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ary lipid source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35초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간유 및 비막치어(Dissostichus eleginoides) 근육지질이 흰쥐의 혈청지질 및 지방조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co-friendly Squid Todarodes pacificus Liver and Patagonian Toothfish Dissostichus eleginoides Muscle Oils on the Serum Lipids and Adipose Tissues of Rats)

  • 문수경;이수정;성낙주;김인수;정보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45-750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quid Todarodes pacificus liver oil on the serum lipids and adipose tissue weight of rats. The rats in the soybean oil (SO) group received a basic diet prepared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s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IN-93G), with 7% SO as lipid source. The rats in the Patagonian toothfish Dissostichus eleginoides muscle oil (PTFO) group received 5% PTFO and 2% SO as the lipid source, while the rats in the eco-friendly squid liver oil (EFSO) group received 5% EFSO and 2% SO. EFSO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outlined in the author's patent. PTFO was extracted from muscle using a physical method in the author's laboratory. The prominent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the dietary oils were 18:2n-6 (54.3%) and 18:3n-3 (5.64%) in SO, DHA (6.77%) and EPA (3.61%) in PTFO, and DHA (26.2%) and EPA (9.94%) in EFSO. After feeding for 4 weeks, the serum lipid levels (e.g.,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of the rats in the EFSO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ose in the SO group (P<0.05); those of the rats in the PTFO group were also reduced, albeit not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SO group. On the other hand, the total white adipose tissue (visceral, epididymal, and perirenal) weight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EFSO and PTFO groups compared to the SO group.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EFSO is an effective lipid modifying agent in rat blood, and that EFSO and PTFO have greater anti-obesity effects than SO.

식이단백질(食餌蛋白質) 급원(給源)과 Methionine첨가(添加)가 Cholesterol투여(投與) 흰쥐의 혈청(血淸)Cholesterol 및 혈청성분(血淸成分)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Dietary Protein Source and Supplemental Methionine on the Serum Cholesterol and Blood Component in Cholesterol-fed Rats)

  • 이용억;노장숙;조정순;구이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3-31
    • /
    • 1986
  • Several authors reported that vegetable proteins cause to decrease serum cholesterol and reported the effect of limiting amino acid balance in dietary protein on the blood component. This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growth rate and blood component in 1% cholesterol-fed male rats intake pure isolated soy proteins and methionine for 4 weeks. The diets were supplemented with either 20% casein or isolated soy protein as dietary protein sources and methionine as limiting amino acid of isolated soy protein and casein protei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body weight gain was the greatest in casein groups. 2) Serum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casein groups and slightly decreased by isolated soy protein groups. 3) Serum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isolated soy protein groups than control group. 4) Serum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isolated soy protein groups than control group. 5) Serum glucos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isolated soy protein plus 0.8% methionine than control group. 6) Serum total protein and albumin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all experimental diets groups than control group. Especially, casein groups were the most increased in all experimental diets groups.

식이 지방의 종류가 흰쥐의 노화 과정 중 신장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Dietary Fat on Renal Functions in Aged Rats)

  • 김화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3호
    • /
    • pp.253-262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etary fat sources on renal senescence in aged rats. Seventeen month old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urinary protein excretion. Four month old rats were used as a control group. The rats were fed one of three different experimental diets ; 20% beef tallow, 20% corn oil 20% fish oil diet. They were fed experimental diets ad libitum for 16 weeks .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Serum lipid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aged rats than in control rats, with the beef tallow group showing the highest level, followed by the corn oil and fish oil groups. Old rats showed higher HDL and lower LDL levels than the control groups. Age and dietary fat had no effect on VLDL. GFR for the both age groups were increased with experimental period with the beef tallow group showing the highest value. Urinary protein excretion was also increased with experimental period in both age groups. There was a large increase in urinary protein in old rats that were fed beef tallow and corn oil, but not in old rats fed fish oil. On the contrary , the effect of dietary fat on urinary protein was not found in control groups. There was individual susceptibility in the effect of dietary fat on urinary protein. Old rats fed beef tallow with high initial urinary protein showed highest increase, but , the change was not significant in rats with a low initial value . It was also found that the increase was kept low in rats of the fish oil group with high initial urinary protein. The corn oil group showed in between valu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urine and renal tissue concentrations of TXB2 . Aged rats showed a tendency of having higher urinary PGE2 excretion and lower renal cortex content. Since higher PGE2 excretion was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decreased renal function, this might suggest that the aged rats show renal function reduction. Light microscopic examination showed that glomerular segmental sclerosis, mesangial matrix expansion and tubular atrophy were more frequently present in aged rats, and that these changes were more significant in the beef tallow group, followed by corn oil and fish oil groups. The percentage of urinary protein excretion was increased in aged rats in association with increased glomerular sclerosis and mesangial matrix . This change could be partly due to a change in eicosanoids metabolism . Therefore, modification of dietary fat could affect the eicosanoids metabolism in kidney and renal senescence.

  • PDF

참전복 치패 사료의 지질원 평가 (Evaluation of Dietary Lipid Sources for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ucs hannai))

  • 이상민;박흠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81-390
    • /
    • 1998
  • 참전복 치패용 배합사료의 적정 지질원을 조사하기 위하여 카제인과 북양어분을 각각 단백질원으로 하고 지방산과 지질원을 달리 첨가하여 3회에 걸쳐 사육실험을 실시하였다. 세 실험 모두 평균체중 160mg의 치패를 각 수조에 100마리씩 수용하여 사료마다 3반복으로 20주간 사육 실험하였다. 1. 카제인 사료에 지방산 첨가 효과, 단백질원을 카제인으로 하여 지방산이 달리 첨가된 6종의 사료(지방산 무첨가구, 12 :0, 18 : 1, 18 : 2, 18 : 3 및 n-3HUFA첨가구)로 사육실험한 결과, 생존율, 최종 평균체중, 증체율 및 가식부 중량도 사료의 지방산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P>0.05). 반면에 평균 각장은 지방산 무첨가구(fat-free)와 n-3HUFA첨가구가 가장 낮아서 18 : 1과 18 : 2 첨가구와 유의차를 보였다(P<0.05). 가식부의 수분과 단백질 함량은 실험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p>0.05), 지질은 지방산 무첨가구가 0.5%로 18 : 1 첨가구의 0.7%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카제인 사료에 지질원 첨가 효과 단백질원을 카제인으로 하여 오징어 간유(SO), 옥수수유(CO), 우지(BT), SO+CO및 SO+BT를 각각 5%씩 첨가한 배합사료로 사육 실험한 결과, 생존율은 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P>0.05), 최종평균체중, 증체율 및 각장은 SO, SO+CO 및 SO+BT(n-3HUFA 함량: 0.5%) 실험구가 CO및 BT 실험구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가식부 평균중량도 SO+CO 및SO+BT 실험구는 SO 실험구와 유의차없이 좋은 결과를 보였지만, CO및 BT가 실험구는 SO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P<0.05). 실험 종료시 가식부의 수분과 단백질 함량은 사료의 지질원에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지질함량은 SO가 첨가된 실험구(SO, SO+CO, SO+BT)가 CO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p<0.05). 3.어분 사료에 지질원 첨가 효과 실용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단백질원으로 어분이 첨가된 사료에 지질은 첨가하지 않은 사료와 SO, CO, BT, SO+CO 및 SO+BT을 각각 5% 첨가한 사료로 사육한 결과, 생존율은 실험구가에 유의차가 없었으나(P>0.05), 증체율은 BT와 SO+BT 실험구가 지질 무첨가구 (지질함량 : 2.2%), SO 및 CO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실험종료시 가식부의 수분과 단백질 함량은 사료 지질에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지질은 사료 지질 함량과 지질원에 영향을 받아 지질 무첨가구가 가장 낮았다(P<0.05). 이사의 결과들로부터 참전복 치패용 배합사료에는 n-3HUFA가 0.5%이상 함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어분이 첨가된 사료에 지질이 2%이상일 때는 지질을 추가로 첨가할 필요는 없으며, 지질을 추가할 경우 우지보다는 어유나 식물성기름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자몽 추출물과 김치 추출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 소시지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Development of Fermented Sausage using Grapefruit Extract and Kimchi Extracted Starter Culture)

  • 김용휘;안병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0-79
    • /
    • 2014
  • 본 연구는 발효 소시지의 저장 기간 중 지질 산화를 억제하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며, 유해 세균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아질산염을 대체할 수 있는 천연 첨가제로써 자몽 추출물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몽 추출물과 김치 유산균을 첨가하여 제조된 발효 소시지에서 우수한 지질 산화 및 유해 세균 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저장 기간 7일차까지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빈산을 첨가한 처리구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과 L. acidophilus를 혼합하여 제조된 처리구 A와 아질산염과 김치유산균을 혼합한 처리구 B, 아스코르빈산과 김치 유산균을 혼합한 처리구 C, 그리고 자몽 추출물과 김치 유산균을 혼합한 처리구 D의 제품 특성을 비교한 결과, pH는 처리구 D와 처리구 C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고, 유산균수는 자몽 추출물을 첨가한 처리구 D에서 가장 높았으며, 대장균 출현 억제효과는 아질산염과 L. acidophilus를 혼합한 처리구 A를 제외하고는 모두 시료 g당 100마리 이하로 나타났다. 육색 중 명도의 경우, 처리구 간의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적색도에서는 처리구 D와 아스코르빈산과 김치 유산균을 첨가한 처리구 C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황색도는 자몽 추출물을 첨가한 처리구 D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조직감의 경우, 자몽 추출물을 첨가한 처리구 D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식감이 우수하였으며, 관능 평가에서는 아스코르빈산을 첨가한 처리구 C와 자몽 추출물이 첨가된 처리구 D에서 우수하게 나타나 자몽 추출물은 발효 소시지를 위한 천연 항산화제로써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았으며, 김치유산균인 L. brevis 또한 발효 과정 중 소시지의 산도를 낮추는데 효과적이며, 저장 기간 동안에도 지속적으로 발효를 유지시켜 유해 세균의 출현 및 성장을 억제하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무지개송어 사료에 있어 산화크롬의 첨가효과와 축산 가공 부산혼합물의 어분대체 가능성 (Effects of dietary Chromic Oxide and Possible Use of the Animal By-product Mixture as a Dietary Fish meal Replacer)

  • 장혜경;옥임호;배승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70-475
    • /
    • 1999
  • 본 연구는 무지개송어 사료의 어분 대체사료원으로서 육골분(MBM), 우모분(FM), 오징어내장분 (SLP), 가금부산물 (PBP) 및 혈분 (BM)을 특정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어분대체품(ABPM)을 제작하여 사료내 어분의 대체가능성을 조사하고 사료내 소화율 측정에 이용하는 지표물질인 $Cr_2O_3$ 첨가가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본 실험사료의 주단백질원으로는 동물성단백 질원으로 북양어분 (White fish meal, WFM)과 축산가공부 산혼합물 (ABPM)을 식물성으로 대두박과 콘글루텐밀을 사용하였다. 사료 1과 사료 2의 사료는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1993)자료에 근거하여 조단백질 함량은 $46.5\%$, 가용성 에너지는 16.7 KJ/g (protein, carbohydrate and lipid: 16.7, 16.7 and 37.7 KJ/g)으로 동일하게 맞추어 주었다. 실험사료는 사료 1 (WFM 100), 사료2(ABPM 40), 사료3(상업사료(-Cr)), 사료 4(상업사료+$0.5\%$ $Cr_2O_3$(+Cr))로 4가지를 사용하였다. 일주일간의 예비사육 후 평균무게 2.1g$\pm$0.2인 치어를 30마리씩 3반복으로 무작위 배치하여 4주간 사육한후, 성장속도가 비슷한 평균무게 6.8$\pm$0.3g의 어류를 동일한 사료군내에서 선택하여 20마리씩 2 반복 재배치하여 4주간 사육하였다. 8 주간 사료 공급후 사료 2는 다른 모든 사료구에 비해 증체율 (WG, $\%$)과 사료효율 (FE, $\%$)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어체의 혈액분석결과 헤마토크리트t는 전사료구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P>0.05). 전어체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 및 조단백질 함량은 모든 사료구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P>0.05), 사료 1의 조지방 함량은 다른 사료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어체의 비만도는 사료 2가 다른 사료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혈액, 뼈 및 전어체의 인 함량 및 뼈의 회분 함량은 모든 사료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P>0.05). 상업사료내 산화크롬을 첨가하거나 혹은 첨가하지 않고 8주간 사육한 결과 산화크롬 $0.5\%$의 8주간 첨가는 성장에 영향을 주지 않았을 뿐 아니라 전어체의 일반성분, 혈장 및 뼈 조직 중의 인과 회분 함량에도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 무지개 송어 사료내 어분단백질 대체원으로 본축산가공부산혼합물의 이용은 $40\%$ 수준 이하에서 가능하다고 판단되고 산화크롬은 성장 및 전어체의 일반성분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므로 사료내 영양소의 소화율 측정에 $0.5\%$ 의 산화크롬 첨가는 별다른 문제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 PDF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Spirulina on the expressions of AANAT, ADRB3, BTG2 and FASN genes in the subcutaneous adipose and Longissimus dorsi muscle tissues of purebred and crossbred Australian sheep

  • Kashani, Arash;Holman, Benjamin William Behrens;Nichols, Peter David;Malau-Aduli, Aduli Enoch Othniel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7권3호
    • /
    • pp.8.1-8.8
    • /
    • 2015
  • Background: The demand for healthy, lean and consistent meat products containing low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and high quality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especially long-chain (${\geq}C_{20}$) omega-3 PUFA, has increased in recent times. Fat deposition is altered by both the genetic background and dietary supplements, and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 of dietary Spirulina supplementation levels on the mRNA expression patterns of genes controlling lipid metabolism in the subcutaneous adipose tissue (SAT) and Longissimus dorsi (ld) muscle of Australian crossbred sheep. Methods: Twenty-four weaned lambs belonging to four breeds under the same management conditions were maintained on ryegrass pasture and fed three levels of Spirulina supplement (control, low and high). In terms of nutrient composition, Spirulina is a nutrient-rich supplement that contains all essential amino acids, vitamins and minerals. It also is a rich source of carotenoids and fatty acids, especially gamma-linolenic acid (GLA) that infer health benefits. After slaughter, subcutaneous adipose tissue (SAT) and ld samples were subjected to mRNA extraction and reverse transcription using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qPCR) to assess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the Aralkylamine N-acetyltransferase (AANAT), Adrenergic beta-3 receptor (ADRB3), B-cell translocation gene 2 (BTG2) and Fatty acid synthase (FASN) genes, which are associated with lipid metabolism. Results: Both low and high Spirulina supplementation levels strongly up-regulated the transcription of all the selected genes in both SAT and ld tissues (mostly in the subcutaneous adipose), but sheep breed and sex did not influence the gene expression patterns in these tissues. Conclusions: The evidence indicates that high Spirulina supplementation level resulted in a decrease in intramuscular fat content in Australian purebred and crossbred sheep due to the enhanced production of melatonin in sheep muscle tissues and strong up-regulation of mRNA expression of BTG2 in SAT which negatively affected fat deposition. In contrast, low Spirulina supplementation level strongly up-regulated the ADRB3 and FASN genes responsible for fat production.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observed phenotypic data suggesting that low Spirulina supplementation level can increase lamb production, with higher long-chain PUFA content.

콩나물의 지방산 및 식이섬유 함량 분석 (Analyses of Fatty Acids and Dietary Fiber in Soy Sprouts)

  • 김세영;이경애;윤홍태;김정태;김욱한;김용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29-34
    • /
    • 2011
  • 전통식품인 콩나물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우량 나물콩 품종 육성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특성이 다른 5종의 장려품종 나물콩으로 재배한 콩나물의 지방산 및 식이섬유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콩나물과 데친 콩나물의 지방산 조성은 큰 차이가 없어 가열 처리가 지방산 조성에는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다. 2. 전체 콩나물과 콩나물의 자엽 부위 지방산 조성은 원료콩과 비슷하였으나 배축 부위는 원료콩에 비해 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았으며 변이도 자엽 부위보다 컸다. 3. 가열 처리된 콩나물이 생콩나물보다 식이섬유 함량이 높았다. 4. 지방산 조성과 식이섬유 함량은 품종별로 차이가 있었다.

넙치 치어 배합사료의 어분 대체 단백질원으로서 탈지 대두박 이용성 (Utilization of Defatted Soybean Meal As a Substitute for Fish Meal in the Diet of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윤숙;김봉석;문태석;이상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69-474
    • /
    • 2000
  • 넙치 배합사료의 어분 대체 단백질원으로서 대두박의 이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평균체중 359인 넙치를 각 수조마다 20마리씩 2반복 수용하여 대두박 함량을 $0{\%}, 10{\%}, 20{\%}$$30{\%}$로 조절한 사료로 45일간 사육실험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실험구에서 $10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증중량은 대조구와 대두박 $10{\%}$ 첨가구간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대두박 $20{\%}$$30{\%}$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 < 0.05). 사료효율과 단백질효율은 사료의 대두박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대조구와 대두박 $10{\%}$$20{\%}$ 첨가구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이와 반대로, 일일사료섭취율과 일일단백질섭취율은 사료의 대두박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어체간의 일반성분은 각 실험구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나 (P > 0.05), 사료의 대두박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단백질과 수분함량은 증가하고, 지질함량은 감소하였다. 혈장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사료의 대두박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대조구와 대두박 $10{\%}$ 첨가구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P > 0.05) 혈장 GOT는 사료의 대두박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실험 사료 조성으로 넙치 치어를 사육하였을 때, 어분 대체단백질원으로서 대두박을 사료의 $10{\%}$까지 첨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사료 지질원으로 우지, 대두유 및 오징어 간유 첨가에 따른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성장 및 체성분 변화와 절식시 체내 대사 (Effects of Dietary Beef Tallow, Soybean Oil and Squid Liver Oil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the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and Biochemical Changes with Starvation)

  • 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3-76
    • /
    • 1994
  • 사료의 n-3HUFA 함량이 $1.6\%$ 이상 함유되도록 조절한 3종의 실험 사료로 43g 전후의 조피볼락을 19주간 사육 실험한 후, 136g전후의 어체를 45일간 절식시켜 사료 지질원에 따른 조피볼락의 성장 및 체성분의 변화와 절식시 체내 대사를 조사하였다. 증중율, 사료 효율, 단백질 축적 효율 및 지질 축적 효율 모두 사료 지질원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다$(P\geq0.05)$ 간과 등 근육의 총지질 중의 지방산은 사료 지질원의 조성비에 영향을 받아, monoene산은 우지 첨가구에, n-6계 지방산 (18:2n-6, 22:4n-6)들은 대두유 첨가구에, n-3계 지방산 (20 : 5n-3, 22 : 6n-3)들은 오징어 간유 단독 첨가구에 상대적으로 더 높게 조성되어 있었다. 전 어체 및 등 근육의 일반 성분은 실험구별로 차이가 없었으며, 간 중량비 및 내장 중량비도 차이가 없었다. 간과 내장의 수분 함량은 오징어 간유 구가 타 실험구에 비해 높았으며, 간지질 함량은 우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간 중량비 및 내장 중량비는 모두 절식기간 중에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오징어 간유 구가 타 실험구에 비해 그 감소폭이 컸다. 절식 15일까지는 근육 단백질과 지질이 감소하였고, 그 후부터는 간의 글리코겐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내장 지질은 절식 기간 중 계속 감소하는 현상을 보여 절식 중에 이용되는 에너지원의 형태와 시기가 다르게 나타났다. 혈청 성분은 지질원에 따라 절식 기간별로 이동되는 형태가 약간 다르게 나타나기는 하였으나, 절식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점차 그 차이는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