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crylate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9초

마이크로 중공구를 이용한 자외선 경화 코팅 박막의 단열 특성 (Thermal Insulation Property of UV Cure Coatings Using Hollow Micro-Spheres)

  • 김남이;장영욱;김성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4호
    • /
    • pp.621-62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 기공의 중공구를 유기 고분자 수지와 복합화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물질을 제조하여 우수한 단열 성능을 갖는 코팅유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유기 고분자 물질로는 투명성과 접착성이 우수한 6관능기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P118), 3관능기의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 2관능기의 1,6-hexanediol diacrylate (HDDA), 광 개시제(Irgacure184) 등으로 구성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였다. 유리 및 실리카 중공구를 고분자 수지에 각각 10~40 vol%까지 첨가하여 얻어진 코팅 졸을 투명유리에 바(bar)코팅 방식으로 박막을 형성시킨 후 자외선 경화를 통해 최종 코팅유리를 제조하였다. 마이크로 중공구의 종류 및 함량이 제조된 코팅유리의 광 투과율, 열전도도, 접착성 및 표면 경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복합물 코팅유리는 중공구가 과량 첨가되어도 우수한 접착성(5B)을 유지하였으며, 단열 성능은 각 중공구가 20 vol%만 함유되어도 뚜렷하게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실리카 중공구(SP)를 단열 재료로 사용하였을 경우 광 투과율 80 %의 투명 코팅유리를 얻을 수 있었다.

알루미나 졸과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이용한 UV경화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막 제조 (Preparation of UV-Curable Organic-Inorganic Hybrid Hard Coating Films Using Alumina Sols and Acrylate Monomers)

  • 황지현;송기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3호
    • /
    • pp.277-28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나 졸과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이용하여 UV 경화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용액을 제조하였다. Aluminum isopropoxide로부터 얻어진 알루미나 졸에 실란커플링제인 methacryloxypropyl trimethoxysilane(MPTMS)을 첨가하여 제조된 졸을 무기물 성분으로 사용하였다. 유기물 성분으로는 다양한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인 pentaerythritol triacrylate(PETA), 1,6-hexanediol diacrylate(HDDA),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DPEHA)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이후 무기물 성분과 유기물 성분을 혼합하여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 용액을 제조한 후, 이를 polycarbonate 기판 위에 스핀 코팅 후 UV 경화를 실시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이때 무기물 성분 중의 MPTMS의 첨가량과 UV 경화 시간 변화가 코팅 막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MPTMS가 0.20 mole 첨가 될 경우 코팅 막은 3H의 우수한 연필경도를 나타내었으며 haze값이 2%로 내마모성도 우수하였다.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이온성 액체 젤형 고분자전해질의 제조 및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el Polymer Electrolyte from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in Sonic Liquid)

  • 신보라;조미숙;김덕준;심상준;김지흥;이동현;남재도;이영관
    • 폴리머
    • /
    • 제29권2호
    • /
    • pp.216-22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EGDA) 고분자 매트릭스에 이온성 액체인 1-but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 sulfonyl) amide$(BuMeIm^+Tf_2N^-)$로 구성된 전해질 용액을 함유하는 젤 형태의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이온성 액체가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기존의 유기 용매를 넣은 고분자 전해질보다 높은 이온 전도도$(ca.\;10^{-3}S/cm)$와 전기 화학적 안정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Photolithographic Fabrication of Poly(Ethylene Glycol) Microstructures for Hydrogel-based Microreactors and Spatially Addressed Microarrays

  • Baek, Taek-Jin;Kim, Nam-Hyun;Choo, Jae-Bum;Lee, Eun-Kyu;Seong, Gi-H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1호
    • /
    • pp.1826-1832
    • /
    • 2007
  • We describe the fabrication of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DA) hydrogel microstructures with a high aspect ratio and the use of hydrogel microstructures containing the enzyme ${\beta}$-galactosidase (${\beta}$-Gal) or glucose oxidase (GOx)/horseradish peroxidase (HRP) as biosensing components for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multiple analytes. The diameters of the hydrogel microstructures were almost the same at the top and at the bottom, indicating that no differential curing occurred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hydrogel microstructure. Using the hydrogel microstructures as microreactors, ${\beta}$-Gal or GOx/HRP was trapped in the hydrogel array, and the time-dependent fluorescence intensities of the hydrogel array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dynamic uptake of substrates into the PEG-DA hydrogel. The time required to reach steady-state fluorescence by glucose diffusing into the hydrogel and its enzymatic reactions with GOx and HRP was half the time required for resorufin ${\beta}$-D-galactopyranoside (RGB) when used as the substrate for ${\beta}$-Gal. Spatially addressed hydrogel microarrays containing different enzymes were micropatterned for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multiple analytes, and glucose and RGB solutions were incubated as substrat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as no cross-talk between the ${\beta}$-Gal-immobilizing hydrogel micropatches and the GOx/HRP-immobilizing micropatches.

광학용 아크릴 점착제 제조 및 점착특성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of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for Optical Applications and Their Adhesion Performance)

  • 백승석;장세정;이종훈;고동한;이상훈;황석호
    • 폴리머
    • /
    • 제38권2호
    • /
    • pp.199-204
    • /
    • 2014
  • 본 연구는 2-ethylhexyl acrylate와 2-hydroxyethyl acrylate 기본구조에 isobornyl acrylate와 tetrahydrofurfuryl acrylate(THFA)의 조성비를 변화시키면서 광중합된 4원 공중합체를 합성한 후 가교제로 1,6-hexanediol diacrylate가 혼합된 시럽을 제조하였다. 합성한 시럽에 UV-광원을 조사시켜 점착제를 제조한 후 점착특성과 광학특성을 고찰하였으며 시럽의 기본물성인 고형분, 점도, 및 분자량 분석도 수행하였다. THFA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시럽의 분자량은 감소하였으나 고형분은 반대로 증가하였다. 점착제의 박리강도는 THFA의 함량에 따른 반비례관계를 나타내고 점착제의 표면에너지는 비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점착제에서 92% 이상의 광투과도와 1.0%이하의 haze값, 그리고 1.0 이하의 색차계값을 보여주었다.

Particle Replication In Non-Wetting Templates (PRINT) 방법을 이용한 약물 및 유전자 전달체의 제작 (Fabrication of Non Viral Vector for Drug and Gene Delivery using Particle Replication In Non-Wetting Templates (PRINT) Technique)

  • 박지영;;;임종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5호
    • /
    • pp.493-49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UV photo-lithography 방식의 particle replication in non-wetting templates(PRINT) 법을 이용하여 약물 전달에 운반체로 사용되는 $3{\mu}m{\times}3{\mu}m{\times}2{\mu}m$ 사이즈의 균일한 고분자 하이드로젤 입자를 제조하였다. 몰드(mold)와 기재(substrate)는 PRINT 방식을 통하여 탄성을 지닌 perfluoropolyethers(PFPE)로 제작하였으며 이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작된 입자는 점착성이 있는 수용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회수하였다. 입자의 주요 성분은 생분해성 고분자인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PEG-diA)이며, 세포 uptake에 적합하도록 aminoethylacrylate(AEM)와 2-acryloxyethyltrimethyl ammonium chloride(AETMAC)를 첨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균일하고 원하는 크기의 생체분해성 고분자 입자를 제작하는 PRINT 기술이 약물 전달 및 유전자 전달에 필요한 수송체인 비바이럴 벡터를 제작하기 위한 효과적인 기술임을 제시하였다.

UV경화형 2-EHA/AA 점착제의 점착특성에 대한 경화제의 영향 (Effect of Crosslinking Agent on Adhesion Properties of UV Curable 2-EHA/A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 김호겸;민경은
    • 폴리머
    • /
    • 제39권2호
    • /
    • pp.281-286
    • /
    • 2015
  • UV경화형 2-ethylhexyl acrylate(2-EHA)/acrylic acid(AA) 점착제의 점착특성에 대한 경화제 함량의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0.01 wt%의 극소량의 MMT가 도입된 아크릴 단량체 혼합물에 각각 0, 0.05, 0.1, 0.3 wt%의 1,6-hexanediol diacrylate(HDDA)를 경화제로 첨가하고 UV조사를 실시하여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MMT 도입이 공중합체의 경화 거동과 점착제의 표면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낮았으나, 점착특성의 경우 MMT의 도입으로 분자 사슬의 유연성이 제한되면서 응집파괴(cohesive failure)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0.3 wt%의 경화제가 도입된 점착제는 사슬 경직성이 크게 증가하면서 MMT의 첨가가 오히려 점착특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결과를 토대로 2-EHA/AA 점착제의 경우 0.05 wt%의 낮은 함량의 경화제와 극소량의 MMT의 도입이 박리 시 응집파괴 없이 균형적인 점착특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광학용 아크릴 점착제내 단량체 화학구조에 따른 점착특성 (Effect of Chemical Structure of Acrylate Monomer on the Transparent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for Optical Applications)

  • 백승석;장세정;이상원;황석호
    • 폴리머
    • /
    • 제38권5호
    • /
    • pp.682-686
    • /
    • 2014
  • 2-Ethylhexyl acrylate와 2-hydroxyethyl acrylate의 기본구조에 다양한 곁사슬 화학구조를 가지는 단량체의 종류를 변화시키면서 광중합된 고투명 3원 공중합체 시럽을 합성하였다. 시럽에 가교제로 1,6-hexanediol diacrylate와 광개시제를 혼합한 후 UV-광원을 조사시켜 점착제(PSAs)를 제조하여 점착특성과 광학특성을 고찰하였다. PSAs의 점착물성은 단량체 종류에 따른 조성비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나, 광학적 특성이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분자이면서 헤테로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IBOA, THFA, ACMO 단량체가 n-BA, VAc, CHA 단량체보다 좋은 점착물성을 보여주었다.

4,4'-Thiodibenzenethiol을 이용한 광경화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합성과 굴절률에 관한 연구 (Synthesis of UV Curable 4,4'-Thiodibenzenethiol-based Epoxy Acrylate and Their Refractive Index Behavior)

  • 백승석;이상원;황석호
    • 폴리머
    • /
    • 제37권1호
    • /
    • pp.121-126
    • /
    • 2013
  • 4,4'-Thiodibenzenethiol을 기반으로 이관능 에폭시 수지인 4,4'-thiodibenzenethiol diglycidyl ether를 직접합성법으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에폭시 수지가 광경화가 가능하도록 acrylic acid와 반응시켜 광경화형 고굴절 이관능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인 4,4'-thiodibenzenethiol diglycidyl ether diacrylate를 합성하였으며 $^1H$ NMR과 FTIR을 이용하여 화학구조를 확인하였다. 이관능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와 함께 반응성 희석제인 2-phenoxythiol ethyl acrylate를 5, 10, 15, 20, 30 wt% 희석하여 점도와 굴절률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광경화 후 경화필름의 굴절률 변화를 고찰 하였다. 반응성 희석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경화물의 경화도가 낮아졌으며, 경화도가 클수록 경화 후 굴절률은 높아지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UV-INDUCED POLYMERIZATION OF SIZE-CONTROLLED PLATINUM/POLY[STYRENE-DIVINYLBENZENE-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HYDROPHOBIC CATALYST BEADS IN MICROFLUIDICS

  • WEI, JUN;LI, XIANG;SONG, TONG;SONG, ZI-FAN;CHANG, ZHEN-QI;MENG, DA-QIA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7권6호
    • /
    • pp.738-745
    • /
    • 2015
  • The catalytic exchange of hydrogen isotopes between hydrogen and water has been known to be a very useful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tritium from tritiated water. For the process, a highly active hydrophobic catalyst is needed. This study provides an effective fabrication method of size-controlled platinum/poly[styrene-divinylbenzene-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Pt/poly(SDB-TPGDA)] hydrophobic catalyst beads with a narrow size distribution. Platinum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gamma}$-ray-induced reduction in the aqueous phase first, and then uniformly dispersed in SDB-TPGDA comonomer after the hydrophobization of platinum nanoparticles with alkylamine stabilizers. The porous Pt/poly(SDB-TPGDA) hydrophobic catalyst beads were synthesized by the UV-initiated polymerization of the mixture droplets prepared in a capillary-based microfluidic system. The size of as-prepared catalyst beads can be controlled in the range of $200-1,000{\mu}m$ by adjusting the flow rate of dispersed and continuous phases, as well as the viscosity of the continuous phase. Sorbitan monooleate and cyclohexanol were used as coporogens to control the porosities of the catalyst be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