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centra spectabilis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초

현탁배양을 통한 금낭화(Dicentra spectabilis L. Lemaire)의 대량증식 (Mass Propagation of Dicentra spectabilis L. Lemaire Through In vitro Suspension Culture)

  • 이강섭;심옥경;신정순;최용의;김이엽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121-126
    • /
    • 2004
  • 금낭화 (Dicentra spectabilis L.)는 개발가치가 있는 국내 자생화 중의 하나로서 우수한 품종의 대량생산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현탁배양을 통한 배발생세포의 대량증식과 체세포배 발생 및 식물체재생의 적정조건을 구명하여 효율적인 기내묘목의 대량생산 체계를 확립하고자 시도되었다. 1.0mg/L 2,4-D SH고체배지에서 유도된 배발생캘러스를 현탁배지에서 증식시킨 결과, 1.0mg/L 2,4-D를 포함한 SH배지에서 MS배지에 비해 증식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체세포배 발생율은 1/2배 SH기본배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50$m\ell$ 삼각플라스크에서 5,000개 이상의 고빈도로 체세포배가 생산되었다. 체세포배로부터 발아유도시에 GA$_3$는 정상적인 식물체로의 재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정상적인 식물체 재생은 1/2희석 SH배지에서 양호하였다, 신초와 뿌리를 갖는 유식물체를 모래와 원예용상토(5:1, vol)가 혼합된 토양이 함유된 포트에 이식하여 1개월 후 58%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활용하면 체세포배로부터 금낭화의 묘목을 대량생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북 완주군 대아리 금낭화 Dicentra spectabilis 군락지의 천연보호구역적 가치와 생육특성 (The Value and Growing Characteristics of the Dicentra Spectabilis Community in Daea-ri, Wanju-gun, Jeollabuk-do as a Nature Reserve)

  • 이석우;노재현;오현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1호
    • /
    • pp.72-105
    • /
    • 2011
  • 본 연구는 전북 완주군 동상면 대아리 산1-2번지의 도유림인 속칭 가막골 금낭화군락지의 천연보호구역적 가치를 검토하는 한편 금낭화군락지의 적정 생육환경을 구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금낭화군락지의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시도 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 및 인터넷조사를 통해 '금낭화의 형태적 생태적 특성'과 '국내 천연기념물 초본군락의 지정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는 한편 현지조사를 통해 금낭화군락의 광환경, 토양환경, 식생조건 등을 조사 분석하여 가막골 금낭화군락지의 천연보호구역적 가치를 파악하고자 한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국내 금낭화 자생군락지를 분석한 결과, 금낭화는 전국의 산지에 고루 분포되고 있으며 이 중 완주 가막골 금낭화군락지의 서식규모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낭화군락지 분포에 대한 문헌 및 현지조사 결과, 준고냉지에서 생육이 월등하며, 생육왕성기인 5월의 풍부한 강수량은 금낭화 생육에 매우 필수적인 것으로 보아 가막골 금낭화군락지는 매우 전형적 기상여건을 보이는 서식지라 판단된다. 한편 금낭화 고밀도분포 군락의 환경 분석 결과, 전석지(轉石地) 토양을 기반으로 고도 300~375m의 범위에 있었으며 평균고도는 344.5m이고 자생지의 좌향(坐向)은 북향 또는 북서향도 포함되나 북동향(NE)이 압도적이었으며 평균 경사는 $19.5^{\circ}$로 나타났다. 또한 광조건 분석 결과, 4월부터 8월까지 생육기간인 5개월간 군락 내 광도는 평균 30,810Lux 이었으며, 생육 초기에는 낮았고 후기로 갈수록 광도는 상승하는 경향이었다. 금낭화 자생조건은 4~5월 생육기에는 약 14,000~18,000Lux 정도의 광조건이었으며, 개화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광도 증가와는 관련 없이 결실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환경 분석 결과, 토양산도(pH)는 표토, 5.2~6.1, 심토, 5.2~6.2로 거의 유사한 범위를 보였으며 표토의 평균 토양pH는 5.54, 심토는 5.58로 이 조건은 비교대상 군락지와 거의 유사하고 전형성이 큰 것으로 추정됨에 따라 가막골의 토양 안정성은 매우 높다고 판단된다. 식생환경 분석 결과, 조사구별 금낭화의 개체수는 13~52개체까지 심한 편차를 보였으나 군락내 발견된 분류군(taxa)은 총 126종류로 순수군락을 유지하면서도 높은 종다양성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대아수목원 금낭화군락지는 금낭화, 미나리냉이, 거북꼬리, 이삭여귀, 물봉선 등이 우점하는 식물사회로 확인되었으며 군락내 식별종(Differential species)은 물봉선, 꼭두서니, 칡, 산딸기와 고추나무, 광대싸리, 개다래로 밝혀짐에 따라 지형 및 토양습도에 따라 전형적 하위군락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할 때, 완주군 동상면 대아리 가막골 금낭화군락지는 탁월한 관상성을 가진 자생식물의 서식처임을 확인할 수 있고, 본 군락은 전국분포상의 금낭화 자생군락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로 추정되며 기상 및 지형, 토양조건과 식생환경이 군락지의 지속적인 생육 환경을 보장할 수 있는 매우 탁월한 서식지로 판단된다. 따라서 전형적 서식조건과 지속가능성이 큰 가막골 금낭화군락은 당연히 천연보호구역적 가치가 매우 큰 것으로 사료된다.

The effect of plant extracts on the activity and the expression of MMPs (matrix metalloprotease) induced by UVA

  • Lee, Dong-hwan;Lee, Bum-chun;Yoon, Eun-jeong;Lee, Kyung-eun;Park, Sung-min;Pyo, Hyeong-bae;Choe, Tae-boo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I
    • /
    • pp.32-43
    • /
    • 2003
  • UV irradiation on a skin brings about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lterations of the extracellular matrix. Repeated-UV irradiation suppressed the synthesis of collagen and activated the expression of the matrix metalloprotease (MMP). In this paper, on the purpose of development of novel anti-aging agents from natural sources, effects of several natural products on in vitro MMP-1 activity and UVA induced MMP-1 synthesis in human dermal fibroblast (HDF) culture were studied. We measured MMP-1 activities by fluorescence assay using gelatin as substrates. As a result, the extract of Dicentra spectabilis, and flower buds of Tussilago farfara showed strong inhibitory effect. Among them, the extract of flower buds of Tussilago fartara and Dicentra spectabilis inhibited MMP-1 activity by 92% and 87% at 0.05% (w/v). And UVA induced MMP-1 expression were analyz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nd gelatin-based zymography in HDF culture. The extract of flower buds of Tussilago farfara and Dicentra spectabilis suppressed the UVA induced expression of MMP-1 by similar level of Vitamin C 200$\mu$M at 0.1% (w/v).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tract of Dicentra spectabilis, and flower buds of Tussilago farfara effectively prevent skin from the UV-induced photoaging. So the extracts are thought to have potential as effective raw materials for anti-aging cosmetics.

  • PDF

Chemical constituents of Dicentra spectabilis and their anti-inflammation effect

  • Kim, A Hyeon;Jang, Ji Hun;Woo, Kyeong Wan;Park, Jong Eel;Lee, Ki Ho;Jung, Ho Kyung;An, Byeongkwan;Jung, Won Seok;Ham, Seong Ho;Cho, Hyun Woo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1호
    • /
    • pp.39-46
    • /
    • 2018
  • Column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the MeOH extract from the roots of Dicentra spectabilis yielded fourteen compounds, menisdaurin (1), menisdaurilide (2), trans-N-p-coumaroyltyramine (3), trans-N-p-feruloyltyramine (4), 4-O-feruloylquinicacid (5), chlorogenic acid (6), 3-O-feruloylquinicacid (7), ferulic acid (8), protopine (9), Kaempferol 3,7-di-O-${\beta}-{\text\tiny{D}}$-glucopyranoside (10), kaempferol 3-O-${\beta}-{\text\tiny{D}}$-glucopyranosyl-7-O-${\alpha}-{\text\tiny{L}}$-rhamnopyranoside (11), ${\alpha}-rhamnoisorobin$ (12), astragalin (13), and nicotiflorin (14). Their structures were determined on the basis of NMR spectroscopic data. Among them, compound 1, 3-8, and 10-14 isolated from this plant we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The isolated compounds (1-14) were tested for nitric oxide (NO) inhibitory activity o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Compound 3, 4 and 12 significantly inhibited NO production. Moreover, Compound 3 suppressed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alpha}$, $IL-1{\beta}$ and IL-6)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se data suggest that compound 3 possess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might be useful natural materials for development of anti-inflammatory agent.

야생초류의 자원화를 위한 연구 -지베렐린($GA_3$) 처리가 몇 야생초류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for the Utilization of Wild Herbaceous Species -Effects of Gibberelic Acid Treatment on Seed Germination-)

  • 김갑태;엄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6-61
    • /
    • 1995
  • 강원지방에 자생하는 야생의 초본식물 6종에 대한 실생번식법을 밝히고자, 1954년 봄과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여 Gibberelin(GA$_3$) 25 및 50ppm 수용액에 24시간 침지하였으며, 대조구로는 지하수에 24시간 침지시켰다. 처리된 종자를 1995년 4월 23일에 혼합토양(모래:peat moss: perlite: vermiculite, 1:1:1:1, v/v)을 채운 플라스틱 화분(직경 12,높이 11cm)에 40립씩 3반복으로 파종하여 2일에 1회씩 관수하면서 발아된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1995년 5월 13일에 채취된 할미꽃 종자는 1995년 5월 31일에 처리하고 6월 1일에 묘포에 파종하였다. 향유, 금낭화 및 배초향의 종자발아는 처리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가는 쑥부쟁이, 거북꼬리 할미꽃 등의 종들에서는 처리간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금낭화와 배초향에서는 25ppm, 향유에서는 50ppm 처리구에서 발아촉진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야생초류의 자원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PDF

금낭화(Dicentra spectabilis)의 배우체 형성 및 접합자배의 발달 (Formation of Gametophytes and Development of Zygotic Embryo in Dicentra spectabilis)

  • 심옥경;이강섭;김이엽;은종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02-308
    • /
    • 2005
  • 본 연구는 금낭화 배우체의 형성과 배 발달특성에 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원세포로부터 발달된 소포자 모세포는 화뢰의 길이가 1 mm일 때 감수분열을 하여 4면체형(tetrahedral) 4분자가 형성되었다. 4개의 소포자는 분리되어 각각 웅성배우체로 발달하였다. 대포자 모세포는 화뢰의 길이 $4{\sim}5\;mm$에서 관찰되었다. 대포자의 발달유형은 정상형(polygonum)이었으며, 배낭의 형태는 굽어있는 곡생배주(amphitropous)였다. 3개의 뚜렷한 반족세포는 배낭이 성숙한 후에도 퇴화하지 않고 남아있었다. 개화 전 자웅배우체는 충분히 성숙하였다. 개화 시에 수술과 암술의 길이는 거의 비슷하거나 수술이 0.5 mm 짧아서 자화수정에 적당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냈다. 수정 후 배는 구형, 심장형을 거쳐 자엽배까지 발달하였으며, 종자 산포시 초기 자엽배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GA3와 냉습저장, 배병의 제거가 금낭화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3, Moist-Chilling Storage and Removal of Funiculus on the Germination of Dicentra spectabilis)

  • 김홍열;정재동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1호
    • /
    • pp.78-80
    • /
    • 2001
  • 금낭화의 실생번식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GA_3(100mg{\cdot}L^{-1})$와 냉습저장($3^{\circ}C$) 그리고 배병의 제거가 금낭화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GA_3$를 처리하지 않은 종자는 90일간의 냉습저장에도 발아를 하지 않았다. 그러나 $GA_3$처리는 냉습저장에 관계없이 금낭화의 발아를 촉진하였다. 배병을 제거한 경우 $GA_3$처리에 의한 발아촉진효과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GA_3$처리 후 냉습저장에 의해서 또한 냉습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발아일수는 단축되었으며 발아속도는 촉진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GA_3$처리는 금낭화의 발아촉진에 효과적이며 냉습저장처리는 $GA_3$의 효과에 상승적인 작용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