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gram of whole body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북송 이전과 이후 장부도(臟腑圖)의 심장 형태요소의 비교 (Comparison of Form Factors of Heart in ZangFu Diagrams before and after Northern Song Dynasty)

  • 조학준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1-118
    • /
    • 2017
  • Purpose : This paper explores the extent to which ZangFu diagrams made after Northern Song Dynasty were influenced by ZangFu diagrams made before Northern Song Dynasty, and how diagrams of the whole body and heart originated from MingTangZangFuTu and affected each other when quoted in books published after Northern Song Dynasty. Method : The author used four form factors including heart shape, internal curved lines, cylinder-like structures above heart, and wuzangxi (五臟系) which resembles a lotus flower which has not yet bloomed, to analyze and compare different ZangFu diagrams before and after the Northern Song Dynasty. Results : Two form factors, the shape of heart and wuzangxi, are described in ZangFu diagrams before Northern Song, and may have influenced ZangFu diagrams after Northern Song. However, the other two form factors (internal curved lines and cylinder-like structures above the heart) did not influence ZangFu diagrams after Northern Song. All form factors of heart found in WuCangLiuFuZhiTu (within the whole body) and diagram of heart in ZhenJiuJuYing (鍼灸聚英) were most similar, but the two paintings became less similar as they were cited in several books. With the exception of the form factor with structures above heart, the three other form factors are almost identical between two paintings produced after Northern Song dynasty, as displayed in the same book. Conclusion : ZangFu diagrams of the heart produced after Northern Song Dynasty, were not completely based on ZangFu diagrams made before Northern Song Dynasty. Diagrams of whole body and those of the heart were changed, while influencing each other after Northern Song.

패션디자인 작품에 나타난 형태미 분석 -비요네와 디올의 작품을 중심으로- (Analysis of Formal Aesthetics of Fashion Designer's Works -Focused on Madeleine Vionnet & Christian Dior-)

  • 윤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582-1594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패션디자인에서의 형태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데 있다. 뵐플린과 드롱의 이론을 바탕으로 Flat St Rounded, Closed & Opened 과 Part & Whole의 세 가지 형태를 보는 시각을 가지고 Vionnet와 Dior 작품에서의 형태미를 분석하는데 적용시켜 고찰해 보았다. Vonnet와 Dior은 그들의 디자인에서 형태와 구조를 디자인의 기본원리로 하여 기하학적인 형태를 그들의 디자인에 적용시킨 디자이너들이다. Vionnet의 10작품과 Dior의 11작품을 선정해 Belong의 visual priorities diagram을 적용시켜 각 디자이너 작품의 형태미를 고찰하고 비교해 보았다. Vionnet는 의복과 인간의 신체 사이의 관계를 통해 새로운 형태미학을 창조해 냈으며 그녀의 작품은 2차원 또는 3차원이라는 공간의 차이에 따라 형태의 전위를 보여주는 독특한 형태학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녀의 작품은 2차원의 공간에서는 평면적이고 닫힌 형태인 삼각형, 사각형, 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바이어스 재단에 의한 입체재단 방법을 통해 3차원의 공간에서는 입체적이고 열린 형태로의 형태변형을 한다는 특징을 나타낸다. Dior의 작품은 인체의 자연스러운 형태보다는 인위적인 형태미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Vionnet작품과의 커다란 차이점이다. Dior은 3차원의 공간에서 구, 각기둥, 원기둥, 각뿔, 입방체와 같은 입체 기하학의 형태를 사용하여 의복의 형태를 만들어 냈고 이는 다아트 변형, 보닝, 개더, 턱, 플리츠, 셔링과 같은 구조주의적인 기술을 통해 실현되고 있다. Dior의 작품은 3차원의 공간에서 인체의 형태와는 무관한 의복 자체만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입체적이고 닫힌 형태적 특성을 가진다.

북송(北宋) 이전 장부도(臟腑圖)와 명당장부도(明堂臟腑圖)에서 기원한 장부도(臟腑圖)에 나타난 간장(肝臟)의 형태요소의 비교 (Comparison of Form Factors of Liver in ZangFu Diagrams (臟腑圖) before Northern Song Ages and Ones Originated from MingTangZangFuTu (明堂臟腑圖))

  • 조학준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33
    • /
    • 2016
  • Objectives :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the diagrams of liver from MingTangZangFuTu (明堂臟腑圖) were derived from ZangFu diagrams (臟腑圖) before northern Song Ages. Methods : The difference of form of liver was analyzed by means of 4 factors, e.g. shape, number, veins and a petiole of leafs, in diagrams from YanLuoZiNeiJingTu [煙蘿子內境圖], OuXiFanWuZangTu [歐希範五臟圖], CunZhenTu [存眞圖], MingTangZangFuTu and ones of liver from Taoism and MingTangZangFuTu. Results : Diagrams of whole body and liver from MingTangZangFuTu were first found in ZhenJiuJuYing (鍼灸聚英). Among them, lobed shape was first found in YanLuoZiNeiJingTu (in Wudai [五代]), a petiole in OuXiFanWuZangTu (northern Song Ages) and 7 leafs in WuZangLiuFuTu (五臟六腑圖. from Tang (唐) Ages to early northern Song Ages. unknown author.), one of references of UiBangNyuChwi (醫方類聚) (1455). However, veins of leafs were drawn in no diagrams. Conclusions : In diagrams of liver from MingTangZangFuTu, shape and a petiole of leafs were based on diagrams of ZangFu before northern Song Ages, but 7 leafs came from WuZangLiuFuTu. However, veins of leafs were not derived from any diagrams in same period.

Comparing the Whole Body Impedance of the Young and the Elderly using BIMS

  • Kim, J.H.;Kim, S.S.;Kim, S.H.;Baik, S.W.;Jeon, G.R.
    • 센서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0-26
    • /
    • 2016
  • The bioelectrical impedance (BI) for the young and the elderly was measured using bioelectrical impedance spectroscopy (BIS). First, while applying a current of $600{\mu}A$ to the foot and hand, BI was measured at 50 frequencies ranging from 5 to 1000 kHz. The BI for young subjects was considerably lower than that for old subjects since young subjects have more lean mass (hydration). The prediction marker was 0.74 for young subjects and 0.78 for old subjects. Second, a Cole-Cole diagram was obtained for young subjects and old subjects, indicating the different characteristic frequencies. At 50 kHz, the average phase angle was $7.8^{\circ}$ for young subjects whereas that was $6.1^{\circ}$ for old subjects. Third, BIVA was analyzed for young subjects and old subjects. The vector length was 210.89 [${\Omega}/m$] for young subjects and 326.12 [${\Omega}/m$] for old subjects. At 50 kHz, the resistance (R/H) and the reactance ($X_C/H$) divided by height were 208.94 [${\Omega}/m$] and 28.68 [${\Omega}/m$] for young subject, and 324.33 [${\Omega}/m$] and 34.09 [${\Omega}/m$] for old subjects.

경상분지 북동부의 제3기 결정질 응회암에서 발달하는 미세균열의 방향성 (Microcrack Orientations in Tertiary Crystalline Tuff from Northeastern Gyeongsang Basin)

  • 박덕원
    • 암석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5-135
    • /
    • 2009
  • 경상분지 북동부 일대의 제3기 결정질 응회암에서 분포하는 미세균열의 전반적인 분포특성을 규명하였다. 포항시 흥해읍 및 청하면 지역에서 채취한 6개 암석시료의 수평면 상에서 발달하는 108조의 미세균열은 영상처리를 통하여 구별하였다. 이들 108조의 미세균열은 38장의 영상에서 뚜렷한 선상배열을 보여 주었다. 결정질 응회암에 대한 방향각(${\theta}$)-빈도수(N) 관계도의 전 영역은 미세균열의 분포상에 의하여 20개의 영역으로 분류할 수가 있다. 관계도에서 미세균열의 여러 조는 수직상의 일반적인 절리의 방향과 일치하는 강한 배향성을 보여 준다. 따라서 관계도의 각 영역내에서 빈도가 높은 방향각으로부터 거시적인 수직상 절리의 잠재성을 추측할 수가 있다. 관계도에서 나타난 이러한 절리의 형태는 강화군 석모도의 중생대 화강암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다. 결정질 응회암에서 도출한 미세균열의 방향을 종합한 장미도에서, 빈도등급에 따른 미세균열의 우세한 조들의 방향성은 암체에 작용한 최대 압축 주응력의 대표적인 방향성을 시사한다. 한편 결정질 응회암의 미세균열의 방향성에 대하여 경상분지 남서부의 불국사 화강암류에서 분포하는 열린 미세균열 그리고 국내 중생대 화강암류의 석산에서 발달하는 수직 결의 방향성과 비교하였다. 광역 분포도에서 상기한 결정질 응회암 및 불국사 화강암류의 미세균열 조 그리고 수직 결 사이의 분포형이 일치한다는 사실은 결정질 응회암에서 내재하는 미세균열의 계는 국내 중생대 화강암류에서도 광역적으로 발달함을 시사한다.

슬대퇴관절의 Merchant View에서 중심 X선 위치에 따른 일치각 평가 (Assessment of Congruence Angle according to the Central X-ray in the Merchant View of Patellofemoral Joint)

  • 김현진;주영철;최재호;임우택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2권6호
    • /
    • pp.423-428
    • /
    • 2019
  • The Precise measurement of the knee's Congruence angle is required for diagnosis of patella dislo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distortion diagram and usefulness about the test of the bilateral side and one side through the evaluating congruence angle from Merchant view of patellofemoral joint to central X-ray. We've evaluated the sulcus angle and Congruence angle following central X-ray's changes when we took Merchant view of patellofemoral joint aimed to right lower limb from human whole body phantom. The subject of the evaluation was classified as normal group and varus group, and the varus group has experimented with External rotation of legs as 15° and 30°. When normal groups result as 0, 7.5, 15 cm, it was measured as 17.25 ± 1.34°, 19.60 ± 1.41°, 20.55 ± 1.77° each. The gap between minimal and maximum angle was 3.3°, and the value was shown as getting bigger when it further away from the centeral X-ray. When Congruence angle in 15° varus group was 0, 7.5, 15 cm, it was each 16.45 ± 1.34°, 17.10 ± 0.99°, 17.80 ± 1.13°. And when Congruence angle in 30° varus group was 0, 7.5, 15 cm, it was measured each 18.35 ± 1.63°, 18.95 ± 1.06°, 19.60 ± 1.41°. The difference between minimum and maximum of angle in 15° varus group and 30° varus group was each 1.35° and 1.25°, the angles have shown as increasing the further away from the center. The patellofemoral joint showed that the congruence angle increases as the further away from Central X-ray, and also it is judged that is possible to change the congruence angle by a degree of varus knee. Thus, accurate measurement of the congruence angle is shown to advantage that methods for examining by split each side at two times than methods for examining both sides at a time. Therefore, it is expected to helpful on the diagnostic side of patella dislocation and subluxation.

영남육괴 남서부 복내지역에 분포하는 아다카이트질 화강암체의 성인 및 지화학적 특성 (Geochemistry and Petrogenesis of Adakitic Granitoids from Bognae Area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Yeongnam Massif, Korea)

  • 위수민;박재용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27-443
    • /
    • 2009
  • 영남육괴 남서부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성암들은 태평양(Pacific)판의 섭입에 의해서 야기된 활발했던 백악기 화성활동의 산물이다. 암석학적 및 지화학적 접근을 통하여 이 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의 성인과 지구조환경을 유추하여 보았다. 연구지역의 화강암류는 칼크-알칼리(calc-alkaline)계열로, 분화에 따른 주성분원소와 미량원소의 변화 경향은 전반적으로 다른 지역의 백악기 화강암류의 분화 경향과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각 암체의 분화경향이나 화학조성을 살펴볼 때 각 암체의 마그마 근원물질은 서로 다른 것으로 사료된다. 복내지역 동교리 부근에 분포하는 화강섬록암(DGd)은 연구지역 내에 분포하는 다른 화강암류와 비교하여 $Al_2O_3$, MgO의 함량 및 분화에 따른 변화 경향이 다르게 나타나며, Ba, Sr, Pb, Ni, Cr, Y등 미량원소의 함량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동교리 화강섬록암(DGd)의 지화학적 특징은 높은 $Al_2O_3$, Sr 함량과 높은 Sr/Y La/Yb 비를 가지며, 낮은 Y과 Yb함량과 같은 슬랩용융(slab-melting)으로 생성된 아다카이트에서 흔히 관찰되는 지화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주성분 및 미량원소의 함량을 살펴보면 동교리화강섬록암은 아다카이트의 판별도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Sr/Y vs. Y 관계도에서 호상열도형ADR(Island Arc Andesite, Dacite, Rhyolite)영역에 도시되는 다른 백악기 화강암류들과 명확히 구분되어 아다카이트 영역에 잘 도시된다. ANK vs. A/CNK과 지구조판별도에서 화강암류의 모마그마는 I-type의 화산호화강암의 특성을 나타내며, 태평양판의 섭입에 의한 압축장응력이 작용하는 대륙연변부에서 생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지화학적특성 및 지구조적 환경을 종합하면 동교리화강섬록암의 아다카이틱한 특성은 섭입슬랩의 용융(해령 섭입에 의한 열로 생성)에 의하여 생성된 마그마와 맨틀 페리도 타이트와의 상호작용 그리고 상승하는 동안 지각물질과의 동화작용 등 복합적인 과정을 겪었을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