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ary Concentrate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 of condensed tannins from Ficus infectoria and Psidium guajava leaf meal mixture on nutrient metabolism, methane emission and performance of lambs

  • Pathak, A.K.;Dutta, Narayan;Pattanaik, A.K.;Chaturvedi, V.B.;Sharma,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12호
    • /
    • pp.1702-1710
    • /
    • 2017
  • Objective: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ondensed tannins (CT) containing Ficus infectoria and Psidium guajava leaf meal mixture (LMM) supplementation on nutrient metabolism, methane emission and performance of lambs. Methods: Twenty four lambs of ~6 months age (average body weight $10.1{\pm}0.60kg$)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dietary treatments (CT-0, CT-1, CT-1.5, and CT-2 containing 0, 1.0, 1.5, and 2.0 percent CT through LMM, respectively) consisting of 6 lambs each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All the lambs were offered a basal diet of wheat straw ad libitum, oat hay (100 g/d) along with required amount of concentrate mixture to meet their nutrient requirements for a period of 6 months. After 3 months of experimental feeding, a metabolism trial of 6 days duration was conducted on all 24 lambs to determine nutrient digestibility and nitrogen balance. Urinary excretion of purine derivatives and microbial protein synthesis were determin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spiration chamber study was started at the mid of 5th month of experimental feeding trial. Whole energy balance trials were conducted on individual lamb one after the other, in an open circuit respiration calorimeter. Results: Intake of dry matter and organic matter (g/d)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CT-1.5 than control. Digestibility of various nutrients did not differ irrespective of treatments. Nitrogen retention and microbial nitrogen synthesis (g/d) was significantly (p<0.01) higher in CT-1.5 and CT-2 groups relative to CT-0.Total body weight gain (kg) and average daily gain (g) were significantly (linear, p<0.01) higher in CT-1.5 followed by CT-1 and CT-0, respectively. Feed conversion ratio (FCR) by lambs was significantly (linear, p<0.01) better in CT-1.5 followed by CT-2 and CT-0, respectively. Total wool yield (g; g/d) was linearly (p<0.05) higher for CT-1.5 than CT-0. Methane emission was linearly decreased (p<0.05) in CT groups and reduction was highest (p<0.01) in CT-2 followed by CT-1.5 and CT-1. Methane energy (kcal/d) was linearly decreased (p<0.05) in CT groups. Conclusion: The CT supplementation at 1% to 2% of the diet through Ficus infectoria and Psidium guajava LMM significantly improved nitrogen metabolism, growth performance, wool yield, FCR and reduced methane emission by lambs.

인삼 중 azoxystrobin의 재배방법별 잔류특성 및 행적 (Residu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of Azoxystrobin in Ginseng by Cultivation Conditions)

  • 이재윤;노현호;박효경;김진찬;정혜림;진미지;경기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4-21
    • /
    • 2015
  • 인삼의 재배환경에 따른 잔류특성을 조사하고 살포 농약의 행적을 알아보기 위하여 5년근 인삼포에 덮개 유무와 인삼 줄기의 움직임으로 생긴 구멍을 흙으로 메우는 방법 여부의 서로 다른 조건에서 azoxystrobin (20% SC)을 안전사용기준의 기준량과 배량농도로 수확 7일전까지 10일 간격으로 4회 살포하였으며, 행적 구명 시험을 위해서는 기준량을 1회 살포한 후 분석시료를 채취하였다. 재배기간 중 덮개를 설치하고 구멍을 막은 경우가 잔류량이 낮아 덮개 설치와 구멍 메우기가 잔류량 감소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인삼에 살포한 azoxystrobin은 비표면적이 큰 잎에 가장 많이 분포하였으며, 살포시기가 인삼의 수확기에 근접할수록 잎 중 잔류량은 감소하였으나 토양표면의 검출량은 증가하였다. 뇌두를 포함한 인삼 뿌리 중 시험농약의 분포율은 약 0.1%이었으며, 인삼 섭취 시 뇌두를 제거할 경우 12.7-20.4%(평균 16.6%)의 잔류농약 섭취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Oil supplementation improved growth and diet digestibility in goats and sheep fed fattening diet

  • Candyrine, Su Chui Len;Jahromi, Mohammad Faseleh;Ebrahimi, Mahdi;Chen, Wei Li;Rezaei, Siamak;Goh, Yong Meng;Abdullah, Norhani;Liang, Juan Bo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4호
    • /
    • pp.533-540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evaluated the growth, digestibility and rumen fermentation between goats and sheep fed a fattening diet fortified with linseed oil. Methods: Twelve 3 to 4 months old male goats and sheep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wo dietary treatment groups in a $2(species){\times}2$ (oil levels) factorial experiment. The treatments were: i) goats fed basal diet, ii) goats fed oil-supplemented diet, iii) sheep fed basal diet, and iv) sheep fed oil-supplemented diet. Each treatment group consisted of six animals. Animals in the basal diet group were fed with 30% alfalfa hay and 70% concentrates at a rate equivalent to 4% of their body weight. For the oil treatment group, linseed oil was added at 4% level (w:w) to the concentrate portion of the basal diet. Growth performance of the animals was determined fortnightly. Digestibility study was conducted during the final week of the feeding trial before the animals were slaughtered to obtain rumen fluid for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study. Results: Sheep had higher (p<0.01) average daily weight gain (ADG) and better feed conversion ratio (FCR) than goats. Oil supplementation did not affect rumen fermentation in both species and improved ADG by about 29% and FCR by about 18% in both goats and sheep. The above enhancement is consistent with the higher dry matter and energy digestibility (p<0.05), as well as organic matter and neutral detergent fiber digestibility (p<0.01) in animals fed oil- supplemented diet. Sheep had higher total volatile fatty acid production and acetic acid proportion compared to goat.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sheep performed better than goats when fed a fattening diet and oil supplementation at the inclusion rate of 4% provides a viable option to significantly enhance growth performance and FCR in fattening sheep and goats.

Effects of ambient temperature and rumen-protected fat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rumen fermentation and blood parameters during cold season in Korean cattle steers

  • Kang, Hyeok Joong;Piao, Min Yu;Park, Seung Ju;Na, Sang Weon;Kim, Hyun Jin;Baik, Myungg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5호
    • /
    • pp.657-664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whether cold ambient temperature and dietary rumen-protected fat (RPF) supplementation affect growth performance, rumen fermentation, and blood parameters in Korean cattle steers. Methods: Twenty Korean cattle steers (body weight [BW], $550.6{\pm}9.14kg$; age, $19.7{\pm}0.13months$) were divided into a conventional control diet group (n = 10) and a 0.5% RPF supplementation group (n = 10). Steers were fed a concentrate diet (1.6% BW) and a rice straw diet (1 kg/d) for 16 weeks (January 9 to February 5 [P1], February 6 to March 5 [P2], March 6 to April 3 [P3], and April 4 to May 2 [P4]). Results: The mean and minimum indoor ambient temperatures in P1 ($-3.44^{\circ}C$, $-9.40^{\circ}C$) were lower (p<0.001) than those in P3 ($5.87^{\circ}C$, $-1.86^{\circ}C$) and P4 ($11.18^{\circ}C$, $4.28^{\circ}C$). The minimum temperature in P1 fell within the moderate cold-stress (CS) category, as previously reported for dairy cattle, and the minimum temperatures of P2 and P3 were within the mild CS category. Neither month nor RPF supplementation affected the average daily gain or gain-to-feed ratio (p>0.05). Ruminal ammonia nitrogen concentrations were higher (p<0.05) in cold winter than spring. Plasma cortisol concentrations were lower (p<0.05) in the coldest month than in the other months. Serum glucose concentrations were generally higher in colder months than in the other months but were unaffected by RPF supplementation. RPF supplementation increased both total cholesterol (p = 0.004) and high-density lipoprotein (HDL) concentrations (p = 0.03). Conclusion: Korean cattle may not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moderate CS, considering that the growth performance of cattle remained unchanged, although variations in blood parameters were observed among the studied months. RPF supplementation altered cholesterol and HDL concentrations but did not affect growth performance.

두충잎의 급여가 면양의 영양소 이용율과 반추위내 발효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Eucommia ulmoides Leaves 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Sheep)

  • 김재황;고영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6호
    • /
    • pp.955-962
    • /
    • 2005
  • 본 시험은 두충 잎을 저질 조사료인 볏짚의 일부로 대체․이용할 목적으로 평균체중 50.2 $\pm$1.6kg의 건강한 숫 면양(Corriedale$\time$Polwarth) 4두로 4$\time$4 라틴 방각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이때 농후사료 : 조사료의 비율은 3:7이었다. 시험구는 두충을 대체하지 않은 대조구와 조사료인 볏짚의 건물을 기준으로 음건 두충 잎을 3, 5 및 10% 대체한 4개 처리구를 공시하였으며, 영양소 이용율, 기호성, 반추위 내 발효 특성 및 미생물체단백질 합성량을 조사․분석하였다. 조지방 소화율은 3% 구와 5% 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약 12.5-17.5%로 증가하였다(p<0.05). 조섬유 소화율은 두충잎을 대체한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약 10.6-13.7%로 개선되었다(p<0.05). 건물 섭취량은 10% 구가 844g으로 가장 많았으며 5% 구는 그 다음으로 많이 섭취하였으며, 대조구와 3% 구는 가장 낮았다(p<0.05). 질소 축적량은 3% 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약 97%가 개선되었으며, 5% 구와 10% 구가 약 173-192%가 개선되었다(p<0.05). 유기물 이용율은 3% 구와 5% 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p<0.05). PD(purine derivatives) 배설량은 5% 구가 2.90mmol/d로 대조구와 3% 구에 비하여 높았다(p<0.05). 미생물체단백질 합성량은 5% 구가 2.51gN/d로 대조구와 3% 구에 비하여 높았다(p<0.05). 반추위내 total VFA 함량은 두충 잎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RAN 함량은 두충 잎 급여 후 1-4시간에 15-19mg/100ml로 높게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두충 잎을 음건하여 반추동물에게 5-10%를 대체하여 급여할 경우 영양소 소화율, 기호성 및 반추위 내 발효조건 개선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s of ambient temperature and dietary glycerol addition on growth performance, blood parameters and immune cell populations of Korean cattle steers

  • Kang, Hyeok Joong;Piao, Min Yu;Lee, In Kyu;Kim, Hyun Jin;Gu, Min Jeong;Yun, Cheol-Heui;Seo, Jagyeom;Baik, Myungg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4호
    • /
    • pp.505-513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whether ambient temperature and dietary glycerol addition affect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metabolic and immunological parameters, in beef cattle. Methods: Twenty Korean cattle steers ($405.1{\pm}7.11kg$ of body weight [BW], $14.2{\pm}0.15$ months of age) were divided into a conventional control diet group (n = 10) and a 2% glycerol- added group (n = 10). Steers were fed 1.6% BW of a concentrate diet and 0.75% BW of a timothy hay diet for 8 weeks (4 weeks from July 28th to August 26th and 4 weeks from August 27th to September 26th). Blood was collected four times on July 28th, August 11th, August 27th, and September 26th. Results: The maximum indoor ambient temperature-humidity index in August (75.8) was higher (p<0.001) than that in September (70.0), and in August was within the mild heat stress (HS) category range previously reported for dairy cattle. The average daily gain (ADG; p = 0.03) and feed efficiency (p<0.001) were higher in hotter August than in September. Glycerol addition did not affect ADG and feed efficiency. Neither month nor glycerol addition affected blood concentrations of cortisol, triglyceride, or non-esterified fatty acid. Blood concentrations of cholesterol, low-density lipoprotein, high-density lipoprotein, glucose, and albumin were lower (p<0.05) on August 27th than on September 26 th, and blood phosphorus, calcium and magnesium concentrations were also lower on August 27th than on September 27th. Glycerol addition did not affect these blood parameters. Percentages of $CD4^+$ T cells and $CD8^+$ T cells were higher (p<0.05) on July 28th than on August 27th and September 26th. The blood $CD8^+$ T cell population was lower in the glycerol supplemented-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on July 28th and August 27th. Conclusion: Korean cattle may not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mild HS, considering that growth performance of cattle was better in hotter conditions, although some changes in blood metabolic and mineral parameters were observed.

마쇄보리 사료 급여가 비육후기 거세 한우의 도체 및 식육 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ietary Cracked Whole Barley on th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Composition in Hanwoo Steers)

  • 이상무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4호
    • /
    • pp.367-375
    • /
    • 2011
  • 본 연구는 마쇄보리 사료의 급여 수준이 비육 후기 한우 거세우의 사료섭취량, 일당증체량, 육량, 육질, 일반성분, 무기물 및 색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급여 기준(배합사료 기준으로 0%, 10%, 20%, 30%, 40% 마쇄보리 첨가)을 5처리 하여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평균 사료섭취량은 T2 > T3 > T4 > T1 > C구 순으로, 일당 증체량은 T2 > T3 > T4 > T1 > C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등지방 두께, 육량 지수 및 등심단면적은 각각 C, T4 및 T1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특히 등지방두께는 마쇄 통보리 첨가구(T1, T2, T3 및 T4)가 C구보다 낮게 나타났다. 근내지방도, 조직감 및 육질등급은 T1구가 가장 높았던 반면(P<0.01, 0.05) 성숙도, 지방색 및 육색은 상호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조지방 함량은 T1구가 17.59%로 가장 높았던 반면 T4구가 7.4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조단백질, 조회분 및 가용무질소물 함량은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에너지가에 있어서는 마쇄보리 첨가구(T1, T2, T3, T4)구가 C구에 비하여 모두 높게 나타났다(P<0.01). Ca, Cu, K, Mg, Mo, Na 및 Zn 함량은 모두 C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5), Co 함량은 T2구에서 높게 나타났다(P<0.01). 명도($L^*$)는 C구에 비하여 마쇄보리 첨가구(T1, T2, T3, T4)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적색도($a^*$)는 T1구가 20.96으로 다른 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P<0.05), 황색도 ($b^*$)는 C구에 비하여 마쇄보리 첨가구가 모두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모두 마쇄보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결과를 종합해 보면 마쇄 보리 첨가량이 10%인 T1구는 다른 구에 비하여 등심단면적, Marble score, 육질등급 및 명도가 다른 구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물 사료(Power-Mix(R))첨가 급여 기간과 수준이 거세한우의 육량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tion Period and Levels of Fermented Mineral Feed(Power-Mix(R)) on the Growth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

  • 김성환;변성효;이상무;황주환;전병태;문상호;성시흥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50-456
    • /
    • 2007
  • 본 연구는 발효무기물 사료 급여기간 및 급여수준이 한우거세우의 일당증체량, 육량, 육질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급여기간을 두구(T1: 비육후기 7개월 동안 급여, T2: 육성기에서 비육후기까지 18개월 급여)로 하고, 급여수준(농후사료 기준으로 0%, 1%, 2%, 3% 첨가)을 세구 로 하여 총 7처리로 실시하였다. 본 시험에서 얻어진 주요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T1에 있어서 일당증체량은 1%구(1.08 kg) > 2%구(0.90 kg) > 3%구(0.75 kg) > 0%구(0.64 kg) 첨가 순으로 나타났으며, T2에서는 1%구(0.98 kg) > 0%구(0.91 kg) > 3%구(0.89 kg) 순으로 나타났다. 등지방 두께는 T1 및 T2 모두 발효 무기물 사료 첨가량이 높을수록 등지방 두께는 얇아져 육량등급에 매우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장근 단면적은 무처리구(0%)에 비하여 처리구(1%, 2% 및 3%)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육질등급에 가장 중요한 근내지방도는 T1에 있어서는 3% 첨가구(4.2)가 T2에 있어서는 1% 첨가구(5.6)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방색 및 성숙도에 있어서는 처리구와 무처리구 간에 뚜렷한 경향치를 보이지 않았다. 육량과 육질에 있어서 T1은 3% 처리구가 가장 좋았던 반면 T2에 있어서는 1% 처리구가 가장 좋게 나타났다. 경제성에 있어서는 1% 첨가구가 T1 및 T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발효 무기물 사료 1%첨가 급여는 한우 성장 및 육량, 육질을 개선을 함으로써 경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충사료 급여수준이 엘크 수사슴의 생산성 및 방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pplementary Feeding Levels on Productivity and Grazing Intensity in Grazing Elk stags(Cervus canadensis))

  • 이진욱;이상훈;이성수;전다연;김성우;윤영식;김상우;박형수;김관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61-67
    • /
    • 2019
  • 본 연구는 엘크 수사슴의 방목 시 보충사료 급여수준에 따른 생산성 변화와 적정 방목강도 구명을 통하여 초지활용성을 향상시키고 사슴 방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공시가축은 평균체중 195kg의 2년생 엘크(Cervus canadensis) 수사슴 15두를 공시하였으며, 보충사료 급여수준에 따라 3개의 처리구(체중의 1.0%(T1), 체중의 1.5%(T2), 체중의 2.0%(T3))에 완전임의배치를 하였다. 실험기간동안 건물섭취량과 일당증체량은 보충사료 급여수준이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월별 건물섭취량과 증체량은 봄부터 여름까지 증가하다 가을로 들어서면서 감소하는 일반적인 사슴의 섭식패턴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뿔 성장기 보충사료 급여수준이 낮을 경우 녹용성장기에 성장지연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용생산성의 경우 영양수준과의 연관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목초지의 사초생산성은 5월에 가장 높았고 8월 이후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야초를 활용한 산지방목에 비해서 조단백질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엘크 수사슴의 월별 적정 방목강도는 사초생산성이 높은 5~6월에 보충사료 급여수준에 따라 38~59 두/ha로 높게 나타났고, 7월 이후에는 13~32 두/ha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보충사료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사초섭취량이 감소하여 방목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엘크 수사슴의 방목 시 녹용성장기 성장지연을 예방하고 방목 시 안정적인 증체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보충사료를 체중의 1.5%이상 급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초지의 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사초 생산성을 고려하여 적정 방목강도의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청보리 사일리지 TMR 또는 청호밀 사일리지 TME 급여 및 급여기간이 거세 한우의 증체, 사료비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Feeding Whole Crop Barley Silage- or Whole Crop Rye Silage based-TMR and Duration of TMR Feeding on Growth, Feed Cost and Meat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 김광림;김종규;진위적;정준;장선식;손용석;최창원;송만강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2호
    • /
    • pp.111-124
    • /
    • 2012
  • 본 연구는 주요 동계사료작물인 청보리와 청호밀을 이용한 TMR 급여가 한우 거세우의 생산성과 사료비, 그리고 도체특성과 등급판정 및 배최장근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한우 거세우 송아지 80두를 대상으로 육성기에서 비육후기까지 총 680일에 걸쳐 실시되었다. 시험사료는 배합사료와 볏짚을 분리 급여하는 관행사양구(Control), 청보리 사일리지 TMR을 비육 중기까지 자유채식토록 하고 비육 후기에는 관행사양구와 동일한 사료를 급여하는 처리구(BS-TMR I), 청보리 사일리지 TMR을 비육 후기까지 자유채식토록 하는 처리구(BS-TMR II), 청호밀 사일리지 TMR을 비육 중기까지 자유채식토록 하고 비육 후기에는 관행 사양구와 동일한 사료를 급여하는 처리구(RS-TMR I), 청호밀 사일리지 TMR을 비육 후기까지 자유채식토록 하는 처리구(RS-TMR II)로 구성하였다. 각 처리 당 거세된 송아지 16두 씩을 배치하였고, 처리 당 거세한우 송아지를 4두씩 4개의 pen에 수용하였으며, 완전임의배치 방법으로 각 처리구의 pen을 배치하였다. 한우 거세우의 증체량은 관행사양구에 비해 육성기 및 비육전기에서 청보리 및 청호밀 사일리지 TMR을 섭취한 처리구에서 다소 높았고 비육 중기에서 현저히 높았으나(P<0.0001) 비육 후기에서는 RS-TMR II를 제외하고는 관행사양구의 한우에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우 두당 kg 증체 당 사료비는 관행사양구의 한우에 비해 청보리 및 청호밀 사일리지 TMR을 섭취한 한우에서 다소 낮았다. 또한 비육 후기까지 사일리지 TMR을 섭취한 처리구(BS-TMR II 및 RS-TMR II)에 비하여 비육 중기까지 사일리지TMR을 섭취하고 비육 후기에는 관행사료를 섭취한 처리구(BS-TMRI 및 RS-TMR I)에서 두당 kg 증체 당 사료비가 다소 감소 되었다. 사일리지 TMR이 관행사료 급여에 비해 한우 거세우의 도체중, 등지방 두께 및 배최장근 면적을 다소 증가시켰으나 육량지수를 낮추었다(P<0.047). 다른 시험사료에 비해 청보리 사일리지 TMR이 근내지방도를 다소 낮추었으나 육질 1등급 이상 출현두수에는 처리 간 차이가 없었다. 한우 거세우 내 배최장근의 화학적성분, 도체특성, 대부분의 육질 특성, 육색 및 지방산 조성은 시험사료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전단력은 사일리지 TMR을 섭취한 한우에 비해 관행사양 방법으로 비육된 한우에서 낮았으나(P<0.046) 사일리지 TMR을 섭취한 처리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본 시험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배합사료와 볏짚 중심의 관행사양방법에 비하여 BS 또는 RS를 이용한 TMR 급여가 거세한우의 육질에 크게 영향하지 않은 반면 증체를 개선하고 사료비를 절감할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또한 전체적으로는 청보리 및 청호밀 사일리지 TMR의 사료적 가치는 거의 비슷한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