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Terrain Map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3초

2단계 스테레오 정합기법을 이용한 DEM 추정 (DEM Estimation Using Two Stage Stereo Matching Method)

  • 남창우;우동민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시스템및제어부문D
    • /
    • 제49권12호
    • /
    • pp.659-666
    • /
    • 2000
  • A stereo matching has been an important tool for reconstructing three dimensional terrain. By using stereo matching technique, DEM(Digital Elevaton Map) can be generated by the disparity from a reference image to a target image. Generally disparity map can be evaluated by matching the reference image to the target image and if the role of the reference and the target are interchanged, a different DEM can be obtain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fusion technique to estimate the optimal DEM by eliminating the false DEM due to occlusion. To detect the false DEM, we utilize two measure of accuracy: self-consistency and cross-correlation score. We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s with a quantitative analysis using simulated images. Experimental result indicate that the proposed methods show 24.4% and 33.1% improvement over either DEM.

  • PDF

PRISM과 개선된 상세 지형정보를 이용한 월별 북한지역 강수량 분포 추정 (Estimating the Monthly Precipitation Distribution of North Korea Using the PRISM Model and Enhanced Detailed Terrain Information)

  • 김대준;김진희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66-372
    • /
    • 2019
  • 북한 지역은 남한에 비해 기상관측 지점이 매우 적기 때문에 남한에서 강수 추정에 주로 이용되는 PRISM 모형을 그대로 적용하여 강수분포를 추정하기는 어렵다. 이처럼 자료가 불충분한 지역의 강수분포를 추정하기 위하여, 저해상도 PRISM 모형 구동 결과에 강수-지형 관계에 근거한 보정 값을 적용해 강수 분포를 추정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방식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북한지역의 고해상도 강수 분포도 추정 방식을 개선된 방법에 따라 1981-2010년 평년 기간의 적산 강수량 분포도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우선, 남한지역의 270m 해상도 DEM과 종관관측지점의 고도값으로부터 IDW한 가상지형간의 편차(고도편차)를 계산하였다. PRISM 모형을 이용하여 종관관측지점의 강수량을 기반으로 2,430m의 저해상도 가상강수 분포도를 제작한 후, 종관 및 방재 기상 관측지점의 강수자료를 이용해 270m의 고해상도 강수분포도를 제작하여 둘 간의 편차(강수편차)를 계산하였다. 남한지역의 고도편차와 강수편차를 이용하여 4방위 경사향에 따른 월별 강수-지형 관계 회귀식을 도출하였고, 최종적으로 북한지역의 27개 기상 관측지점으로부터 PRISM 모형을 구동하여 만든 2,430m의 저해상도 강수분포도에 강수-지형간 회귀식을 반영하여 해상도가 향상된 강수분포도를 산출하였다. 새롭게 제작된 북한지역의 강수분포는 기존 강수분포도와 비교했을 때 지형의 영향이 더욱 잘 반영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강수분포도에 따르면, 연평균 적산강수량은 1,159mm이며, 표준편차는 253mm로 추정되었다.

수문해석을 위한 DEM에 의한 지형의 경사도분석에서 격자크기의 영향 (The Effect of Grid Size in a Slope Analysis of Terrain by DEM for Hydrological Analysis)

  • 양인태;김연준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21-230
    • /
    • 1997
  • 수문해석에서 지형의 경사분석결과는 수질예측이나 수량예측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최근의 경사분석은 기존의 종이지도를 이용하기 보다는 수치표고모형을 이용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수치표고모형에 의한 지형 경사분석은 수치표고모형의 격자크기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격자크기에 따른 경사분석결과의 영향은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수질과 수문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수문매개변수와 지형매개변수를 결정하기 위해 소양호 유역의 면적이 $640\;km^2$인 내린천 유역과 삼척오십천의 $33\;km^2$ 인 무릉천 유역에 적용하였다. 격자의 크기가 유역의 경사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내린천유역에 대해서는 1,000 m에서 100 m까지 100 m 격자간격으로 그리고 무릉천유역에 대해서 300 m에서 20 m까지 10 rn간격으로 각각의 격자를 만들어 변화시키면서 적용하였다.

  • PDF

지도투영과 투영왜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p Projection and Distortion)

  • 전재홍;조규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27-335
    • /
    • 1998
  • 여러 가지의 지도투영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지구를 왜곡 없이 평면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이러한 투영에 따른 왜곡을 극복하고 좌표계에 의한 지형에 대한 수치정보를 연속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 한반도 지역에 대한 지도 정확성과 투영특성 및 최적의 방법모색, 왜곡오차의 원인, 위치변위 및 정도 향상 등에 대한 것을 연구하였다.

  • PDF

A numerical simulation of flow field in a wind farm on complex terrain

  • Lee, Myungsung;Lee, Seung Ho;Hur, Nahmkeon;Choi, Chang-Koon
    • Wind and Structures
    • /
    • 제13권4호
    • /
    • pp.375-383
    • /
    • 2010
  • A three-dimensional flow simulation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wind flow around wind-power generation facilities on mountainous area of complex terrain. A digital map of eastern mountainous area of Korea including a wind farm was used to model actual complex terrain. Rotating wind turbines in the wind farm were also modeled in the computational domain with detailed geometry of blade by using the frozen rotor method. Wind direction and speed to be used as a boundary condition were taken from local meteorological reports. The numerical results showed not only details of flow distribution in the wind farm but also the variation in the performance of the wind turbines due to the installed location of the turbines on complex terrain. The wake effect of the upstream turbine on the performance of the downstream one was also examined. The methodology presented in this study may be used in selecting future wind farm site and wind turbine locations in the selected site for possible maximum power generation.

지형분석을 이용한 산지토양 탄소의 분포 예측과 불확실성 (Spatial Prediction of Soil Carbon Using Terrain Analysis in a Steep Mountainous Area and the Associated Uncertainties)

  • 정관용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67-78
    • /
    • 2016
  • Soil carbon(C) is an essential property for characterizing soil quality. Understanding spatial patterns of soil C is particularly limited for mountain areas. This study aims to predict the spatial pattern of soil C using terrain analysis in a steep mountainous area. Specifically, model performances and prediction uncertaintie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number of resampling repetitions. Further, important predictors for soil C were also identified. Finall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uncertainty was analyzed. A total of 91 soil samples were collected via conditioned latin hypercube sampling and a digital soil C map was developed using support vector regression which is one of the powerful machine learning methods.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distinct differences of model performanc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repetitions except for 10-fold cross validation. For soil C, elevation and surface curvature were selected as important predictors by recursive feature elimination. Soil C showed higher values in higher elevation and concave slopes. The spatial pattern of soil C might possibly reflect lateral movement of water and materials along the surface configuration of the study area. The higher values of uncertainty in higher elevation and concave slopes might be related to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area and the sampling design. This study is believed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eomorphology and soil C in the mountainous ecosystem.

A Cost-Effective Land Surveying System for Engineering Applications

  • El-Ashmawy, Khalid L.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1호
    • /
    • pp.373-380
    • /
    • 2022
  • The field of land surveying is changing dramatically due to the way data is processed, analyzed and presented. Also,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digital spatial information, coming primarily from the 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user community. Such a demand has created a strong development potential for a new land surveying software. An overview of the development and capabilities of a land surveying software platform based on the Windows system, SurveyingMap, is presented. Among its many features, SurveyingMap provides a lot of adaptability for networks adjustment, geodetic and plane coordinates transformation, contouring, sectioning, DTM (Digital Terrain Model) generation, and large scale mapping applications. The system output is compatible with well known computer aided drafting (CAD) /GIS packages to expand its scope of applications. SurveyingMap is also suitable for non-technical users due to the user-friendly graphic user interface. The system could be used in engineering, architecture, GIS, and academic teaching and research, among other fields. Two applications of SurveyingMap, extension of field control and large scale mapping, for the case study area are established.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system is adaptable and reasonably priced for use by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Digital Image Simulation of Electro-Optical Camera(EOC) on KOMPSAT-1

  • Shim, Hyung-Sik;Yong, Sang-Soo;Heo, Haeng-Pal;Lee, Seung-Hoon;Oh, Kyoung-Hwan;Paik, Hong-Yul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349-354
    • /
    • 1999
  • Electro-Optical Camera (EOC) is the main payload of the KOMPSAT-1 satellite to perform the mission of cartography that builds up a digital map of Korean territory including a digital terrain elevation map. This paper discusses the issues of the digital image simulation of EOC for the generation of EOC simulated scene as taken by EOC at 685km altitude on orbit. For the purpose, simulation work has been performed with the sensor models of EOC and the satellite platform motions models through image chain analysis from the illumination source (Sun) to a simulated image output in digital number. MODTRAN fur radiance calculation, MTF models of optics, detector and motions of EOC for system point spread function (PSF), and signal chain equations for digital number output are described. Several noise models of EOC are also considered. The final output is the EOC simulated image in digital number. The simulation technique can be used in several phase of a spaceborne electro-optical system development project, feasibility study phase, design, manufacturing, test phases, ground image processing phases, and so on.

  • PDF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홍수지도 제작용 지형자료의 효과적인 구축방법 연구 (Efficient Construction Method of Topographic Data for Flood Mapping Using Digital Map)

  • 이근상;고덕구;김우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2-61
    • /
    • 2004
  • 한국수자원공사에서는 홍수지도 제작을 위한 정밀 지형자료 구축을 위해 LiDAR 측량을 실시하고 있으며, 향후 전국에 대한 홍수지도 제작시 막대한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홍수지도 제작이 꼭 필요한 지역을 선정하기 위한 사전모의용 자료구축을 위해 NGIS 수치지형도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각 축척별 수치지형도의 표고오차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형도의 DEM 오차를 평가하기 위해 LiDAR 측량을 수행하여 구축한 DEM과 비교하였다. 특히 수치지형도로부터 구축한 TIN으로부터 DEM을 생성하기 위해 수행하는 보간법의 종류에 따라 발생하는 오차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1,000 수치지형도가 1:5,000 수치지형도에 비해 오차가 작게 나타났으며, linear 보간을 수행한 DEM이 quintic 보간을 수행한 DEM에 비해 작은 오차특성을 보였다. 특히 도시지역의 경우 완만한 경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해상도에 따른 DEM 오차의 변화는 매우 작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DTED와 1:50,000 수치지형도에 의한 격자 DEM의 지형 매개변수 비교 (Comparison of Topographical Parameter for DTED and Grid DEM from 1:50,000 Digital Map)

  • 김연준;신계종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9-32
    • /
    • 2002
  • 지형 정보는 표고 자료가 요구되는 응용에서 반드시 필요한 중요한 자료이다. 이러한 응용에는 배수 유역, 하천망의 추출, 가시권 분석, 지형학적 특징의 분석, 지형에 관련된 산사태 유형의 양적인 분석 및 산사태 발생지역에서 민감도 분석을 위한 지형 위치의 검증 등이 있다. 그러므로 DEM으로부터 추출된 지형 매개변수 자료의 정확도를 연구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표고 격자 DEM을 이용하여 자료원과 격자크기가 지형 매개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지형매개변수 분석은 수치지형도로 구축된 것과 DTED DEM을 이용하여 배수유역, 유역경사, 하천망을 추출하여 비교하였다. 특히, 격자 DEM으로부터 하천망을 추출하는 경우 DEM 격자크기에 관계없이 흐름누적 임계값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 자료원에 동일한 흐름누적 임계값을 적용하여 하천망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