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Trade Negotiatio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주요 디지털통상협정 내 제도적 장치 및 분쟁해결제도 비교 분석 및 한국에의 시사점 (Institutional Arrangements and Dispute Settlement Mechanism in Major Digital Trade Agreements: A Comparative Analysis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

  • 고보민
    • 무역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273-288
    • /
    • 2022
  • This study first classifies and organizes provisions on institutional arrangements (or IAs) and dispute settlement mechanism(or DSM) in a digital trade agreement. Then it conducts a case study on seven major digital trade agreements: the CPTPP, the USJDTA, the USMCA, the ASDEA, the RCEP, the KSDPA, and the DEPA. And it finally derives implications for Korea to improve implementation of DTAs by communicating better and resolving disputes efficiently with the help of IAs and DSM-related provisions. IAs of a digital trade agreement can be defined as a set of agreements on the division of the respective responsibilities of agencies involved in implementing and enforcing the agreement, including committees, working groups, or contact points. DSM of a digital trade agreement includes consultation, mediation, arbitration, and establishment of a panel. Comparing six FTAs with an e-commerce chapter, the CPTPP, the USMCA, and the RCEP contain the most advanced type of IA provisions while the CPTPP, the USMCA, the RCEP, and the KSDPA have that of DSM provisions. Korea is its initial stage as it has only signed the KSDPA with Singapore as well as it is about to launch a new digital trade negotiation for the DEPA, the CPTPP, and even the IPEF, it is necessary to engage in negotiations with a clearer position on behalf of Korean digital companies. As provisions on IAs and DSM are important policy tools that can reflect industry concerns and convey proposals in inter-governmental dialogue, a Korean draft of the IAs and DSM-related provision should be prepared in advance.

${\cdot}$싱가포르 자유무역협정에 관한 연구: 전자상거래를 중심으로 (A Study of Korea-Singapore Free Trade Agreement: Focused on Electronic Commerce)

  • 강신원;이한영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8권spc1호
    • /
    • pp.391-409
    • /
    • 2005
  • Free trade agreements have fast grown into a global phenomenon and their impact and repercussions are felt more strongly everyday. Korea, joining this large trend of the global economy, is currently pressing ahead with its negotiation rounds for FTA.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e-commerce sector affected by the Korea-Singapore FTA, and the main issues and the future countermeasure directions of e-commerce on FTA has been analyzed. In conclusion, FTA is not an option even though there are still many remaining issues to be discussed regarding its effects. We identified countries excluding themselves from FTA are los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moreover, the losing competitiveness will end up more serious problems since the importance of FTA is especially high for e-commerce, as e-commerce accounts for a growing share of international trade. This paper also discusses the far-reaching potential consequences of the content of an international agreement at a government-to-government level on the economy and industry of a country by presenting past examples from. Korea, and recommends that policy-makers should exercise extreme vigilance in their negotiation of terms and conditions for FTA.

  • PDF

디지털 무역협정의 국경 간 데이터 이전 자유화 연구 (A Study on Liberalization of Cross-Border Data Transfer in Digital Trade Agreements)

  • 정재승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27-628
    • /
    • 2022
  • 디지털 무역은 관련 산업 및 거래의 종류가 다양하고 범위도 넓어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명문화된 정의는 없으나, 일반적으로 기존 상품 중심의 전자상거래를 포함, '인터넷과 ICT 등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국가간 교역 활동(상품+서비스+Data) 전반'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IT 등 기술의 발전으로 디지털 무역에 혁신적인 변화가 발생하고 있고, 미국, EU, 일본 등 선진국들은 데이터 이동 자유화 등 디지털 무역 이슈를 디지털무역협정의 협상안건에 포함시키고 있다. 국경 간 데이터 이동 자유화에 대한 쟁점은 디지털 무역 활성화를 위해 데이터 이동의 자유가 필요하나, 정보 보안과 사생활 침해의 위험성도 증가한다는 것이다. 선진국들의 방향을 살펴보면, 미국은 규제 최소화, 유럽은 역내 단일시장화는 찬성하나 소극적 대외 개방, 중국은 규제를 통한 독자적 시장육성 입장을 치하고 있다. 따라서 국경간 데이터 이동 제한조치 강화 조치는 최근 국가별로 정책이 시행되고 있거나 조만간 국제적 합의가 예정되어 있는 이슈로 우리나라도 이에 대한 긴밀한 대응이 필요하다.

  • PDF

한·중 FTA 전자상거래 협정의 주요쟁점과 활용과제 (Legal Issues and Policy Implications of Electronic Commerce Chapters of the Korea·China FTA)

  • 권순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9-17
    • /
    • 2015
  •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전자상거래 시장으로서 중국 온라인 소매시장은 미국보다 약 40% 크며, 양국은 전세계 전자상거래 시장의 5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한 중 FTA는 한중 양국의 상품, 서비스의 전자상거래 확대와 국가간 전자상거래 활동을 촉진시킬 것이다. 한국산 소비재는 기술과 품질 측면에서 중국시장에서 경쟁우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FTA 혜택을 향유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 중 FTA 전자상거래 협정문의 주요쟁점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상품의 전자상거래 수출확대를 위한 활용과제에 대해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 상품의 전자상거래 수출확대를 위해서는 한 중 FTA 전자상거래 협정의 후속협상에 대한 준비와 전자적 전송물의 분류에 대한 대비를 하여야 한다. 그리고 전자인증과 전자서명에 있어 양국의 상호인정이 필요하며, 전자상거래 분쟁해결을 위한 제도의 마련과 한국 상품의 전자상거래 수출확대를 위한 전략의 수립 등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