의 물리적·환경적 요인, 자료검색선정 요인, 디지털 정보시스템 요인, 사서(직원) 요인, 심리·정서적 요인등 5가지 도서관 불안 요인과 비대면 서비스 활성화 요인간 관계를 파악하고, 비대면 서비스 활성화 요인이 도서관 불안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비대면 서비스 활성화 요인들이 도서관 디지털 정보시스템 불안 요인에 가장 크게 영형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비대면 서비스 활성화를 통하여 이용자의 도서관 불안해소 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동아시아 청년층 정보이용자의 도서관불안에 관한 연구 (The Library Anxiety of Information Users in their 20s in East-Asia)

  • 박미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53-272
    • /
    • 2015
  • 본 연구는 동아시아 지역 성인층의 평생학습 확산을 대비한 국가간 도서관 협력의제를 고찰하기 위해 해당 지역 주요국가인 한국, 중국, 일본의 20대 청년층 정보이용자의 도서관인식과 불안을 국가간 비교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에 청년층 정보이용자의 상황적 맥락(선호정보원, 이용빈도, 학력, 성별)에 따른 도서관이용 의 요인별 인식차이를 조사하여 청년층 이용자의 선호정보원과 이용빈도에 따라 도서관불안에 명백한 차이가 있음을 통계적으로 입증하였다. 특히 중국의 정보이용자층이 다른 나라 이용자층에 비해 도서관이용시 각 요소에 대한 불안정도가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한국의 정보이용자들의 디지털정보에 관한 불안요소가 다른 나라 청년층 이용자에 비해 낮은 분포로 측정되었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이용자들의 환경변화에 따른 정보서비스요구에 대한 도서관의 수용 및 새로운 차원의 도서관 장소 모색 등 성인층을 위한 동아시아지역 도서관운영의 개선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도서관불안척도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brary Anxiety Scales)

  • 박현영;남태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99-120
    • /
    • 2006
  • 이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 이용자들의 도서관불안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근거로 한국형 도서관불안척도(K-LAS)를 개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도서관 이용 후기 보고서 분석, 3차례의 설문조사를 통한 재측정법을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는 대학의 재학생수와 도서관 규모를 고려하여 4개 대학을 대상으로, 2005년 9월 3일부터 2006년 3월 23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의 분석은 전문가 집단에 의한 내용타당성을 검증하고. Cronbach's ${\alpha}$를 이용한 신뢰도 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검증하였다 또한, K-LAS를 이용하여 도서관의 규모, 이용자의 성별과 학업 연한,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 빈도 등 일반적인 변인들과 도서관불안과의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6요소 40문항으로 구성된 K-LAS가 개발되었다. 6요소로는 물리적 환경적 요소, 도서관이용 및 지식 요소, 과제 및 연구 요소, 디지털 정보 요소, 도서관 직원에 관한 요소, 심리적 정서적 요소 등으로 설정되었다. 도서관불안과 변인과의 사후검증에서는 도서관 직원에 관한 요소를 제외한 5개 요소는 각 2개 이상의 변인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신입생들의 대학도서관 사이트에 관한 인식 (Perceptions of Freshmen Students on the Use of A University Library Site)

  • 김양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81-200
    • /
    • 2006
  • 본 연구는 이용자 교육을 받아 본적이 없는 학부 신입생들의 대학도서관 사이트에 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는 한성대학교 학부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자료수집과정에서 식별된 인식은 도서관 홈페이지의 부분별 기능에 대한 연구대상자들의 불확실성, 어려움, 혼란 의문점 등을 보여주고 있다. 연구결과는 도서관 사이트 이용과 관련, 신입생들의 부족한 관련지식 및 탐색기술과 더불어, 시스템 상의 미흡한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발견 점을 토대로 이용자 교육 및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정보활용교육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 임정훈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3-48
    • /
    • 2022
  •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국내 정보활용교육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고 향후 정보활용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학술지에 게재된 정보활용교육과 관련된 논문 306편을 선정하고, 논문의 초록을 대상으로 전처리 과정을 거쳐 전체 키워드 출현 빈도, 시기별 키워드 출현 빈도, 키워드 동시출현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키워드의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 위세중심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구조적 토픽모델링 분석을 활용하여 15개의 토픽(교육과정, 정보활용교육 효과, 정보활용교육 내용, 학교도서관 교육, 정보매체활용, 정보활용능력 평가 지표, 도서관 불안,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 건강정보 활용능력, 정보격차, 도서관활 용수업 개선, 연구 동향, 정보활용교육 모델, 교사 역할)을 도출하고, 토픽별로 비중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연도별 토픽 추이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활용교육의 방향성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