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schisi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8초

교차소뇌해리현상 : SPECT와 MRI 소견의 비교와 임상징후 (Crossed Cerebellar Diaschisis : Comparison of SPECT, MRI, and Clinical Sign)

  • 손형선;김의녕;신광현;나형균;최창락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6호
    • /
    • pp.794-799
    • /
    • 200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compare findings of brain SPECT representing crossed cerebellar diaschisis(CCD) with brain MRI, to evaluate relation between CCD and location of lesions on MRI and to elucidate clinically apparent cerebellar sign in patients with CCD. Methods : The study population was 20 patients representing CCD on SPECT. Percentage differences(${\triangle}%$) of activity on each cerebellar hemisphere were obtained from ipsilateral and contralateral cerebellum[${\triangle}%cbll=(IL-CL)/IL{\times}100$] and from cerebrum [${\triangle}%cbr=(CL-IL)/CL{\times}100$]. From MR studies, the percentage differences of signal intensity were also calculated as the same method. We compared the degree of percentage differences with location of cerebral lesions and with clinical cerebellar signs of the patients. Results : Among those representing CCD, the parietal lesions were the most common.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of the percentage differences in cerebellum between SPECT($18.8{\pm}7.22$) and MRI($4.4{\pm}3.38$) (p<0.05) and in cerebrum between SPECT($28.7{\pm}15.35$) and MRI($42.8{\pm}10.94$) (p<0.05). Cerebellar signs were observed in 3 of the 20 patient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between degree of percentage differences of each cerebellar hemisphere on SPECT and clinical cerebellar sign(p>0.05). Conclusion : Using the percentage differences in the cerebellum, the CCD evaluation can be easily done. On MRI, the signal changes of cerebellum were not as definite as SPECT. Despite of our assump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cerebellar signs and CCD on SPECT.

  • PDF

기저핵 출혈에 의한 교차 소뇌 해리 현상 (Crossed Cerebellar and Cerebral Cortical Diaschisis in Basal Ganglia Hemorrhage)

  • 임준석;유영훈;김희중;이병희;김병문;이종두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97-402
    • /
    • 1998
  • 목적: 대뇌피질의 구조적 병변이 없는 기저핵 혈종환자에 있어서, 대뇌와 소뇌의 해리 현상에 관해 알아보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CT와 MRI상 혈종이 기저핵에 국한되고, 대뇌 피질의 구조적 병변이 없는 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Tc-99m ECD PECT검사가 전 예에서 시행되었고, 대조군으로 MRI상 구조적 병변이 없고 SPECT 검사상 육안적으로 정상 소견을 보인 20명의 정신과 환자가 선택되었다. 해리 현상에 의한 rCBF의 변화를 육안적으로 확인하였고, 반정량적 분석을 위해 asymmetric index (AI)를 이용하였다. AI가 기저핵, 시상, 소뇌와 대뇌 피질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에서 측정되었고, 대조군 AI의 (평균+2X표준편차)보다 큰 AI를 가지는 경우를 저혈류로 정의하였다. 결과: 환자군에서 측정된 소뇌와 대뇌 피질의 평균 AI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큰 수치를 보였다 (p<0.05): 소뇌 ($18.68{\pm}8.94$ vs $4.35{\pm}0.94$, 평균 표준표차), 시상 ($31.91{\pm}10.61$ vs $2.51{\pm}1.45$), 기저핵 ($35.94{\pm}16.15$ vs $4.34{\pm}2.08$), 두정엽 ($18.94{\pm}10.69$ vs $3.24{\pm}0.87$), 전두엽 ($13.60{\pm}10.8$ vs $4.02{\pm}2.04$), 측두엽 ($18.92{\pm}11.95$ vs $5.13{\pm}1.69$). 12명의 환자 중 혈종의 반대측 소뇌(10명), 동측 시상 (12명) 동측 두정엽 (12명), 전두엽 (6명), 측두엽 (10명)에서 육안적으로 또한 AI를 이용한 반정량적 분석상 의미 있는 저혈류를 보였다. 결론: 교차소뇌해리 현상과 피질 해리 현상은 기저핵 혈종 환자에서 빈번하게 관찰되었다. 이는 교차 소뇌해리 현상이 기존에 알려진 피질 뇌교 소뇌로 (corticopontocerebellar tract)의 장애가 없이도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천막상부 뇌졸중에서 소뇌의 혈역학 변화 -Dynamic Susceptibility Contrast MR 영상을 이용한- (Effect of Supratentorial Stroke on Cerebellar Hemodynamic Parameters - Assessment by Dynamic Susceptibility Contrast MR Imaging)

  • 한시령;김범수;곽태호;최영빈;김영인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4권1호
    • /
    • pp.38-43
    • /
    • 2002
  • Background & Purpose : Dynamic susceptibility contrast MR imaging, one method of perfusion MRI, was developed to define cerebral hemodynamic status with good anatomical resolution. The authors investigated hemodynamic parameters using this imaging method, in an effort to identify hemodynamic changes on the remote crossed cerebellum of patients with a supratentorial infarct. Methods : Dynamic susceptibility contrast MR imaging was performed in 15 patients with only unilateral supratentorial infarcts. Imaging was obtained at the anatomic level of the cerebellum. rCBF, rCBV, MTT and TP were determined over both cerebellar hemispheres of interest. Results : The rCBF and rCBV values of the contralateral cerebellar hemisphere were significantly more decreased than those of the ipsilateral cerebellar hemisphere in 12 patients(p=0.028, 0.033). MTT and TP values of the contralateral and ipsilateral cerebellar hemispheres didn't reveal any differences(p=0.130, 0.121).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work suggest that the region which are remote from the ischemic brain lesion shows no changes of MTT or TP but show decrease of rCBF and rCBV, mean to diaschisis, it also demonstrates that perfusion MRI is an easily available method to evaluate the hemodynamic status of the brain.

  • PDF

$^{99m}Tc$-HMPAO를 이용한 발작시 뇌 SPECT상 반대편 소뇌의 섭취증가에 관한 연구 (Increased Contralateral Cerebellar Uptake of $^{99m}Tc$-HMPAO on Ictal Brain SPECT)

  • 원제환;이종두;정태섭;김희수;박창윤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14
    • /
    • 1995
  • 뇌졸증환자의 뇌 SPECT 소견상 나타나는 소뇌교차해리현상(crossed cerebellar diaschisis)은 잘 알려진 현상이다. 한편 간질 환자의 발작시 뇌 SPECT에서 반대편 소뇌에 혈류증가를 보이는 역교차해리현상(reverse type of crossed cerebellar diashisis)은 드물게 보고되었었다. 따라서 본 저자들은 발작시 뇌 SPECT에서 역교차해리현상의 빈도 및 간질병소를 찾는데 있어서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복합부분발작환자 중 임상적, 뇌파검사상 및 SPECT 소견등에서 간질병소가 일치하는 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 모두에서 시행한 발작시 스캔은 발작중 혹은 환자가 aura를 호소할때 $^{99m}Tc$-HMPAO 15-20mCi를 정맥주입 후 시행하였으며 발작간 스캔은 11명의 환자에서 발작시 스캔 후 적어도 3일 간격을 두고 시행하였다. 간질병소는 우측측두엽이 6예, 좌측측두엽이 4예, 우측후두엽이 1예, 좌측전두엽이 1예 등이었다. 발작시 스캔상 간질병소 및 반대편 소뇌에 혈류가 증가하는 역해리현상은 모두 8명(75%)의 환자에서 나타났으며 특히 2명의 환자에서는 간질병소보다 반대편 소뇌의 동위원소 섭취가 더욱 뚜렸했다. 역해리현상을 보였던 환자의 발작간 스캔소견에서는 발작시 증가되었었던 소뇌의 동위원소 섭취가 7예에서 정상화되었고 나머지 1예에서는 감소되었다. 따라서 소뇌의 역교차해리현상은 발작시 뇌 SPECT의 자주 볼 수 있는 현상으로 간질병소의 편측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측두엽 간질에서의 역행성 시상피질 해리현상 (Retrograde Thalamocortical Diaschisis in Temporal Lobe Epilepsy)

  • 윤미진;이종두;유영훈;김동익;이병일;김재근;이창훈;박수미;김동준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69-475
    • /
    • 1996
  • 목 적 : 측두엽 간질 환자의 발작간 뇌 스캔에서 관찰되는 측두엽 혈류 감소와 같은 쪽 시상 혈류 감소 소견의 빈도를 알아보고 이러한 소견이 간질 병소 국소화에 미치는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Tc-99m-ECD를 이용하여 발작간 뇌 스캔을 시행한 67명의 측두엽 간질 환자에서 편측 측두엽과 같은 쪽 시상에 혈류 감소를 보인 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간질 병소는 표면 뇌파 검사, 발작시 뇌파 검사, 심부 뇌파 검사, 자기 공명 영상 그리고 임상적 소견을 종합하여 국소화 하였다. 결 과 : 편측 측두엽과 같은 쪽 시상에 혈류 감소는 18%의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7명의 환자는 왼쪽 측두엽과 시상에 혈류 감소를 보였다. 이들 7명중 4명은 자기공명영상 소견상 왼쪽 내측 측두엽 경화 소견을 보였다. 5명의 환자는 오른쪽 측두엽과 시상에 혈류 감소를 보였다. 이들 5명중 4 명은 자기공명영상 소견상 오른쪽 내측 측두엽 경화 소견을 보였다. 결 론 : 발작간 뇌 스캔상 관찰되는 편측 측두엽과 같은 쪽 시상의 혈류 감소 소견은 측두엽과 시상사이의 상호 연결에 의한 해리 현상으로 부분 발작의 병태 생리와 밀접한 연관이 있으리라 생각한다. 또한 이러한 소견은 간질 병소 국소화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 PDF

뇌혈관질환에서 $^{99m}Tc-HMPAO$ SPECT를 이용한 국소뇌혈류의 정량적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Using $^{99m}Tc-HMPAO$ SPECT in Cerebrovascular Disease)

  • 이명철;이명혜;고창순;노재규;명호진;이선호;한대희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19
    • /
    • 1988
  • SPECT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was performed using $^{99m}Tc-HMPAO$ in 28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and quantitative analysis was done. Cerebral asymmetry index and percent index of asymmetry of cerebellar hemisphere of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or ischemia were $0.764{\pm}0.576$ and $-5.6{\pm}7.1%$ and those of intracranial hemorrhage was $0.416{\pm}0.251$ and $-2.5{\pm}4.1%$ respectively. According to PIA of cerebellar hemisphere, 12 patients showed crossed cerebellar diaschisis. $^{99m}Tc-HMPAO$ SPECT seemed to be a useful tool for the evaluation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 PDF

두부외상 환자에서 HMPAO-SPECT를 이용한 국소 뇌혈류 변화의 평가 (Spect Assessment of Regional Cerebral Perfusion Abnormality in Head Injury)

  • 이경한;김철희;장하성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35-243
    • /
    • 1992
  • Patterns of abnormality in regional cerebral perfusion and its relation to clinical severity was evaluated with 32 head injury patients using $^{99m}Tc-HMPAO$ single photon emission tomography (SPECT). The findings were compared with computed tomography (CT) done within 48 hours of each SPECT study. The initial SPECT study was done within 7 days of injury in 16 cases, between 1 week and 2 months in 12, and after over 2 months in 4. Nineteen of the patients underwent followup SPECT and CT after a mean interval of 1 to 2 months. The initial SPECT showed abnormalities in 96% (31/32) of the patients while CT showed abnormal findings in only 81% (26/32). There were a total of 54 supratentorial SPECT lesions in all. Ninity percent (49/54) of these were of regional hypoperfusion, while 5 lesions showed focal hyperperfusion. The lesions were most often localized in the frontal and temporal lobes. Fifty five percent (30/54) were areas not detected as a lesion on CT. Cerebellar diaschisis was observed in 50% (16/32) of the patients. The degree of perfusion abnormality was quantified by the product of differential activity and a size factor.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perfusion abnormality and the clinical severity (Glasgow coma scale) failed to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3). The amount of change in the degree of perfusion abnormality on follow up SPECT was compared to the amount of change in clinical severity. Perfusion abnormality showed a tendancy to improve in most patients, and the degree of improvemen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mount of clinical improvement (p < 0.01).

  • PDF

아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99m}Tc$-HMPAO 및 $^{99m}Tc$-ECD 뇌 SPECT: 증례보고 (Brain SPECT Using $^{99m}Tc$-HMPAO and $^{99m}Tc$-ECD in Subacute Cerebral Infarction: Case Report)

  • 안병철;이동수;윤병우;소영;정준기;이명철;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70-575
    • /
    • 1996
  • 우리는 혈전 용해요법을 시행한 뇌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과잉관류가 발생한 아급성기에 $^{99m}Tc$-HMPAO SPECT와 $^{99m}Tc$-ECD SPECT를 같은 날 실시하여 $^{99m}Tc$-HMPAO SPECT에서는 과잉관류 소견이 보이나, $^{99m}Tc$-ECD SPECT 에서는 결손으로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이 환자는 임상적으로 신경학적 이상에 호전이 없이 증상 발생 42일째 사망하였다. 문헌을 검토하여 종합하고 우리 환자예를 분석한 결과 $^{99m}Tc$-HMPAO SPECT가 뇌혈류를 반영하여 관류회복과 과잉관류상태를 나타내었고, $^{99m}Tc$-ECD SPECT는 뇌세포의 대사 및 생존여부를 반영하여 뇌세포 손상이 넓고 심각함을 나타내었다고 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