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gnostic X-ray

검색결과 600건 처리시간 0.03초

조기 유방암에서 보존적 수술후 방사선치료: 연세암센터 경험 (Conservative Surgery and Primary Radiotherapy for Early Bresst Cancer: Yonsei Cancer Center Experience)

  • 서창옥;이희대;이경식;정우희;오기근;김귀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2권3호
    • /
    • pp.337-347
    • /
    • 1994
  • 병기 1기, 2기 유방암에서 유방보존적 수술 후 방사선치료는 기존의 유방전적출술을 대치할 수 있는 치료법으로 정립되었다. 연세암센터에서는 1991년 부터 유방보존술을 적극적으로 시행하였고 첫 3년동안 140예를 치료하였다. 목적 : 연세암센터에서 시행하고 있는 유방보존술의 적응증, 치료방침과 방사선치료 방법을 소개하고 결과 및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을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 1991년 1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연세암센터 치료방사선과에서 유방보존적수술 후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64명의 조기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종괴 또는 병변을 포함한 부분유방절제술과 액와임파절 곽청술을 시행받은 후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방사선치료는 수술후 3-18주에 시행되었는데 선형가속기 4MV X-ray를 사용하여서 침범된 유방 전체에 4500-5040 cGy를 5-6주에 걸쳐서 조사하였고 원발 병소 주변에 전자선을 사용하여서 1-2주에 걸쳐서 1000-2000 cGy를 추가 조사하였다. 치료를 받았던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과 치료방법, 방사선치료에 따르는 부작용, 재발 여부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환자들의 연령은 23세에서 59세로 중앙값이 40세 였다. 총 64명중 T1은 27명, T2는34명 이었으며 3명은 비침윤성 암이었다. 또한 전체의 $42.2\%$인 27명은 액와임파절 침윤이 있었다. 추적 기간(6-30개월, 중앙값 14개월) 동안 1예의 유방내 재발과 2예의 원격 전이가 관찰되었는데 유방내 재발은 원발병소와 다른 사분원에 위치하여서 처음 진단에서 발견하지 못했던 유방조영술상의 미세석회화음영에서 종괴가 자랐던 예로 다시 유방전적출술을 받은 후 무병생존 중이다. 방사선치료 중 또는 추적 기간 동안 치료를 요하는 부작용으로는 1예에서만 방사선 폐렴이 있었으나 대증요법 으로 완쾌되었다. 결론 : 추적 기간이 짧기 때문에 국소재발율, 생존율, 미용효과 등의 치료 결과를 평가하기는 이르지만 조기 유방암에서 유방보존적 수술과 근치적 방사선치료는 심한 급성 또는 아급성 부작용이 없는 안전하고 편안한 치료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국소재발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유방보존술에 적합한 환자들을 선택하기 위한 철저한 평가가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골반강 내 방사선 치료 환자에서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EPID)를 이용한 Portal Image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Usefulness of Portal Image Using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 (EPID) in the Patients Who Received Pelvic Radiation Therapy)

  • 김우철;박원;김현정;박성용;조영갑;노준규;서창옥;김귀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497-504
    • /
    • 1998
  • 목적 : matrix ion chamber type의 EPID와 video camera based EPID를 이용한 portal image와 기존의 film을 이용한 port film의 영상의 질을 객관적으로 비교 평가하여 EPID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4월부터 10월까지의 인하대 병원과 세브란스 병원에서 방사선 치료를 받은 골반강내 치료 환자 각 10명씩을 대상으로 환자 1명 당 5-10회의 port film과 EPID를 이용한 portal image를 동시에 얻어 비교하였다. 환자의 나이는 32세에서 79세이었고 2명의 AP영상을 제외하고는 모두 PA영상을 얻었다. 환자의 두께는 17cm에서 20cm으로 비교적 균일하였다. beam energy는 10MV X-ray를 사용하였고 dose rate은 100-300MU/min으로 2-10MU을 주어 영상을 얻었다. port film은 Kodak diagnostic film을 사용하였고 film을 넣는 cassette는 납을 전후에 부착한 것을 이용하였다. source to detector(film) distance는 140cm으로 하였다. 영상의 판독은 4명의 치료방사선과 의사에 의해서 시행되었으며 pelvic brim, sacrum, acetabulum, iliopectineal line, symphysis, ischium, obturator foramen, sacroiliac joint를 각각 very clear(1), clear(2), visible(3), not clear(4), not visible(5) 다섯 단계로 나누어 점수를 주었다. 결과 : video camera based EPID를 이용하여 얻은 영상을 비교하여 보았을 때 film을 이용한 port film과 enhancement를 시행하지 않은 portal image는 각 해부학적 구조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portal image를 window level로 영상의 변화를 주었을 때는 sacrum과 obturator는 영상의 판독에 도움이 되었다. 또한 portal image를 CLAHE로 enhance를 하였을 때는 모든 해부학적 구조물의 판독이 film보다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matrix ion chamber type의 EPID를 이용하여 얻은 영상에서도 역시 port film과 영상의 변화를 주지 않은 portal image간에는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ortal image를 window level로 변화를 주었을 경우는 portal film에 비하여 영상의 질이 더욱 좋아지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방사선 치료를 받는 환자 중에서 골반강의 영상에서는 EPID의 영상의 질은 기존의 port film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으며, window level로 영상에 변화를 주거나 enhance를 하였을 경우는 port film보다 더 나은 영상을 얻을 수 있어 기존의 port film을 대체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Portable X-ray 검사 시 주변 환자 피폭선량 감소 방안 연구 (Analysis of dose reduction of surrounding patients in Portable X-ray)

  • 최대연;고성진;강세식;김창수;김정훈;김동현;최석윤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13-120
    • /
    • 2013
  • 현대시대는 환자에 대한 의료제도가 의료서비스 개념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렇게 인간의 권리가 높아지고 환자가 고객이 되는 시대로 변화됨으로써 환자의 권리나 요구도 날로 증가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병원 시스템도 환자의 편의나 요구에 맞춰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로 인해 일반촬영 검사 중 Portable 검사의 Case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Portable 검사의 Case가 증가하면서 병실, 중환자실, 수술실, 회복실에서 Portable검사로 인하여 주변 환자들의 원하지 않는 의료 피폭이 발생하기 때문에 법적으로도 이를 규제하고 있다. 실제로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안전관리에 관한 규칙 중 방사선 방어시설의 검사기준에서 "수술실, 응급실 또는 중환자실 외의 장소에서 촬영할 경우 반드시 이동형 진료용엑스선 방어칸막이를 갖추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지만 이는 거의 시행되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X-ray Potable 검사를 통해 주변 환자가 받는 피폭선량을 알아보고 피폭선량 감소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Mobile Portable 장비에서 Collimator 주변을 차폐하여 차폐 전과 후의 선량 변화, Portable tube와 Collimator의 각도 변화에 따른 차폐 전과 후의 선량 변화, 환자 침대의 거리변화에 따른 차폐 전과 후의 선량 변화를 각각 측정한 뒤 차폐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Collimator 주변을 차폐한 후 선량 변화는 차폐하지 않았을 때보다 약 20%의 차폐효과를 보였다. Portable 검사 중 비 차폐 시 각도가 $0^{\circ}C$, $90^{\circ}C$, $45^{\circ}C$ 순서로 피폭선량이 증가하였으며, 각도를 주었을 때 Collimator 주변을 차폐하면 피폭 선량은 감소하였다. 또한 환자 침대 거리는 비 차폐 시 0.5m보다 1m에서 피폭선량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침대 간 거리 변화 시 Collimator 주변 차폐 후 선량 변화는 감소하였다. 주변 환자 피폭선량 감소 측면에서 볼 때 침대거리를 가능한 멀리 떨어뜨리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며 차폐효과가 약 100% 내외로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다. 그 다음은 Collimator를 차폐하는 방법으로 차폐효과가 약 20% 정도를 나타내며, 각도를 제한하는 방법으로 약 10% 내외의 효과를 나타낸다. Portable 검사 시 환자 피폭선량을 감소하기 위해 가능한 환자 및 보호자를 적정거리 이상으로 이동시킨 후에 실시하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환자가 움직일 수 없고 침대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Collimator 주변을 차폐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검사를 시행할 때 tube와 Collimator의 각도를 가능한 90도로 시행하도록 하고 90도가 안될 경우는 0도로 시행하되 45도는 가능한 지양하도록 한다. 방사선관계종사자들은 Portable 검사에서 위와 같은 결과들을 인식하고 실제 본인에게 적용시켜야 하며 효율적인 방사선 방어와 피폭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노력과 연구에 힘써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sler-Rendu-Weber 증후군 환자에서 색전요법을 이용한 다발성 폐동정맥루 치험 1예 (Treatment of Multiple Pulmonary Arteriovenous Fistulas with Therapeutic Embolization in Osler-Rendu-Weber Syndrome)

  • 김재학;최택희;남승모;장재진;박연희;허남현;최두환;이병희;김유철;이춘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4호
    • /
    • pp.914-921
    • /
    • 1997
  • 저자들은 최근 가족력은 없지만 폐동정맥루와 간동맥혈관 조영술 및 위점막에서 관찰된 혈관기형을 동반한 Osler-Rendu-Weber 증후군 1예에서 폐동정맥루에 대해 금속코일을 이용한 색전요법을 시행하여 특별한 합병증 없이 증상의 개선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기관 및 기관지 결핵 61예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61 Cases of Tuberculous Tracheobronchitis)

  • 안철민;김형중;황의석;김성규;이원영;김상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8권4호
    • /
    • pp.340-346
    • /
    • 1991
  • Tuberculous tracheobronchitis is defined as a specific inflammation of the trachea or major bronchi caused by the tubercle bacillus and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common and serious complication of pulmonary tuberculosis. It had been a diagnostic challenge in prebronchoscopic era and since 1968, fiberoptic bronchoscopy has been accepted as a safe and valuable diagnostic procedure of tuberculous tracheobronchitis. Now, it remains a troublesome therapeutic problem due to its sequelae such as bronchostenosis, bronchiectasis and bronchial deformity. The authors analyzed the clinical features, radiological findings and bronchoscopic findings with pathologic and bacteriologic study on 61 cases of tuberculous tracheobronchitis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peak incidence was in the fourth decade and male to female ratio was 1:3.4. 2) The most common symptom was cough (86.9%) and followed by sputum (49.2%), dyspnea (27.9%), fever (19.8%), weight loss (11.5%), hemoptysis (6.6%), hoarseness (6.6%) and chest discomfort (3.3%) and localized wheezing was heard in 18%. 3) In chest X-ray, consolidation with collapse was observed in 70.5%, and followed by consolidation only (18.0%), mediastinal node enlargement (8.2%), cavitary lesion (6.6%), suspicious hilar mass (3.3%) and miliary lesion (1.6%) and there was no abnormal findings in 4.9%. 4) Bronchoscopy showed hyperplastic lesion in 67.2%, mucosal lesion (18.0%), ulcerative lesion (9.8%) and stenotic lesion (4.9%). The most common site of bronchial lesion was right upper bronchus (36.1%) and followed by right main bronchus (34.4%), left main bronchus (29.5%), left upper bronchus (16.4%), right middle bronchus (8.2%), right lower bronchus (6.6%) and left lower bronchus (3.3%). 5) Chronic granulomatous inflammation with or without caseation necrosis on microscopic examination was confirmed in 69.7%, bronchial washing AFB stain was positive in 34.1%, prebronchoscopic sputum AFB stain was positive in 88.1% and postbronchoscopic sputum AFB stain was positive in 30.1%.

  • PDF

전자선 단층 촬영을 이용한 관상동맥 우회로 개존의 비침습적 평가 (Noninvasive Evaluation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Patency by Electron Beam Tomography)

  • 최규옥;김호석;조범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8호
    • /
    • pp.693-701
    • /
    • 1999
  • 최근 혈관 질환의 진단을 위한 비침습적 영상이 발달하면서, 기존의 도자술은 중재적 치료에 국한되는 실 정이다. 그러나 관상동맥이나 우회로는 작은 직경, 심박동 움직임 등으로 도자술이 아직도 진단에 필수적이 며, 비침 응\ulcorner영상 진단의 마지막 도전 영역이다. 전자선 단층 촬영기는 높은 시간 해상능으로 심장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전자선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모관상 동맥 협착이나 관상동맥 우회로 이식술 후 개존성의 평 가가 시도되고 있으며, 이중 관상동맥 우회로술 평가의 정확도는 매우 높아서 임상 적용이 가능하다. 저자와 다른 연구자의 경험에 의하면 복재 정맥은 넓은 직경, 비교적 짧고 직선적인 경로, 심박동에 덜 영 향 받음으로써 EBT조영술의 정확도가 높았다. 전향적 민감도와 특이도가 각각 92%, 97%를 보였다. 그러나 위양성과 위음성을 보인 두 예는 후향적으로 분석 할 때 경험 부족에 의한 초기의 판독 오류로 사료되어 복 재 정맥의 경우 후향적으로는 100%의 정확도를 보였다. 반면 내유동맥 이식혈관은 작은 내경과 주변의 수술 클립에 의한 인공산물로 개존성을 확인하기가 대체로 어려웠고, 역동적 검사를 병행하여 우회로내 혈류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내유동맥의 경우 상대적으로 정확도가 낮아 민감도, 특이도가 각각 100%, 80%를 보였으며, 위양성을 보인 2예는 후향적으로도 개존을 확인할 수 없었다. 전자선 단층 촬영 혈관 조영술은 관상 동맥 우 막\ulcorner이식술 후의 우회 혈관 개존성의 평가, 특히 복재 정맥 우회로의 경우 매우 정확도가 높은 비침습적 검사로써, 임상 적용이 기대된다. 앞으로 촬영 기기와 영상 재구성 software의 발달로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잠재성이 있다.

  • PDF

A Systematic Review of MRI, Scintigraphy, FDG-PET and PET/CT for Diagnosis of Multiple Myeloma Related Bone Disease - Which is Best?

  • Weng, Wan-Wen;Dong, Meng-Jie;Zhang, Jun;Yang, Jun;Xu, Qin;Zhu, Yang-Jun;Liu, Ning-H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2호
    • /
    • pp.9879-9884
    • /
    • 2014
  • Aim: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of the published literature to evaluate the diagnostic accuracy of FDG-PET, PTE/CT, MRI and scintigraphy for multiple myeloma related bone disease. Methods: Through a search of PubMed, EMBASE, and the Cochrane Library, two reviewers independently assessed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each study. We estimated pooled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and negative likelihood ratios (PLR and NLR), and two sample Z-tes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for differences in sensitivity, specificity, area under the curve (AUC), and the $Q^*$ index between any two diagnostic modalities. Results: A total of 17 studies were reviewed. The MRI had a pooled sensitivity of 0.88, specificity of 0.68, AUC of 0.897, and $Q^*$ index of 0.828, whereas for MIBI, the corresponding values were 0.98, 0.90, 0.991, and 0.962, respectively, and for bone scan, they were 066, 0.83, 0.805, and 0.740, respectively. The corresponding values of MIBI were 0.98, 0.90, 0.991, and 0.962, respectively. For PET and PET/CT, the values were 0.91, 0.69, 0.927 and 0.861, respective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UC, and $Q^*$ index between MRI, scintigraphy, FDG-PET and PET/CT. Conclusions: On the condition that X ray is taken as a reference in our study, we suggested that FDG-PET, PTE/CT, MRI and scintigraphy are all associated with high detection rate of bone disease in patients with MM. Thus, in clinical practice, it is recommended that we could choose these test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Missed Skeletal Trauma Detected by Whole Body Bone Scan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 Seo, Yongsik;Whang, Kum;Pyen, Jinsu;Choi, Jongwook;Kim, Joneyeon;Oh, Jiwoo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3권5호
    • /
    • pp.649-656
    • /
    • 2020
  • Objective : Unclear mental state is one of the major factors contributing to diagnostic failure of occult skeletal trauma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TBI).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verlooked co-occurring skeletal trauma through whole body bone scan (WBBS) in TBI. Methods : A retrospective study of 547 TBI patients admitted between 2015 and 2017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ir cooccurring skeletal injuries detected by WBB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timing of suspecting skeletal trauma confirmed : 1) before WBBS (pre-WBBS); 2) after the routine WBBS (post-WBBS) with good mental state and no initial musculoskeletal complaints; and 3) after the routine WBBS with poor mental state (poor MS). The skeletal trauma detected by WBBS was classified into six skeletal categories : spine, upper and lower extremities, pelvis, chest wall, and clavicles. The skeletal injuries identified by WBBS were confirmed to be simple contusion or fractures by other imaging modalities such as X-ray or computed tomography (CT) scans. Of the six categorizations of skeletal trauma detected as hot uptake lesions in WBBS, the lesions of spine, upper and lower extremities were further statistically analyzed to calculate the incidence rates of actual fractures (AF) and actual surgery (AS) cases over the total number of hot uptake lesions in WBBS. Results : Of 547 patients with TBI, 112 patients (20.4 %) were presented with TBI alone. Four hundred and thirty-five patients with TBI had co-occurring skeletal injuries confirmed by WBBS. The incidences were as follows : chest wall (27.4%), spine (22.9%), lower extremities (20.2%), upper extremities (13.5%), pelvis (9.4%), and clavicles (6.3%). It is notable that relatively larger number of positive hot uptakes were observed in the groups of post-WBBS and poor MS. The percentage of post-WBBS group over the total hot uptake lesions in upper and lower extremities, and spines were 51.0%, 43.8%, and 41.7%, respectively, while their percentages of AS were 2.73%, 1.1%, and 0%, respectively. The percentages of poor MS group in the upper and lower extremities, and spines were 10.4%, 17.4%, and 7.8%, respectively, while their percentages of AS were 26.7%, 14.2%, and 11.1%, respectively.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percentage of AS between the groups of post-WBBS and poor MS (p=0.000). Conclusion : WBBS is a potential diagnostic tool in understanding the skeletal conditions of patients with head injuries which may be undetected during the initial assessment.

우리나라 병원의 경영전략 실태 (Management Strategy of Hospitals in Korea)

  • 문옥륜;이기효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08-135
    • /
    • 1996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urrent feature of management strategy of hospitals in Korea,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ption of a particular strategic orientation and the hospitals environment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trategic behaviors and management improvement activities, and financial performance. Data were collected from CEOs of 88 hospitals among 650 hospitals for a 13.5% response rate using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by mail survey. The major findings that obtained are as follows: 1. Only 37.2% of response hospitals carried out strategic planning, Most of these hospitals established the first strategic planning in 1991(81.3%) and renovated strategic planning by 4 or 5 years(56.3%), and modified strategic planning with flexibility(59.4%). Most strategic plans were documented, but informalized(68.8%). And only 29.0% of these hospitals had independent planning division. 2. Hospital services that CEOs assessed rank ordered for their impact on profitability are as follows: i)diagnostic ultrasound facility, computerized tomography scanner, obstetric inpatient unit, therapeutic X-ray, and physical therapy at present. ii)diagnostic ultrasound facility, physical therapy, computerized tomography scanner, emergency department, and health screening at future. And the services rank ordered that CEOs hoped to introduce are as follows: emergency department, physical therapy, health screening, volunteer services, and computerized tomography scanner. 3. Using a typology developed by Miles and Snow(l978), the strategic orientation of response hospitals are shifting significantly from defenders in the past to analyzers in the present, and to prospectors in the future(p<.01). 4. With regard to hospital environment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ownership, physician training, location, bed size, and hospital management training career and specialty of CEOs, the four strategic orientation archetypes varied not significantly. But, hospitals with a analyser orientation in the present and a reactor orientation in the future perceived competition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three archetypes(p<.05). 5. The four archetypes rank ordered in terms of appling strategic behaviors and management improvement activities are as follows: prospector, analyzer, reactor, and defender. 6. The four archetypes differed significantly in terms of their financial performance using revenue per bed(p<.05). Reactors and prospectors in terms of total revenue per bed, prospectors in terms of outpatient revenue per bed, and reactors and prospectors in terms of inpatient revenue per bed had the best performance.

  • PDF

신생아기의 일시적 장폐쇄증: 허쉬스프룽병과의 비교 연구 (Transient Intestinal Ileus in Neonate: A Study of Comparison with Hirschsprung's Disease)

  • 최광해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2권2호
    • /
    • pp.194-198
    • /
    • 2009
  • 목 적: 본 연구는 후향적으로 신생아기의 일시적 장폐쇄와 허쉬스프룽병에서 임상 양상과 검사법에 따른 결과의 비교를 통하여 양 질환의 감별 진단을 위한 검사법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4년 8월부터 2009년 3월까지 심한 복부팽만으로 방문한 신생아 중 단순복부촬영을 하여 전체 장관의 심한 확장을 보이면서 직장에 공기 음영이 보이지 않아 바륨조영술, 항문직장압력 검사, 직장흡인 생검을 모두 시행한 19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을 일시적 장폐쇄군과 허쉬스프룽병군으로 분류하였다. 결 과: 총 19예 중, 일시적 장폐쇄군의 경우 남아 8명(66.7%), 여아 4명(33.3%)이었다. 발생 시기는 일시적 장폐쇄군은 출생 후 2주에서 6주, 허쉬스프룽병군은 출생 후 3주 이내였다. 바륨조영술에서 이행부위는 일시적 장폐쇄군 6예(50%), 허쉬스프룽병군 4예(57.1%)에서 관찰되었다. 항문직장압력 검사에서 항문직장억제 반사가 관찰된 경우는 일시적 장폐쇄군 11예(91.7%), 허쉬스프룽병군 1예(14.3%)였다. 직장 흡인 생검에서 신경절세포가 관찰된 경우는 일시적 장폐쇄군 9예(75%), 허쉬스프룽병군 0예(0%)였다. 복부팽만의 호전 시기는 생후 1개월 이전 1예(8.3%), 1~2개월 8예(66.7%), 2~3개월 3예(25.0%)였으며, 전례가 3개월까지는 복부팽만이 호전되었다. 결 론: 생후 2주 이후에 심한 복부팽만이 나타나는 경우, 허쉬스프룽병과의 감별을 위해 바륨조영술보다 먼저 항문직장압력 검사를 시행하고 항문직장억제 반사가 없거나 불확실한 경우에 선별적으로 직장 흡인 생검을 하는 것이 불필요한 검사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