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ary lipid source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38초

갈화(葛花)의 함유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ueraria flos)

  • 신언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1139-1144
    • /
    • 2009
  • 본 연구는 갈화를 대상으로 약이성 음식으로의 활용을 위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계획 수행되었다. 따라서 갈화의 영양성분 분석을 통한 식품영양학적 접근, 생리활성 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관련 물질 함량의 분석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갈화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당질 69.2%, 조단백질 19.9%, 조지방 2.2% 및 조회분 8.9%이었고 갈화 100 g의 함유 열량은 340.4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총 당질 중 85.1%이었고 수용성 및 불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각각 12.0%, 46.7%로 나타났다. 또한, 총 1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5.0 g, 6.7 g이었고, 무기질 중 칼슘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칼륨, 마그네슘, 인 순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지방산 함량의 경우 총 포화지방산 25.37%, 단일불포화지방산 33.61% 및 다가불포화지방산 35.68%로 구성되어 있어 다른 식물류에 비해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갈화 70% 에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과 물 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의 항산화 효과 결과는 $RC_{50}$값이 217.3, 134.5, 116.7, 109.9, 129.8, 473.5 ${\mu}g$으로 나타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무지개송어의 사료단백질 이용에 관한 연구 (THE UTILIZATION OF DIETARY PROTEIN BY YOUNG RAINBOW TROUT)

  • 김용중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09-214
    • /
    • 1974
  • Casein을 단백원으로 하고 조단백질과 지질의 함량을 조사한 사료로서 치무지개송어를 19일간 사육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무지개송어의 체중은 사료중의 단백질 함량이 많을수록 증가하며 단백질의 함량 $40\%$ 부근에서 최대치에 달하고 그 이상 단백질이 증가하여도 체중은 증가하지 않았다. 체단백질의 증가도 사료중의 단백질 함량이 $40\%$ 부근에서 최대치에 가까워지며 그 이상 단백질이 증가하여 도 변화는 적었다. 2) 단백질의 이용치는 사료중의 단백질 함양이 많을 수록 증가하였으나 체단백질의 축적률은 단백질의 함량 $40\%$ 부근에서 최대치에 달했다. 3) 이상의 결과에서 Casein을 단백원으로 하는 경우 치무지개송어의 단백질 요구량은 사료중 $40\%$라고 생각했다. 4) 사료의 단백효율(y)은 단백질의 함양(x)이 많을 수록 감소하고 그 관계는 y=4.91-0.034x의 방정식으로 표시 할 수 있었다. 5) 사료의 단백질 함량과 사료효율 및 사료계수와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끝으로 시종 실험을 지도하여 주신 동경수산대학에 야진길 교수에게 사의를 표한다.

  • PDF

배합사료내 대두박 및 발효대두박 첨가가 까막전복(Haliotis discus) 치패의 성장과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Inclusion of Soybean Meal and Fermented Soybean Meal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Reeve 1846))

  • 김희성;정해승;최동규;장복일;김현종;이기욱;조성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812-817
    • /
    • 2017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dietary inclusion of soybean (SM) and fermented soybean meal (FSM) on growth promotion in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Six hundred and thirty juvenile abalone were distributed into nine plastic containers. Three diets were prepared with 22% fish meal, 2% casein, and either 25% SM or FSM used as the protein sources in the experimental diets, and Undaria was used as a control diet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experimental diets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abalone. The diets were assigned to three containers each and fed to the abalone once daily to satiation for 16 weeks. Weight gain and specific growth rate (SGR) were higher in abalone fed the SM diet than in those fed the FSM diet. Weight gain and SGR of abalone fed the SM and FSM diets were higher than those of abalone fed Undaria. The crude protein and lipid contents of the edible portions of abalone fed the SM and FSM diets were higher than those of abalone fed Undaria. SM was superior to FSM as a protein source in abalone feed. The SM and FSM diets facilitated greater growth than Undaria.

식이의 n-3 지방산과 지방의 불포화도가 혈장지질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n-3 Fatty Acids and Fat Unsaturation on Plasma Lipids and Lipoproteins in Rats)

  • 박현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5권7호
    • /
    • pp.555-568
    • /
    • 1992
  •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dietary n-6 and n-3 fatty acids and fat unsaturation on plasma lipid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VLDL and LDL fraction and lipogenic enzymes activity in rat liver under the conditions providing 1) a similar amount of n-6, n-3 fatty acids(LA, ALA, EPA+DHA) in diets and 2) the various degree of fat unsaturation.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420g were treated for 6-n with six experimental diets providing 25% of energy as fat and which were different only in fatty acid composition. The fats used for a source of each fatty acid were beet tallow for saturated fatty acid corn oil for n-6 linoleic acid(LA) perilla oil for n-3 $\alpha$-linolenic acid(ALA) and fish oil n-3 eicosapentaenoic acid (EPA) and n-3 docosahexaenoic acid(DHA). Plasma cholesterol level was increased by corn oil to compare with beef tallow but was decreased by perilla oil or fish oil. Plasma TG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perilla oil or fish oil. Fish oil significantly reduced the level of HDL-Chol and the proportion of Chol in LDL fraction and that of TG in vVLDL fraction. Overall there was a sing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each plasma lipid(Chol TG, VLDL-TG, LDL-C) and the degree of fat unsaturation. However this rerlationship is not always true when compared the hypolipidemic effect of each fatty acid at a similar level of fat unsaturation. There was a trend such taht glucose 6-P dehydrogenase 6-phosphogluconate dehydrogenase and malic enzyme activites were reduced by n-3 fatty acids. Perilla oil significantly increased the incorporation of c20:5 and c22:5 into liver tissue and fish oil suignificantly increased the incorporation of c20:5, c22:6 into liver tissue and the effect of long chain n-3 fatty acid incorporation was greater by fish oil. therefore the hypotriglyceridemic effect of n-3 fatty acid could be resulted from the interference of hepatic lipogenesis by long-chain n-3 fatty acids and the reduced proportion of TG in VLDL fraction and its effect was greater by n-3 EPA+DHA than n-3 ALA even though plasma Chol and TG levels were also influenced by the degree of dietary fat unsaturation.

  • PDF

치어기 뱀장어의 사료내 필수지방산 요구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Requirements of Optimum Dietary Essential Fatty Acids in Juvenile Eel, Anguilla japonica)

  • 배준영;한경민;박건준;배승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75-281
    • /
    • 2004
  • 본 실험은 치어기 뱀장어의 사료내 필수지방산과그 적정 요구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5종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을 종류별, 수준별로 첨가하여 성장 및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실험어는 평균무게 15 g인 뱀장어 치어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사료 내에 5종류의 고도불포화지방산(LA, LNA, AA, DHA, EPA)을 첨가하여 총 7가지 실험구를 3반복으로 설정하여 16주간 사육실험을 진행하였다. WG과 SGR에 있어서 D$_3$실험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FE과 PER역시 성장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는데 D$_2$, D$_3$실험구가 다른 실험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는데, 이들 실험구간에는 유의적 차가 없었다(P<0.05). 혈액성상 중 헤마토크리트(Hematocrit)는 대조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Hemoglobin은 9.5-11.6 (g/100m1)로 전실험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AST는 D$_{7}$실험구가 가장 높았으며, ALT와 TP는 모든 실험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Glucose는 D$_{5}$실험구가 가장 높았으며, Cholesterol은 D$_{4}$실험구가 다른 실험구들에 비해 가장 높았다(P<0.05). 전어체내 고도불포화지방산 함량에 있어서 대조구는 나머지 실험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D$_1$, D$_4$ 실험구와 D$_2$-D$_{7}$, 실험구간 사이에서는 각각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HUFA/SFA비율에 있어서 D$_2$, D$_3$, D$_{6}$이 D$_1$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D$_1$, D$_4$, D$_{5}$, D$_{7}$, 실험구간 그리고 D$_2$-D$_{7}$, 실험구간 사이에서는 각각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DHA/EPA의 비율에 있어서 D$_{7}$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D$_{5}$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상기의 결과를 토대로, 성장과 전어체내 지방산조성에 있어서 뱀장어 치어의 사료내 EPA와 DHA의 첨가효과 미약한 것으로 판단되며, 사료내 LNA (n-3)와 LA(n-6) HUFA을 각각 0.35%, 0.65% 첨가했을 때 WG, SGR, FE, PER이 가장 높았으나, 이전의 실험(Takeuchi, 1980)과 동일한 수준인 n-3와 n-6를 각각 0.5%씩 첨가한 실험구와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렇게 볼 때, 뱀장어 치어의 필수지방산은 LNA (n-3), LA (n-6)이고, 그 적정수준은 각각 0.35-0.5%, 0.5-0.65%임을 보여준다.

산란계에 천연 항산화원으로서 가시오갈피 및 두충 급여가 체내 항산화 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Acanthopanax senticosus and Eucommia ulmoides on Antioxidant Defense System in Laying Hens)

  • 강선영;이민희;고영현;손시환;문양수;장인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5-21
    • /
    • 2010
  • 본 연구는 하이라인 브라운 실용 산란계(20주령)를 이용하여 대조군 및 항산화원으로 가시오갈피잎 및 두충잎을 각각 사료 급여량 대비 0.5%와 1.0%를 첨가하여 모두 5군을 설정하여 산란초기에 10주 동안 사양하여 혈액내 항산화력 및 체조직의 항산화 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항산화 생리 활성 물질의 급여(가시오갈피, 두충) 및 처리 수준(0.5%:1.0%)간에 체중 및 증체량의 변화는 없었다. 한편, 혈액내 항산화력은 식물성 항산화 물질 급여군에서 전체 항산화력(TAS)이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으며, 특히 두충급여군에서높게(P<0.05) 나타났다. 소장상피세포내의GST의 활성도는 대조군보다 두충의 첨가 급여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체 조직에서 항산화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소장 SOD 활성도는 가시오갈피 0.5% 첨가군과 두충 0.5%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간 조직내 항산화 효소의 활성도를 조사한 결과, 대조군과 가시오갈피 첨가군 간에는 특이적 변화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산란 초기에 가시오갈피와 두충잎 분말의 급여는 혈액내 항산화력 증진과 소장 점막 조직의 항산화 방어기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에서 항산력 및 경제성 등을 고려할 경우 0.5% 수준의 식물성 항산화 물질의 급여가 동물체의 건강 증진으로 체내 항상성 유지에 가장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사료 내 항산화원으로서 커피박 첨가가 닭의 사양성적, 혈액생화학성상 및 항산화 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offee Meal on Growth Performance, Blood Biochemical Profiles and Antioxidant Defense System in Broiler Chickens)

  • 고영현;강선영;장인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23-232
    • /
    • 2012
  • 본 연구는 커피박 첨가 사료가 육계의 사양 성적, 면역 장기 무게, 혈액성상 및 항산화 방어 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실험 설계로서 3일령 육계 162수를 각 처리구당 54수씩(n=6, 케이지당 9수) 대조군(CON), 커피박 0.5%(CM0.5) 및 1.0%(CM.0) 3 처리군에 완전임의 배치하여 35일령까지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커피박 분말은 육계 후기 사양 기간(2~35일령) 동안에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In vitro radical 소거능 분석(DPPH 방법) 결과, 커피박 추출물은 매우 높은 radical 소거능(RSA)을 보였다. 사양 시험 결과, 커피박 0.5 및 1.0% 참가 급여는 체중, 증체량, 사료 섭취량 및 사료 요구율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 비장 및 F-낭 등 면역 관련 장기 무게 역시 커피박 첨가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흉선의 무게는 커피박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증가되었다. 혈액 생화학 성상에서도 glucose, total protein, triglyceride, cholesterol 등은 차이가 없었으나, albumin은 커피박 첨가군에서 유의하게(P<0.05) 증가하였다. 소장점막세포 및 간조직에서 SOD, GPX 및 GST와 같은 항산화 효소의 활성도 및 GSH 함량은 커피박 첨가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간세포의 microsome 조직에서 지질과 산화도(MDA)는 커피박 첨가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CM0.5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P<0.05)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0.5~1.0% 수준의 커피박 첨가 급여는 육계의 사양 성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오히려 간 조직의 지질과산화를 억제하여 체 조직에서 항산화력을 증가시키므로 육계 사료 내 천연 항산화 소재로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브로일러에 대한 감마리놀렌산의 급원으로써 달맞이꽃종자유와 삼씨유;닭 껍질, 다리살 및 가슴살 지질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vening primrose oil and hemp seed oil as an ${\gamma}-linolenic$ acid source for broiler;Influence of fatty acid composition of chicken skin, thigh and breast muscle)

  • 박병성;강환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6-204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etary oils on the levels of the ${\gamma}-linolenic$ acid in chicken meat lipids. Three hundred ten five, 1-d old, male, Ross strain, broiler chicks were fed for 35 d to compare diets containing evening primrose oil(EPO) and hemp seed oil(HO) to a control diet. Fatty acid composition of lipid from chicken skin, thigh and breast muscle were determined at the end of the trial. The level of ${\gamma}-linolenic$ acid of lipids from chicken meat fed diets containing EPO or HO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p<0.05). The level of ${\gamma}-linolenic$ acid of lipids from chicken skin was highest in the group, which had been fed the EPO 0.85%, followed in order by EPO 0.7%, 0.5%, EPO mixed oil, HO and HO mixed oi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gamma}-linolenic$ acid of chicken skin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p<0.05). The level of ${\gamma}-linolenic$ acid of lipids from chicken thigh muscle was also similar to skin, an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p<0.05). The level of ${\gamma}-linolenic$ acid of lipids from chicken breast muscle was highest in the group, which had been fed the EPO 0.5%, followed in order by EPO 0.7%, 0.85%, HO 0.5% and HO mixed oi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gamma}-linolenic$ acid of chicken breast muscle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p<0.05).

땅콩 속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알파-글루코시데이즈 억제활성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of Peanut (Arachis hypogaea L.) Skin)

  • 하태정;이명희;오은영;김정인;송석보;곽도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1-28
    • /
    • 2020
  • Background: Owing to its high efficiency in lipid and protein production, peanut (Arachis hypogaea L.) is considered one of most important crops world-wide. The kernels of peanuts are undoubtedly the most important product this plant, whereas the skin is almost completely neglected in nutraceutical terms. However, peanut skin contains potentially health-promoting phenolics and dietary fiber, and there is considerable potential for commercial exploitatio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an extract of peanut skin (PS). Methods and Results: The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s of 80% ethanol extracts of peanut (A. hypogaea L. 'Sinpalkwang') skin were evaluated and found to have a half-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value of 1.2 ㎍/㎖. Progress curves for enzyme reactions were recorded spectrophotometrically, and the inhibition kinetics revealed time-dependent inhibition with enzyme isomerization. Furthermore, using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mbined with quadrupole-orbitrap mass spectrometry, we identified 26 compounds in the peanut skin extract, namely, catechin, epicatechin, and 24 proanthocyanidin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peanut skin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source of α-glucosidase inhibition in functional foods and nutraceuticals.

쌀의 영양학적.기능적 우수성 (Nutrition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Rice)

  • 하태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2년도 창립 10주년 기념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64-71
    • /
    • 2002
  • Rice(Oryza stiva L.) is a major cereal food providing nourishment to over half of the world's populations and was considered only as a source of energy. However, The recent many researches have been made to suggest that rice may relate to prevention chronic disease and health-promoting properties such as postprandial glucose response, hypocholesterolemic effect and blood pressure-lowering effect. There has been numerous observation supporting that rice has hypocholesterolemic effect. Rice, rice bran, rice bran oil and unsaponifiable matter of rice bran oil reduced plasma cholesterol in rat, hamster as well as human. Components of rice showing hypocholesterolemic effect include dietary fiber(hemicellulose, phytic acid). protein, ${\gamma}$-oryzanol, $\beta$-sitosterol, and tocotrienols. Crapo et al has been studied that the effect of various of starchy foods on the postprandial blood glucose and insulin responses in healthy and diabetic humans. The results showed that rice had lower blood glucose and insulin responses compared to potato, bread and dextrose. The different physical forms in the same starch also produce the different postprandial glucose and insulin responses. In recent years,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some components of rice have potent antioxidant activity against Fe$^{2+}$ -ascorbate induced lipid peroxidation in rat liver microsomal membranes. Cell culture and animal studies have shown that some components of rice have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and proliferation of several types of human cancer cell. It was also reported that the methanol extract of brown rice has antimutagenic activity against various mutagens. In addition, the pepsine hydrolysate from rice protein is reported to inhibit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tivity. GABA (${\gamma}$ - aminobutyric acid) and GABA enriched rice germ is also effective for lowering blood pressure and triglyceride level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