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Media Design

검색결과 1,067건 처리시간 0.031초

뉴미디어에 의한 공간디자인의 특성 연구 -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Design by Means of New Media - In View of Ontological Analysis of Heidegger -)

  • 이미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13-21
    • /
    • 2017
  • The revolution of new media has overthrown the existing social structure and brought about the changes in the concepts of the space and subject. These changes are identical to the existential issue of the space and subject and to fundamental issue of spatial design. This study will interpret the new media in view of ontology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by applying it to spatial design.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of ontological viewpoint wer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containing the process space, the space of exterior meaning, the space of the affairs, interactive subject, playful subject and extension of sense, which were the basis for this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ncept of ontology and subject concepts revealed in the areas of architectural surface, the space of art and installation, and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모바일 폰 카메라를 이용한 손가락 움직임 인식 구현 (An Implementation of Finger Gesture Recognition Using Mobile Phone Camera)

  • 이근일;이대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95-898
    • /
    • 2005
  • 최근 미래 컴퓨터 기술에 대한 연구로서, 인터페이스 부분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 가상현실(Virtual Reality),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기술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폰 카메라를 이용해 손가락 움직임을 인식하는 알고리즘으로 KTF v1.1 Emulator 를 이용하여 모바일 게임을 위한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로 적용 가능성을 제안한다.

  • PDF

FIR 필터를 사용한 청취 환경 보정 시스템 (FIR ROOM RESPONSE CORRECTION SYSTEM)

  • 마니쉬 아로라;성호영;이혁재;이준현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3권 2호
    • /
    • pp.283-286
    • /
    • 2004
  • Due to advances in electronics very high quality audio reproduction is today possible. But the listening environment causes deviation of the audio system from the expected behavior. Firstly the listening Room significantly changes the audio signal frequencies and their phase. Secondly the position of the user in the room affects the perceived sound. With existing DSP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adequately correct these effects. In our work we developed a room correction system, correcting up to 7.1 channels using dual Motorola 56367 fixed point DSP's, implementing position dependent room effects measurement, real time compensation filter design and equalization filtering procedures.

  • PDF

디지털 디스플레이 활용에 따른 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 미래영화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ce Change according to the use of Digital Display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Future SF Film -)

  • 임주연;이철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83-91
    • /
    • 2006
  • Our huma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into the world of advanced visual inform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image industry, the advent of satellite and terrestrial DMB, and the opening of Ubiquitous era. Like this, we are living in the space of overflowing media contents. Jean Baudrillad anticipated that the influential power of image would dominate our reality in 'Simulation'. Noticing the indication of our time, which is organized by various information media including the mass media, Baudrillad predicted that the 21st century would be an era of symbol and image due to the development of television, computer, and internet. This paper attempts to find the physical and conceptual peculiarities of the space change according to the use of display, by analyzing SF films, where future daily life is a major setting, under the judgement that the exploration of space change is significant. Through findings, it tries to lead the visual expansion, which recognizes display as space itself rather than object of space and changes unmoving space into moving space, and suggest the future space design by using digital space. It suggests case studies, which use digital display in the real space, as a study method and it examines the features, influences, and roles of digital display through investigating literatures and cases. In addition, it attempts to find a correlation of digital display and space by selecting films, which can give the affluent resources of analysis on the digital display among SF films. Therefore, it will come to a conclusion that space change should be dealt with in the space design.

디지털 미디어아트의 사회자본으로서의 가능성 연구 (Possibility Study about Digital Media Art as a social Capital)

  • 이민수;오창근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462-467
    • /
    • 2006
  • 이 연구는, 대중매체를 미술에 도입한 미디어아트가 대중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고 콘텐츠의 범위가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총체적 의미의 사회자본이 된다는 가능성의 연구이다. 이러한 가정 하에 현시점의 미디어아트와 대중의 유대관계, 그 커뮤니케이션의 변화 양상에 대해 몇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미디어아트가 사회자본으로서 영향을 미치기 위한 전제를 세가지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 사회 참여적인 미디어 장치로서 저널리즘의 속성을 가진 미디어아트, 두 번째는 다양한 문화활동의 프로토타입이 되는 미디어아트, 세 번째로는 일상공간에서의 미디어아트이다. 대중매체의 이용이 사회자본의 구성 요소인 신뢰와 사회적 연계 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기존에 발표된 연구들과 2003년 수행된 대규모 매체 이용행태 자료에서 이미 검증되었다. 디지털미디어아트가 사회자본의 하위구성 요소인 신뢰와 정치참여, 문화적 아이콘으로서의 역할 및 예술생산품으로서의 기능에 대해서는 현재 국내에서 대중과의 소통을 위한 미디어아트의 시도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웹 아티스트, 미디어 아티스트로 알려진 '장영혜중공업' 은 온라인미디어를 통해 현대사회의 정치적, 사회적 이슈와 화두들을 강력하게 표현하고 있고, 대중매체의 조명을 받고 있는 아티스트 '낸시랭' 은 'SSAMZIE' 브랜드를 통해 예술의 문화적, 경제적 활동에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사용자에게 총체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일상 생활공간 속에서의 미디어아트는 예술의 대중화를 실현하고 있으며, 일상에서의 경험으로 인하여 대중에게 시각적, 과학적, 심미적 즐거움을 주고 있다. 이처럼 디지털미디어를 이용한 예술은 인터넷을 비롯한 대중매체를 통해 디지털미디어아트의 공적 신뢰를 확대시키고 콘텐트의 범위와 가치를 증대 시키며, 사용자경험의 폭을 확대시켜 점차 새로운 가치체계를 형성해 나갈 것이다. 이는 디지털미디어아트가 사회자본으로서 아직은 미약하지만 사용자의 조작과 참여의 경험으로 인해 디지털 세대에게 적합한 문화아이콘을 만들어 나가며, 사회의 새로운 이용자 패턴, 참여 의식의 확대, 예술의 대중화로 인하여 미래 우리의 삶을 구성하는 사회자본이 될 것으로 그 가능성을 전망해본다.

  • PDF

A Study on Cinemagraph Unfamiliar to Freud Uncanny

  • Kim, Young Il;Kim, Hyeon Seok;Kim, Cheeyoug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4권1호
    • /
    • pp.27-32
    • /
    • 2017
  •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medium, Sigmund Freud's uncanny element in the Cinemagraphic technique of digital image is analyzed, and the research problem presented through the case and literature data is interpreted. Look for an Uncanned element as seen from. Interpret the theories found in art paintings and human philosophical perspectives through examples in the overlapping cinema graphs of photographs and videos that we have looked at unfamiliarity. It interprets the double surreal image of Cinemagraph through unfamiliar gaze and evaluates new horizon with digital photograph.

디지털큐레이션을 활용한 팀프로젝트 기반 유튜브 생태계 설계 및 적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YouTube Ecosystem based on Team Projects using Digital Curation)

  • 최영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12호
    • /
    • pp.1576-158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apply YouTube ecosystem using digital curation to improve the interaction of untact class. The untact digital instructional model for building the YouTube ecosystem is composed of four modules: domain, tutor, student, and interface, and the role of each module is described. As an application example, the team project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Instructional Assistant YouTube" is performed in the Introduction to Media Software class. The learning experience is described in terms of professor, peer tutors, and learners, and learning outcomes are presented through surveys.

상업공간 디지털미디어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페르소나 기반 사용자 시나리오 기법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 of Digital Media in Commercial Space - Using Persona-based Scenario Approach -)

  • 안세윤;김소연;조문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33-42
    • /
    • 2017
  • Interior design especially the design developments for commercial spaces should ensure the economy of spaces. This is the marketing for spac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esign elements of commercial space for the efficient using of digital media of space marketing. In this research decided to design application schemes for shopping mall by searching fashion shopping behaviors of users with persona-base scenario approach. Collected the information of users behavior base on case analysis of advance research to make personas. And develop scenario base personas for knowing the needs of users. And then made 4 schemes as the solution. Scheme 1. Customers can get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staff through with media screen in one room of shopping mall. The data of customers can be recorded for providing information or product recommendation personality. Forecast to preferred by group trip or customers that don't like walking around in shopping mall. Scheme 2. Install a media screen at entrance of a store in shopping mall and show special effect to raise customers' attention who walk through from the front of the store. Through with this customers will stay for long time and raise curiosity to get in the store. And the media screen also provide information of store and products. Scheme 3. Customers can get the information of products with using smart phone to scan QR cord in labels of products and record. Customers can finish whole shopping behaviors without the help of store staff. And can make buying decision even have left shopping mall as a online mode. Scheme 4. Store managers can record the products and the environment of store with 360 camera and update to website. Then customers can browse the virtual space with VR glasses. That make customers can have the real shopping experience without being in the store. In this study, have presented schemes of digital media in commercial space. But there are various of commercial space. In this study was presented schemes for shopping mall by searching fashion shopping behaviors of users. And look forward the researches about specific space setting and other type of commercial space for space development.

건축 설계교육에서 디지털 설계 커리큘럼 모델 제안 (A Digital Design Curriculum Model i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 김명선;최순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314-5320
    • /
    • 2011
  • 현재 설계교육에서 디지털 기술매체는 새로운 디자인 매체로 재인식되어 설계 커리큘럼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 산업적으로도 비정형 설계가 증가하면서 디지털 디자인의 가능성을 실험하는 진보적 건축 그룹들이 등장해서 실질적인 디지털 설계교육으로 전환을 촉구하고 있다. 국내 설계교육에서도 디지털 관련 과목이 다양하게 개설되어 운영되고 있지만, 기존 설계스튜디오를 보조하는 교과과정으로 운영되는 형편이다. 따라서 국내의 설계교육에서도 실무분야의 디지털 설계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교육모델이 제시되고 운영되어야 하며, 더불어 건축설계에서 디지털 패러다임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이런 배경에서 본 연구는 디지털 설계의 이론적 고찰과 교육 사례 고찰을 통해 건축설계 교육에 적용 가능한 디지털 설계 커리큘럼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몰입형 디스플레이 기반 체험전시 디자인에서의 게임기획 요소 적용 사례 연구 (An exhibition case study applying game design elements in the design of immersive display exhibition)

  • 김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435-441
    • /
    • 2021
  • 최근 디지털미디어 기술의 발전으로 관객에게 실감 나고 사실적인 전시 체험을 제공하는 몰입형 체험전시들이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몰입형 체험전시들의 대표사례들을 전시연출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몰입형 체험전시 연출 및 기획에 게임기획 요소를 적용하여 개최 및 운영한 '히어로의 모험' (이하 히어로의 모험) 전시 사례를 소개하였다. 본 전시는 도전, 목표, 갈등, 규칙, 승패와 같은 게임기획 요소를 적용하여, 캐릭터의 갈등구조 설정 및 악당 캐릭터를 물리치는 도전과 목표를 제시하고, 승패를 가루는 전시 게임들을 제공하여, 최종 보스까지 물리치도록 전시를 디자인했다. 연구를 통해 관객의 전시 만족을 위해 게임 요소 적용이 더 효과적이다 보기는 어렵지만, 관객의 콘텐츠 소비 시간을 늘리고 재방문을 높이기 위해서는 게임기획 요소 적용을 고려하는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