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Doorlock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6초

접근객체 인식 및 전송을 위한 영상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설계 (Video Digital Doorlock System for Recognition and Transmission of Approaching Objects)

  • 이상락;박진태;우병현;최한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3권6호
    • /
    • pp.237-242
    • /
    • 2014
  • 기존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은 사용자의 편의에 중점을 두어 보안 측면에서는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중계기, 서버, 카메라와 센서, 통신 모듈이 결합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화하여 도어락 설치장소 전방에서 접근하는 객체를 감지 및 인식하고 이미지와 문 열림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해 주는 영상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실험결과 대상거리 내에서 96~98%의 접근자 인식률과 사용 통신망에 따라 평균 약 17.1~23.9초의 전송시간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도어락 시스템 전방의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실시간 보안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문 인식과 터치 패턴을 이용한 원그립 기반 문고리 통합형 도어록 시스템 (One Grip based Doorpull Shaped Doorlock System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and Touch Pattern)

  • 장민순;박태민;이정권;왕보현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30-36
    • /
    • 2016
  • 디지털 도어록 시장이 활성화 되면서 생체인식기술과 스마트폰 등을 인증 수단으로 사용하는 보다 편리한 도어록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디지털 도어록의 성능은 보안성과 편리성이라는 두 가지 서로 상충되는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본 논문에서는 편리성을 유지하면서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인증 수단을 문고리에 통합하는 원그립 기반 디지털 도어록의 디자인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제안된 원그립 기반 문고리 통합형 도어록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문을 열기 위해 문고리를 잡는 한 번의 동작만으로 지문인식과 터치 센서를 이용한 그립패턴 인식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보안성을 한 단계 높이면서도 사용상의 편리성은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은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자체의 성능 개선 뿐 아니라 앞으로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예상되는 스마트 도어록 분야에서 스마트폰을 분실했을 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FID 모듈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의 설계 (Design of Digital DoorLock Using RFID Module)

  • 김윤수;김정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9-6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Atmel사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Atmega128을 사용해 도어락을 제작하였다. 기존의 도어락과 다르게 보안 강화를 위하여 RFID를 추가하였다. 간단하게 동작 원리를 말하자면 RFID리더기가 카드를 인식하면 LCD애 비밀 번호 입력창이 나온다. 그 후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문이 열리고 일치하지 않으면 문이 열리지 않는다. 또한 버튼을 추가시켜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게 해주었다.

  • PDF

디지털 도어록 혼류공정 최적화 설계를 위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연구 (A Simulation Study for Analyzing Digital Doorlock Mixed Assembly Process)

  • 윤철호;유기훈;이인철;변의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439-144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도어록 혼류 조립 공정에서의 시뮬레이션 분석모델을 제안한다. 이 모델의 목적은 디지털 도어록 생산 공정 설계에 있어서 여러 대안의 성능에 대해 평가하는 것이다.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시간연구가 수행되었다. 동시에 ARENA 시뮬레이션 도구를 이용하여 공정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현재의 디지털 도어록 혼류 생산 공정은 여러 품종의 수요 증가에 적절한 생산방식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발견하였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을 제안하였다.

Google OTP를 이용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Smart Doorlock System using Google OTP)

  • 용승림;최영철;윤현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2호
    • /
    • pp.223-22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번호키 방식의 보안이 강화된 스마트폰 연동 도어락 시스템을 제안한다. 도어락 시스템은 Google OTP를 이용하여 매번 다르게 생성된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훔쳐보기, 스머지 등의 공격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편의를 위하여 NFC 접촉을 통하여 OTP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한다.

  • PDF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DDiT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igital Door Lock by IoT)

  • 서대규;고한신;노용덕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15-222
    • /
    • 2015
  •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DDiT를 소개한다. DDiT에서는 기존의 디지털 도어락을 제어하기 위하여 통합 마이크로 컨트롤러 플랫폼인 아두이노를 이용하였으며 모바일 플랫폼으로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사용하였다. DDiT의 장점 중 하나는 기존의 디지털 도어락에 부착해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열쇠로 활용하는 방식이라는 점이다. 더구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므로 이를 통해서 여러 가지 부가적인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은 일반 가정집 도어락은 물론 호텔, 연구실, 및 회사와 같은 높은 보안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열려라 참깨: IoT 기반 단어인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Open Sesame: Smart Digital Doorlock using Word Recognition basd on IoT Technologies)

  • 이미희;백은정;유진;이수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년도 제5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3권2호
    • /
    • pp.177-17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문제인 맞벌이 부부가 증가함에 따라 아동범죄 및 생계형 범죄로부터 사용자의 안전의 보장과 기존의 디지털 도어락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IoT기술과 STT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안정성을 제공하여 주며, 동시에 편리성을 제공하고자 본 시스템으로 하여금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줄 수 있게 한다.

  • PDF

음성 인식 디지털 도어락 (Digital Doorlock with Voice Recognition)

  • 허경용;장우영;박준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6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2호
    • /
    • pp.269-27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키패드로만 동작하는 디지털 도어락에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음성 인식 장치를 추가한 음성 인식 디지털 도어락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비밀번호로만 동작하는 도어락은 비밀번호의 분실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보안을 위해서는 화자의 특징을 인식할 수 있는 화자 종속 방식의 음성인식이 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식은 가정집뿐만이 아니라 회사에서 보다 높은 수준의 보안이 필요한 곳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구현한 시스템은 장애인을 위해 음성만으로 동작하는 시스템 등으로 쉽게 변경이 가능하다. 제안한 시스템은 ATmega128을 기반으로 키패드, 텍스트 LCD, 음성인식 모듈을 결합하여 구성하였다.

  • PDF

스마트빌딩용 디지털 IoT 도어락 시스템의 다중접속 능력 (Multiple Access Capability of Digital IoT Doorlock System for Smart Building)

  • 이선의;선영규;심이삭;황유민;윤성훈;차재상;김진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99-105
    • /
    • 2018
  • 본 논문은 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의 컬러그리드 변조방식을 이용하여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다중접속 방식을 제안한다. 컬러그리드 변조방식을 이용하여 도어락으로 접근하는 다수의 사용자를 인식하고 인증하기 위하여 가시광 신호를 다중으로 접속하는 방법이다. 기존 인프라를 이용하여 가시광 다중 접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신호의 심벌 에너지 간격을 최대한 넓게 해야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가시광 컬러그리드 기반 심벌을 모듈레이션하여 가시광 채널에서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한다. 다중 접속 사용자의 수를 인식하는 도어락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변조신호의 실제 채널 실험 결과를 보인다.

사물인터넷 기반 저전력 디지털도어락 프로토콜 (Low-Energy Digital Doorlock Protocol based on Internet of Things)

  • 송민재;신동혁;최승식;박성만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86-98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사무실을 구현하기 위해 기존 디지털 도어락에 저전력 통신이 가능한 BLE 모듈을 탑재하고 가상 오브젝트 기반의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스마트 폰으로 제어가 가능한 저전력 지능형 도어락 시스템을 개발함을 목표로 한다. 이 시스템은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기존의 도어락에 BLE 모듈을 부착하여 라즈베리파이와 서로 저전력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부가적으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원격제어가 가능한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1]따라서, 사물인터넷 기반 저전력 디지털 도어락은 일반 가정집 도어락은 물론, 높은 보안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