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interventions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 요양시설을 이용하는 직장인 가족의 노인 돌봄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cing Elderly Care Burden of A Working Family in Korean Nursing Facilities: A Convergence Approach)

  • 성경미;김은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333-34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을 대상으로 요양시설 노인의 돌봄 부담감을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들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5개 요양시설에 노인을 입소시킨 153명의 직장인 가족이었다. 자료는 2019년 7월부터 10월까지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그리고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직장인 가족의 노인 돌봄 부담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노인과의 관계, 요양비 부담정도, 요양시설 서비스에 대한 만족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20.8%였다. 또한 직장인 가족의 노인 돌봄 부담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특성들을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및 신체적 부담영역별로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돌봄 가족의 부담감을 줄이기 위한 중재방안에 활용될 수 있다.

댄스중심의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노인들의 성숙한 노화태도와 우울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라인댄스와 리듬체조 참여자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among Matured Aging Attitude, Depression, and Successful Aging of Elderly Participating in Dance-Oriented Physical Activity: Focused on Line Dance and Rhythmic Gymnastics)

  • 신석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469-477
    • /
    • 2020
  • 본 연구는 주요 목적 달성을 위해 라인댄스와 리듬체조 중심의 신체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202명을 대상으로 성숙한 노화태도, 우울 그리고 성공적 노화 설문지를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신체활동 참여 노인들의 성숙한 노화태도가 높을수록 우울은 감소하였다. 둘째, 신체활동 참여 노인들이 성숙한 노화태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성공적 노화도 높았다. 셋째, 신체활동 참여 노인들이 우울을 높게 지각할수록 성공적 노화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하면, 노인들이 신체활동에 규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우울에 대한 적극적인 중재를 통해 신체활동 참여노인들이 성공적 노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뇌졸중 환자에서 상지 회복을 위해 컴퓨터-인간 연동을 이용한 가상현실 기반 훈련 프로그램 (Virtual Reality-based Training Program Using Computer-human Interface for Recovery of Upper Extremity Use in Stroke Patients)

  • 이경희;황기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285-290
    • /
    • 2016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상지 재활에 사용되는 컴퓨터-인간 연동을 이용한 가상현실 기반 훈련 프로그램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5년 2월까지 Medline 데이터베이스에서 뇌졸중 환자의 상지 재활을 위한 가상 현실 중재를 다루는 무작위 대조군 임상 연구들을 검색하였다. PEDro 스케일이 연구의 질을 사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선정된 8개의 연구가 분석되어졌다. PEDro 스케일은 5 부터 8/10까지 다양했다. 모든 연구들은 가상현실 기반 훈련 그룹에서 상지 기능 회복에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상지 회복을 위해 사용되는 가상 현실 기반 훈련 프로그램의 적용이 다양하고 예측할 수 없는 실행으로 구성된 과제 지향적이고 점진적인 학습을 제공함을 통해 특히 배움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훈련 프로그램을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재활에 탁월한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과제-지향과 등급화된 학습을 제공하는데 효과적이다.

감정노동자가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콜센터 상담사를 중심으로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Job Stress experienced by Emotional Labors: Focusing on the Call Center Consultant)

  • 이미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519-53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감정노동자가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의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D시 소재 컨택센터협회에 소속되어 있는 100여개의 콜센터 중에서 콜센터 상담사 11명을 일대일로 면담하여 이들이 경험하는 직무와 관련된 스트레스의 내용이 무엇인지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 절차에 따라 질적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직무특성과 개인특성으로 구분하여 총 8개의 범주와 24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직무특성에는 "업무수행의 한계", "업무의 부담", "경직된 업무방식", "통제가 안 되는 고객", "통제된 요구"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개인특성에는 "심리적 불안정", "성격적 취약성", "빈약한 대처자원"으로 구분되었다. 직무특성과 개인특성의 범주는 각각 한계 수준과 통제수준으로 구분되었으며 직무스트레스와 개인특성 간에 빈약한 대처자원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기존의 조직차원에서의 대응뿐만 아니라 개인의 불안정한 심리상태 파악 후 심리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융복합적 중재에 대해 논의를 하였다.

취업 정신장애인의 근로시간 형태별 지각된 낙인감, 심리적 역량강화, 직무만족에 대한 잠재평균분석 (Latent Means Analysis of Perceived Stigma, Psychological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Working Hours among the Employed People with Mental Illness)

  • 이유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431-438
    • /
    • 2018
  • 본 연구는 잠재평균분석을 통해 취업정신장애인의 근로시간 형태에 따른 지각된 낙인감, 심리적 역량강화, 직무만족의 차이를 알아보며, 지각된 낙인감과 직무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에서 심리적 역량강화가 갖는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취업한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낙인감, 심리적 역량강화, 직무만족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 하였고,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낙인감과 직무만족 사이 그리고 심리적 역량강화와 직무만족 사이에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심리적 역량강화는 낙인감과 직무만족의 영향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잠재평균분석 결과, 전일제 근로 정신장애인이 지각된 낙인감 수준이 더 높고, 직무만족 수준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시간제 근로 정신장애의 심리적 역량강화 수준이 전일제 근로 정신장애인보다 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취업정신장애인의 근로시간 형태를 고려한 직무만족 향상, 낙인감 감소, 심리적 역량강화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사회복지사의 외상사건경험에 따른 외상후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영향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Mental Health of Social Worker who Experienced Traumatic Event)

  • 김평호;이유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545-552
    • /
    • 2016
  • 본 연구는 외상후스트레스와 정신건강간의 구조적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갖는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남, 광주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외상경험, 외상후스트레스,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정신건강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 하였고,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후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정신건강 간에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회복탄력성은 외상후스트레스와 정신건강간의 영향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회복탄력성과 정신건강의 증진을 위한 포괄적인 개입방법을 제안하였다.

런지자세에서의 자가 신장운동과 능동운동을 동반한 가동술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근활성도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 stretching exercise and movement with mobilization in lunge position on the muscle activity and bal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 정용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549-556
    • /
    • 2013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런지자세에서 자가신장과 움직임을 동반한 가동술을 적용후에 하지근육 근활성도와 안정성한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대상자 16명을 무작위 추출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실험군은 런지자세에서 자가신장을 중재하였고, 대조군은 런지자세에서 움직임을 동반한 가동술을 중재하였다. 중재는 8주 동안 주 5회, 1회 20분의 중재를 시행하였다. 통계학적 처리는 반복 측정분산분석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결과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그룹간 하지근육 근활성도(%MVIC)와 안정성 한계(LOS)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p>.05). 하지만 실험군과 대조군의 그룹 내의 근활성도와 안정성 한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5). 따라서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들에게 런지자세에서 자가신장이 근력 및 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몸통교정테이핑 융합치료가 뇌졸중환자의 몸통 근활성도 및 안정성, 팔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trunk correction taping on trunk muscle activity and stability,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박신준;조균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11-419
    • /
    • 2017
  • 본 연구는 어깨뼈 설정 운동과 몸통 교정 테이핑 융합이 뇌졸중 환자의 몸통 근활성도, 몸통 균형 및 팔 기능개선에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환자 20명을 연구군(테이핑+어깨뼈 설정) 10명과 대조군(어깨뼈 설정) 10명으로 나눈 뒤 4주간 주당 30분의 중재를 실시하였다. 연구군은 몸통 교정 테이핑을 적용받았고 동시에 어깨뼈 설정운동을 받았다. 측정은 몸통 근활성도, 몸통손상척도(Korean version Trunk Impairment Scale, K-TIS), 팔 기능검사 (Manual Function Test of upper extremity, MFT)를 실시하였다. 중재 전 후 연구군에서 몸통 근활성도, K-TIS, MFT 점수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P<.05), 대조군 보다 K-TIS와 MFT 점수에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P<.05). 본 연구를 통해 어깨뼈 설정 단일 운동 보다 몸통 교정테이핑 융합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몸통 근활성도, 몸통 균형 및 팔 기능개선에 더욱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 개별 근수축 개시시간(onset time)에 관한 변화를 확인한다면 더욱 임상적 의의가 있겠다.

대학생의 정신건강 예측구조모형 (Prediction Structure Model of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 전미경;오경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251-262
    • /
    • 2017
  • 본 연구는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체계이론을 바탕으로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분하고 통합적인 모형 구축과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횡단적 조사연구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 및 정신건강관련 특성은 SPSS 20.0 프로그램을, 모형의 적합도검증, 가설검증은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x^2=614.90$(p=.000), Q값=3.5, GFI=.88, AGFI=.84, NFI=.92, NNFI=.94, CFI=.94, RMR=.02, RMSEA=.08 적합도를 나타내어 연구모형이 가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정신건강에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스트레스 대처 방안과 자아 존중감, 부모의 양육태도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학생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스트레스 관리, 자아존중감 증진, 스트레스 대처 능력 향상을 도모하는 간호중재를 개발하고, 학교현장 및 정신보건 실무에 활용하는 중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중절단수지의 재접합술 (Replantation of Multi-level Amputated Digit)

  • 권순범;박지웅;조상헌;서형교;황종익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5호
    • /
    • pp.642-648
    • /
    • 2011
  • Purpose: The recent advances in microsurgical techniques and their refinement over the past decade have greatly expanded the indications for digital replantations and have enabled us to salvage severed fingers more often. Many studies have reported greater than 80% viability rates in replantation surgery with functional results. However, replantation of multi-level amputations still remain a challenging problem and the decision of whether or not to replant an amputated part is difficult even for an experienced reconstructive surgeon because the ultimate functional result is unpredictable. Methods: Between January of 2002 and May of 2008, we treated 10 multi-level amputated digits of 7 patients. After brachial plexus block, meticulous replantation procedure was performed under microscopic magnification. Postoperatively, hand elevation, heat lamp, drug therapy and hyperbaric oxygen therapy were applied with careful observation of digital circulation. Early rehabilitation protocol was performed for functional improvement. Results: Among the 19 amputated segments of 10 digits, 16 segments survived completely without any complications. Overall survival rate was 84%. Complete necrosis of one finger tip segment and partial necrosis of two distal amputated segments developed and subsequent surgical interventions such as groin flap, local advancement flap and skin graft were performed. The overall result was functionally and aesthetically satisfactory. Conclusion: We experienced successful replantations of multi-level amputated digits. When we encounter a multi-level amputation, the key question is whether or not it is a contraindication to replantation. Despite the demand for skillful microsurgical technique and longer operative time, the authors' results prove it is worth attempting replantations in multi-level amputation because of the superiority in aesthetic and functional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