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addiction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5초

초등학생의 우울증, 스마트폰 중독 및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탐색: Partial Least Square(PLS) 경로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Exploring relationships among Korean Children's Depression, Smartphone Addic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Partial Least Square (PLS) Path Modeling)

  • 주지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49-60
    • /
    • 2013
  • 스마트폰의 급격한 확산은 다양한 측면에서 부작용과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현상은 학부모나 선생님 등에 의해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검토를 통해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우울증이 영향을 미치고 우울증과 스마트폰 중독은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을 설정하고, 이를 Partial Least Square(PLS) 경로모형으로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우울증은 스마트폰 중독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학교생활만족도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은 학교생활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린이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과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우울 성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족과 학교 당국의 적절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스마트미디어중독 예방체계 실태와 융복합 정책 연구 (A Study on the Condition of Prevention System and Convergence Policy for Smart Media Addiction)

  • 장승옥;전호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33-4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미디어 중독예방 지원체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탐색해보고 스마트미디어 중독을 예방하는 융복합정책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문헌연구를 토대로 진행된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사회의 스마트미디어 중독예방체계로는 스마트쉼센터, 한국청소년복지상담개발원, 아이윌센터 등 정부산하기관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 예방체계들은 연령별,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대상 맞춤형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획일적으로 규제중심이라는 것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선진국 사례를 통해 제시된 정책방안으로 규제보다는 책임감 있는 사용의 교육, 가족 참여를 유도하는 개입의 강화, 유해환경 차단시스템을 확충, 그리고 지자체, 민간기관의 협력을 통한 중앙정부의 통합적 관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스마트미디어 중독은 새롭게 주목을 받는 문제이므로 우리사회의 기준에 부합하는 예방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 심리적 마음상태와의 관계 분석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and psychological mindedness)

  • 백현기;윤지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389-400
    • /
    • 2014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심리적 마음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주시에 소재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거한 자료는 SPSS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정, 분산분석,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심리적 마음상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이 높을수록 심리적 마음상태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며, 청소년들이 바람직한 스마트폰 사용 방향을 인식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청소년 복지에서 문제시 되고 있는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예방과 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융복합시대 부모방임이 청소년의 성인용매체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자아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arent's Neglect on Adolescents' Sexual-Materials Addiction in the Times of Converge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Identity)

  • 조옥선;백진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349-35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시대에서 부모방임이 청소년의 성인용매체 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 있어서 자아정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 KCYPS 중1 패널 3차 년도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본 연구에 부합되는 2,157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방임, 자아정체성 및 청소년의 성인용매체 몰입에 대한 경로분석 모형을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방임이 청소년의 자아정체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방임이 청소년의 성인용매체 몰입에 정(+)적인 영향성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부모방임이 청소년의 성인용매체 몰입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자아정체성을 매개로 하는 간접적인 영향이 확인되었다.

디지털 시대 청소년의 외로움, 스트레스,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Loneliness,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of Adolescents in the Era of Digitalization)

  • 김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335-343
    • /
    • 2017
  • 다수 연구들에서는 외로움을 많이 느끼는 청소년들은 스트레스를 더 받으며, 그들은 외로움과 스트레스를 달래기 위하여 쉽게 스마트폰 중독에 빠짐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관련 연구들은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청소년들에게 정신적으로 부정적인 영향들을 미치고 있음을 규명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주제들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외로움, 스트레스,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주제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위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2017년 4월 1일부터 4월 15일 동안 실시하였다. 총 356명이 설문조사에 참가하였으며, 이 가운데 327명의 설문조사 내용을 본 연구의 실증분석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스마트폰 중독의 4개 하부 요인들인 일상생활 장애, 가상세계 지향, 금단, 내성이 모두가 청소년들이 지각하고 있는 외로움과 스트레스의 영향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은 청소년들의 정신적 건강, 특히 외로움과 스트레스에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험 (Experiences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 진주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21-429
    • /
    • 2017
  • 청소년 및 성인기 초기 연령의 스마트폰 사용자는 급증하였고, 과다 사용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렇지만 질적 연구를 통한 접근은 여전히 소수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이 일상화된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경험을 탐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이용하여 중독자를 선별하였고, 고위험군 중에서 최종 17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일대일 심층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모든 면담은 녹음과 녹취 과정을 거쳐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출된 주요 범주는 '중독의 악순환'으로, 세부 범주는 금단 증상의 자각, 다양한 부정적 결과 경험, 중독으로부터 탈출 시도, 중독된 현실에 안주함 이었다.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자는 연구 참여를 통해 중독의 심각성을 깨달았으며,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정서적, 대인관계적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자들을 이해하고, 중독으로부터 회복될 수 있도록 돕는 학교 기반 프로그램을 개선, 개발해야 할 것이다.

카타르시스 추구와 자아 효능감에 기반한 게임 과몰입의 심리적 욕구에 관한 탐색적 연구 (Psychological Needs of Game Addiction: An Exploratory Study Focusing on Therapeutic Catharsis Seeking and Game Self-Efficacy)

  • 이혜림;정의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23-13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게임 이용자들이 게임에 과몰입하게 되는 심리적 욕구나 욕망을 보다 정교한 방식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기존 게임 과몰입의 영향 변수들과 더불어 치유적 카타르시스와 자아 효능감 이론을 적용하여 온라인 게임 이용자 489명을 대상으로 그 효과를 검증한 결과 치유적 카타르시스와 게임 자아 효능감 요인이 게임의 중독적 현상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게임 이용자들이 현실이 야기한 결핍과 불충족된 욕구에 대한 방어기제를 작동시키면서 암묵적인 자아 치유를 위해 게임에 더욱 과몰입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게임 이용이 게임 과몰입으로 이어지는 내면의 심리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과 충동성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Parental Rearing Attitudes on Smartphone Addic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and Impulse -)

  • 임정아;김명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395-405
    • /
    • 2018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 과정에서 공격성과 충동성이 부모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J지역 초등학교 4, 5학년 390명(남: 199, 여: 191)이었다. 연구에 사용한 척도는 부모양육척도, 스마트폰 중독척도, Neo 성격척도 등이다. 통계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첫째, 상관분석 결과 부모양육태도, 스마트폰중독, 공격성과 충동성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부모양육태도 중 거부적인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부정적인 촉진적 영향을 주며, 이 과정에서 충동성과 공격성이 부분매개하였다. 또한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가 역시 스마트중독에 부정적인 촉진적 영향을 주며, 이 과정에서 충동성과 공격성이 완전 매개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개입과 상담 시에 부모양육태도의 변화뿐 아니라, 청소년의 충동성과 공격성에 대한 상담과 개입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가 논의되었다.

가상현실을 활용한 중독치료의 동향과 전망을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Trend and Future of Virtual Reality for Addiction Treatment of Substance Use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 ;김진수;김나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551-1560
    • /
    • 2017
  • 본 논문의 목적은 가상현실을 활용한 중독치료의 동향 파악을 위해 중독의 종류와 물질사용장애에 대한 가상현실치료 방법을 분류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가상현실은 다양한 정신장애 및 심리문제를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활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중독치료, 특히 물질사용장애에 대한 가상현실치료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의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 논문은 학술문헌 데이터베이스인 ScienceDirect, MEDLINE, ProQuest 그리고 Embase에 등재된 논문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45편의 연구논문들이 검색되었는데, 이 연구들 중에서 니코틴/흡연에 관하여 가장 많은 연구 (73 %, n = 33)가 되었고, 알코올 (18 %, n = 8), 대마초/마리화나 (2 %, n = 1), 그리고 헤로인, 코카인, 메스암페타민 등 기타 약물(7 %, n = 3)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논문은 이러한 연구들의 결과를 분석하고, 장점뿐만 아니라 몇 가지 한계점을 발견했으며, 가상 현실기술을 이용한 중독치료에 대한 추가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성인의 스마트폰 중독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실행기능 결함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이중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on Subjective Well-being among adults : Dual Mediation Effect of Executive Function Deficit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 임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327-33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스마트폰 중독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실행기능 결함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성인 스마트폰 중독 치료에 대한 시사점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성인 148명(남성 71명, 여성 77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핵심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중독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간의 관계에서 실행기능 결함은 매개역할을 했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실행기능 결함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이중매개 및 완전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는 성인 스마트폰 중독군의 치료적 개입에 있어 실행기능 훈련과 적절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함양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전체 성인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향후연구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