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ary Fatty Acids

검색결과 775건 처리시간 0.039초

Effect of fibrous diets on chemical composition and odours from pig slurry

  • Mpendulo, Conference Thando;Hlatini, Vuyisa Andries;Ncobela, Cypril Ndumiso;Chimonyo, Michae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1호
    • /
    • pp.1833-1839
    • /
    • 2018
  • Objective: Incorporating high fibre ingredients into pig diets has the potential to reduce odour emissions from of pigs. The current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effect of diets containing 0, 80 and 160 g/kg of each of lucerne hay, maize cobs and sunflower husks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odours from pig slurries. Methods: Twenty eight pigs averaging $18{\pm}2.0kg$ were kept in individual cages, over four weeks. All pigs were fed ad libitum. Faeces and urine were collected, mixed in a 1:2.3 ratio (w/w), stored and fermented for 16 days in a temperature controlled room at $22^{\circ}C{\pm}2.3^{\circ}C$. The slurry was sampled twice (on day 1 and on day 16) of the fermentation period and analysed for pH, chemical oxygen demand (COD), nitrogen and short chain fatty acids (SCFA) concentration, on wet basis. All samples were tested for odour offensiveness using 18 panelists. A scale of 1 to 5 was used to rank the odour severity, (1 = not offensive, 5 = extremely offensive). Results: Slurry pH and COD varied with fibre source (p<0.05). On day 16, COD for lucerne hay, sunflower husk and maize cobs were 369, 512, and 425 (standard error of the mean = 34.2) mg of oxygen per litre. Total SCFA concentration was higher at day 16 than day 1 (p<0.05). Odour offensiveness varied with fibre source across both incubation periods (p<0.05). Sunflower husks and lucerne hay-based diets were rated as less offensive (mean rank = 2.2) than maize cob diets (mean rank of 4.3) (p<0.05).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different fibre sources and incubation period influence chemical composition and odour of the slurry. There is, thereby, a need to incorporate locally available fibrous feeds in the diet of pigs because they have an economical and environmental relevance to pig management.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3-nitrooxypropanol on enteric methane emissions, rumen fermentation, and production performance in ruminants: a meta-analysis

  • Kim, Hanbeen;Lee, Hyo Gun;Baek, Youl-Chang;Lee, Seyoung;Seo, Jakyeom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1호
    • /
    • pp.31-42
    • /
    • 202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3-nitrooxypropanol (NOP) on gas production, rumen fermentation, and animal performances depending on animal type using a meta-analysis approach. A database consisted of data from 14 studies, 18 experiments and 55 treatments. The supplementation of NOP linearly decreased methane (CH4) emissions [g/kg dry matter intake (DMI)] regardless of animal type and length of experimental period (beef, p < 0.0001, R2 = 0.797; dairy, p = 0.0003, R2 = 0.916; and long term, p < 0.0001, R2 = 0.910). The total volatile fatty acids (VFA) concentration and the proportion of acetate, based on beef cattle databas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NOP supplementation (p = 0.0015, R2 = 0.804 and p = 0.0003, R2 = 0.918), whereas other individual VFAs was increased. Based on the dairy database, increasing levels of NOP supplementation linearly decreased proportion of acetate (p = 0.0284, R2 = 0.769) and increased that of valerate (p = 0.0340, R2 = 0.522), regardless of significant change on other individual VFAs. In animal performances, the DMI, from beef cattle database, tended to decrease when the levels of NOP supplementation increased (p = 0.0574, R2 = 0.170),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on DMI from dairy cattle database. The NOP supplementation tended to decrease milk yield (p = 0.0606, R2 = 0.381) and increase milk fat and milk protein (p = 0.0861, R2 = 0.321, p = 0.0838, R2 = 0.322). NOP is a viable candidate as a feed additive because of its CH4 mitigation effects, regardless of animal type and experiment period, without adverse effects on animal performances.

유산균 발효에 따른 볶은 아마씨 추출물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Total Polyphenol Contents,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oasted-flaxseed Extracts Based on Lactic-acid Bacteria Fermentation)

  • 박예은;김병혁;윤여초;김중규;이준형;권기석;황학수;이중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47-554
    • /
    • 2018
  • 아마(Linum usitatissimum L.)의 종자인 아마씨(Flaxseed)는 아마인(仁)이라고도 불리며 오메가-3 지방산, 식물성 에스트로겐, 알파-리놀렌산 및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 저해, 혈액응고 저해, 종양의 성장 억제 등 다양한 효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보고 되어있다. 본 연구는 유산균을 이용해 발효한 아마씨의 기능성 성분을 조사하기 위해 가열 처리된(볶은) 아마씨에 4종의 유산균(NFFS ; Non-fermented flaxseed, BHN-LAB31, 126 ; Lactobacillus brevis, BHN-LAB41 ; Pediococcus pentosaceus, KCTC3109 ; Lactobacillus casei)을 접종하여 $37^{\circ}C$에서 7일 동안 발효를 진행하였고, 발효 후 70% 에탄올을 통해 추출하여 각 발효 유산균에 따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발효하지 않은 아마씨(NFFS)에 비해 유산균 발효 아마씨에서 전반적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 약 1.5~8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약 1.2배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능은 100 ppm 농도에서 비 발효 아마씨 대비 5.6배, SOD 유사활성능은 2.3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유산균을 이용한 아마씨의 발효가 가능하며, 유산균 발효가 아마씨의 항산화능 증대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한 기능성 식품 또는 화장품 소재로의 개발 및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간유 및 비막치어(Dissostichus eleginoides) 근육지질이 흰쥐의 혈청지질 및 지방조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co-friendly Squid Todarodes pacificus Liver and Patagonian Toothfish Dissostichus eleginoides Muscle Oils on the Serum Lipids and Adipose Tissues of Rats)

  • 문수경;이수정;성낙주;김인수;정보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45-750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quid Todarodes pacificus liver oil on the serum lipids and adipose tissue weight of rats. The rats in the soybean oil (SO) group received a basic diet prepared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s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IN-93G), with 7% SO as lipid source. The rats in the Patagonian toothfish Dissostichus eleginoides muscle oil (PTFO) group received 5% PTFO and 2% SO as the lipid source, while the rats in the eco-friendly squid liver oil (EFSO) group received 5% EFSO and 2% SO. EFSO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outlined in the author's patent. PTFO was extracted from muscle using a physical method in the author's laboratory. The prominent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the dietary oils were 18:2n-6 (54.3%) and 18:3n-3 (5.64%) in SO, DHA (6.77%) and EPA (3.61%) in PTFO, and DHA (26.2%) and EPA (9.94%) in EFSO. After feeding for 4 weeks, the serum lipid levels (e.g.,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of the rats in the EFSO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ose in the SO group (P<0.05); those of the rats in the PTFO group were also reduced, albeit not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SO group. On the other hand, the total white adipose tissue (visceral, epididymal, and perirenal) weight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EFSO and PTFO groups compared to the SO group.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EFSO is an effective lipid modifying agent in rat blood, and that EFSO and PTFO have greater anti-obesity effects than SO.

산란성계에서 사료 급이량 조절이 생산성과 계육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gulate in Feed Intakes on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Old Laying Hens)

  • 강환구;김찬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05-214
    • /
    • 2015
  • 본 연구는 100주령 이상의 산란성계에서 사료 급이량 조절에 따른 생산성, 도체 수율 및 육질을 주령에 따라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 동물은 100주령 Hy-Line Brown 200수를 선별하여 A형 2단 케이지에 대조구 포함 총 5처리구로 구성하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10수씩(2수 수용 케이지 10개) 난괴법으로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 물은 자유 섭취하게 하였으며, 일반적인 점등관리(자연일조 + 조명; 16hr)를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대조구(일일 사료 섭취량 100%), 90%, 60%, 50%, 20% 총 5처리였다. 산란율은 사양 시험 기간 동안 일일 사료 섭취량이 감소함에 따라 산란율 및 사료 요구량은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다. 도체 수율 역시 사양시험 기간 동안 일일 사료 섭취량이 감소함에 따라 도체 수율 및 부분육(가슴, 다리, 날개) 비율이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다. Leukocyte 함량은 일일 사료 섭취량이 50%, 20%일 때 WBC, HE, LY, MO 및 EO 함량의 비율이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가슴육 내 일반 성분항목, 보수력, 가열감량 및 지방산 함량에 있어서는 사양시험 기간과 일일 사료 섭취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 일일 사료 섭취량이 감소할수록 생산성과 도체율이 감소하였으나, 일일사료 섭취량을 60% 수준까지 낮춰도 무방하다고 생각되며, 계육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물성을 달리한 고등어(Scomber japonicus) 활용 고령친화식품의 제조 및 품질특성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Mackerel Scomber japonicas-based Processed Products as Senior-friendly Seafoods)

  • 장미순;오재영;김풍호;박선영;김예율;강상인;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703-713
    • /
    • 2021
  • Mackerel Scomber japonicus is an excellent source of vitamins (A, D and B12), omega-3 fatty acids, dietary protein and minera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mackerel-based processed seafood products such as grilled product with super-heated (GM), tang (TM) and salad with sweet potato (SSM) using mackerel as senior-friendly seafoods and to examine their quality characteristics. The hardness of GM, TM and SSM were 240.3×1.03, 21.7×1.03 and 7.4×1.03 N/m2, respectively. The viscosity of SSM was 25,450 m·Pas. The nutritional content of mackerel-processed products was within the senior-friendly standard specifications for protein, vitamin C, vitamin B2 (riboflavin) and vitamin B3 (niacin) ing GM, protein, vitamin B3 and calcium for TM, and protein, vitamin D, vitamin B2 and vitamin B3 in SSM. All the mackerel-processed products were safe as senior-friendly seafoods, since digestibility rates were 81.5% for GM, 87.9% for TM and 93.5% for SSM. The physical, nutritional and the sanitation results indicated that senior-friendly seafoods classified of the mackerel-processed products was step 1 for GM, step 2 for TM and step 3 for SSM according to the Korean Food Code and Korean Indusrty Standards.

Does supplementing laying hen diets with a herb mixture mitigate the negative impacts of excessive inclusion of extruded flaxseed?

  • Hossein Hosseini;Noah Esmaeili;Aref Sepehr;Mahyar Zare;Artur Rombenso;Raied Badierah;Elrashdy M. Redwan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4호
    • /
    • pp.629-641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xtruded flaxseed with and without herbs mixture on egg performance, yolk fatty acids (FAs), lipid components, blood biochemistry, serological enzymes, antioxidants, and immune system of Hy-Line W-36 hens for nine weeks. Methods: Two hundred forty laying hens were randomly distributed to eight treatments, resulting in six replicates with five hens. Graded levels of dietary extruded flaxseed (0, 90, 180, and 270 g/kg) with and without herbs mixture (24 g/kg: garlic, ginger, green tea, and turmeric 6 g/kg each) were designed as treatments. Results: The two-way analysis of variance indicated that hens fed herbs mixture had a higher value of egg production, yolk high-density lipoprotein (HDL),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and white blood cell and lower contents of yolk cholesterol, glucose, and blood low-density lipoprotein than those fed diets without herb mixtures (p<0.05). The Flx27 (270 g/kg flaxseed) (153.5 g/kg n-3 FAs) and Flx27+H (270 g/kg flaxseed plus 24 g/kg herbs mixture) (150.5 g/kg n-3 FAs) groups were the most promising treatments in terms of yolk n-3 FAs content. In-teraction effect (herbs- flaxseed) for blood cholesterol, HDL, malondialdehyde, glutaredoxin, alanine transaminase, (ALT), aspartate transaminase (AST), haemoglobin and immune parameters was significant (p<0.05). The results showed layers fed herbs mixture (Flx9+H, Flx18+H, and Flx27+H) had a better value of total antibody, immunoglobulin M, immunoglobulin G, ALT, AST, and blood HDL as compared with representative flaxseed levels without herbs. Conclusion: High inclusion levels of extruded flaxseed (270 g/kg) without herbs to enrich eggs with n-3 appears to impair the antioxidant system, immunohematological parameters, and sero-logical enzymes. Interestingly, the herbs mixture supplementation corrected those effects. Therefore, feeding layers with flaxseed-rich diets (270 g/kg) and herbs mixture can be a promising strategy to enrich eggs with n-3 FAs.

부산 향토음식 동래파전의 조리표준화 및 영양분석 (Recipe Standardization and Nutrient Analysis of 'Dong-rae Pajeon' (Local Food in Busan))

  • 김상애;신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1472-1481
    • /
    • 2007
  • 동래파전의 유래에 대한 문헌이 없어 문헌적 고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사례연구에 의하면 조선조에서 삼짇날 임금님께 진상한 음식(동래할매파전 옥호의 주인의 구술)인 상류층 음식으로, 벚꽃 피기전의 초봄의 계절음식 및 재실음식(이씨 및 왕씨 부부, 추씨 등의 민간구술)으로 이루어졌고 이로써 부산 향토음식임이 입증되었다. 동래파전의 식재료는 조선쪽파, 미나리, 해산물(대합, 홍합, 조갯살, 굴, 새우, 논고동), 쇠고기, 계란, 찹쌀 및 멥쌀가루, 맛국물(멸치, 다시마 국물)등이며, 이들 식재료를 조리 순서대로 얹어 참기름으로 구워낸 것으로 5가지 기초 식품군이 골고루 배합된 음식이다. 동래파전의 표준화에서 맛에 관련된 인자는 식재료 인자와 열원인자를 들 수 있다. 식재료 인자 중 찹쌀 및 멥쌀 가루에 멸치와 다시마의 국물을 섞은 반죽에서 쌀가루의 전분과 파가 어우러져 파전에 깊은 맛을 주고, 맛국물은 구수한 맛과 칼슘을 공급하여 파전에 맛과 영양의 상승효과를 주고 있으며, 참기름은 불포화지방산의 공급과 함께 파전에 유지맛과 고소한 맛을 주고 있다. 또한 조리 시, 강한 열원에서 번철을 달구어 식재료를 순서대로 얹어 뒤집고, 다시 반죽을 얹어 뚜껑을 덮은 후 열원을 약하게 하여 쌀 전분의 완전호화를 도와 파전의 깊은 맛을 배가시킨다 동래파전의 100g 당 에너지는 148 kcal, 단백질 8.8 g, 지방 2 g, 식이섬유 8.6 g, 칼슘 57.7 mg, 철분이 1.8 mg이었으며 1인분(245 g)당 에너지는 364 kcal, 단백질은 21.6g, 칼슘은 141 mg, 철분은 4.4 mg으로, 철분과 단백질의 함량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조성은 시스틴, 리신, 루이신, 발린, 이소루이신 등의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았으며 필수 및 비필수 아미노산의 조성이 균형된 음식이다. 구성 지방산 중 올레인산, 리놀레산, 리놀렌산의 함량이 각각 20.5%, 20.1%, 10.4%로 불포화지방산이 58.3%이었으며 P/M/S가 0.73/0.67/1이었다. 동래파전의 섭취 증가를 위하여서는 자주 먹을 수 있는 일상의 음식으로, 또 저 연령층의 섭취확대를 위한 급식메뉴로, 그리고 때와 장소의 구애 없이 간편히 이용할 수 있고, 우리국민은 물론 외국인의 입맛을 공략할 수 있는 조리방법 개발에 많은 노력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향토적 동래파전의 식재료 종류와 분량, 조리법에만 중점을 둔 조리표준화를 행하였으나 향후의 연구는 동래파전의 산업화에 중점을 두고 젊은 층을 중심으로 고 연령층 등 각 연령층이 선호할 수 있는 우리전통음식인 동래파전 패스트푸드화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천마의 식품학적 성분 분석 및 건조방법에 따른 특성 변화 (Analysis of Food Components of Gastrodiae Rhizoma and Changes in Several Characteristics at the Various Drying Conditions)

  • 이부용;최현선;황진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7-42
    • /
    • 2002
  • 본 연구는 천마의 식품성분들을 분석하고 건조방법에 따른 특성들을 비교하여 식품가공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생천마의 수분함량은 81.20%이었다. 동결건조한 천마의 수분함량은 7.61%, 조단백질 6.21%, 조지방 1.50%, 조회분 2.55%, 탄수화물 89.74%이었다. 천마의 총 식이섬유는 11.68%이었다. 동결건조와 $40^{\circ}C$$60^{\circ}C$에서 열풍건조한 천마 분말의 색도에서 L값은 동결건조한 천마가 94.52로 가장 높았으며 a값과 b값은 $60^{\circ}C$ 열풍건조한 천마가 각각 0.76, 16.41로 가장 높았고 3가지 천마시료의 색도 차이가 뚜렷했다. 천마에서 가장 많은 무기질은 K(1265.03 mg%)이었고, 아스파르트산(1272.10 mg%)과 글루탐산(1249.50 mg%)이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이었다. 4가지 유리당의 총 함량은 19.02%이었고 그중 maltose가 11.04%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조지방중의 지방산은 linoleic acid(53.79%)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비타민 A는 생천마, 동결건조한 천마, 열풍건조한 천마 모두에서 검출되지 않은 반면, 비타민 C는 생천마 0.015%, 동결건조한 천마 0.010%, $60^{\circ}C$ 열풍건조한 천마는 0.002%로 나타났고 $40^{\circ}C$ 열풍건조한 천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생천마, 동결건조한 천마, $40^{\circ}C$$60^{\circ}C$에서 열풍건조한 천마의 관능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동결건조한 천마는 생천마에 비해 비린내, 쿰쿰한 냄새, 쓴맛, 찝찔한 맛 등의 부정적인 요소들이 줄어든 반면 단맛의 강도는 약간 더 증가했으며 $40^{\circ}C$ 열풍건조한 것은 텁텁한 맛이 뒷맛으로 느껴졌고, $60^{\circ}C$ 열풍건조한 천마는 가열에 의한 고소한 냄새가 강하게 감지되고 쓴맛과 떫은맛 등의 부정적인 요소들이 거의 느껴지지 않으면서 바삭바삭한 조직감과 함께 단맛과 고소한 맛이 강하게 느껴졌다.

한국(韓國), 일본(日本), 중국(中國) 삼개국(三個國) 참기름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 및 궁능적(宮能的) 특성(特性)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esame Oils Manufactured in Korea, Japan and China)

  • 김현위;이민정;김기홍
    • 동아시아식생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4년도 참깨과학 국제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 /
    • pp.107-129
    • /
    • 2004
  • 참기름은 특유의 풍미와 건강 기능적 특성으로 한국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제조방법에 따라 휘발성 향기성분과 항산화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많이 행해져 왔다. 이에 한국, 일본, 중국 참기름의 품질특성과 기호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판 한국, 일본, 중국 참기름을 대상으로 이화학적 특성, 휘발성 향기성분, 항산화성, 이들간의 상관성 및 관능평가를 조사하였다. 지방산 조성은 올레산, 리놀산이 거의 80%이상이고, P/S 비는 4.99${\sim}$5.73 이었으며, 토코페롤은 ${\gamma}$체가 대부분으로 23.14${\sim}$34.85 mg/100g 범위이었다. 리그난 함량에 있어서는 세사민(322.91${\sim}$689.39ppm), 세사몰린(62.19${\sim}$289.82ppm)이 대부분이었고, 세사몰은 8.52${\sim}$51.21ppm 로 제조국간의차이가 뚜렷하여 한국>중국>일본의 순으로 많았다. 산화안정성의 지표가 되는 유도기간은 한국>중국>일본 순이었고, Lovibond 색가에서는 제품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한국${\geq}$중국>일본제품의 순서로 red 값과 yellow 값이 큼을 알 수 있었다. 향기성분의 주요 구성은 pyrazines>phenols>aldehydes> furans 이었고, 이외에 pyrroles, thiazoles, indoles 을 소량 포함하고 있었다. 향기성분 총량은 한국>중국>일본 제품의 순서로 많았고, 한국제품에 pyrazines 이 총향기성분 함량의 35%으로 월등히 많았으며, 중국 참기름의 경우는 phenols이 많았다. good flavor(pyrazines, pyroles, thiazoles, furans)/off flavor(phenols, aldehydes, Indoles)은 대체로 한국>일본${\fallingdotseq}$중국이었다. 또한, Pyrazines, sesamol, b 값(yellowness), 유도기간 간에는 양의 상관이 있음을 알았다. 한국, 일본, 중국 참기름에 대한 기호특성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한국인들은 고소한 향의 강도, 고소한 향의 기호도, 전체적인 맛에서 한국참기름>일본참기름>중국참기름의 순서로 일본인들은 전체적인 맛에서는 한국인들과 비슷한 기호성을 보였으나, 고소한 향의 기호도에서는 한국참기름과 일본참기름을 동일하게 평가한 반면, 중국인들은 고소한 향의 강도, 고소한 향의 기호도, 전체적인 맛에서 뚜렷하게 일본참기름을 우수하게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