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betic mice

검색결과 417건 처리시간 0.025초

Accelerated Wound Healing by ]Recombinant Human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in Healing-impaired Animal Models

  • Kang, Soo-Hyung;Oh, Tae-Young;Cho, Hyun;Ahn, Byoung-Ok;Kim,Won-Bae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7권1호
    • /
    • pp.7-13
    • /
    • 1999
  • The stimulatory effect of recombinant human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on wound healing was evaluated in healing-impaired animal models. Full-thickness wounds were made in prednisolone-treated mice,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and mitomycin C (MMC)-treated rats. Saline or bFGF at a dose of 1, 5, or $25\mu\textrm{g}$ per wound was applied to the open wound once a day for three to five days. The degree of wound healing was assessed using wound size and histological parameters such as degree of epidermal and dermal regeneration. Local application of bFGF accelerated wound closure significantly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ll healing-impaired wounds (p<0.05). The wound healing effect of bFGF was further confirmed by histological examination in MMC-treated rats. Epidermal and dermal regeneration were enhanced in bFGF-treated wounds with a dose-related response. Dermal regeneration parameters such as collagen matrix formation and angiogenesi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5\mu\textrm{g}$, or $\25mu\textrm{g}$ of bFGF-treated wounds when compared to saline-treated wounds (p<0.05). pectin immunostaining on day 8 for vascular endothelium showed an increased number of neovessels in bFGF-treated woun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pical application of bFGF has beneficial effects on wound healing by angiogenesis and granulation tissue formation in healing-impaired wounds.

  • PDF

2형 당뇨 마우스에서 솔잎 추출용액의 경구투여가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ine Needle Extract Oil on Blood Glucose and Serum Insulin Levels in db/db Mice)

  • 김미정;안진홍;최강호;이윤학;우경진;홍은경;정영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21-327
    • /
    • 2006
  • 본 연구는 솔잎을 수증기 증류법으로 생산한 솔잎 추출용액을 2형 당뇨 마우스인 db/db mice에게 투여하여 솔잎 추출용액의 혈당강하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30{\sim}40g$정도의 6주령 수컷 C57BL/Ksj(BL/Ls) homozygous diabetic(db/db) mice(SPF)를 음성대조군(corn oil), 솔잎 추출용액 저용량군(112.5 mg/kg), 고용량군(450 mg/kg) 및 양성대조군(metformin 150 mg/kg)의 4군으로 나누어 6주간 시험물질을 경구 투여하였다. 6주 사육기간 동안 혈당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매주 1회씩 6시간 공복 시 미정맥으로부터 혈당을 측정하였으며, 6주 실험종료 후 모든 동물은 희생시킨 후 복대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당화혈색소(HbAlc), 혈청 인슐린, C-peptide 및 leptin 농도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식이섭취량은 솔잎 추출용액 투여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양성대조군은 섭취량의 변화가 없었고, 1일 1마리당 평균섭취량은 고용량군이 음성대조군 및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섭취량을 보였다. 체중은 군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간 무게와 상대적 간 무게는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솔잎 추출용액 고용량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혈당은 솔잎 추출용액 고용량군에서 실험개시 3주부터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최종 혈당은 저용량과 고용량군 모두 음성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아졌고, 용량 의존적인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당화혈색소의 함량 역시 솔잎 추출용액 고용량군에서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낮은 경향을 보였다. 혈청 인슐린과 C-peptide농도는 솔잎 추출용액의 투여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솔잎 추출용액이 인슐린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혈청 leptin 농도는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음성대조군에 비해 솔잎 추출용액 투여군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혈당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솔잎 추출용액의 혈당강하 효과의 작용기전으로 leptin과 관련된 인슐린 감수성에 영향을 미첬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 사용한 112.5 mg/kg 및 450 mg/kg의 솔잎 추출용액은 6주 경구투여 시 혈당강하 효과를 나타냈으며, 인슐린의 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솔잎 추출용액의 혈당강하 효과의 작용기전이 인슐린의 감수성이나 저항성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기대되며, 본 연구가 앞으로 솔잎 추출용액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생약복합제의 Streptozotocin 유발 당뇨 및 대사성증후군 모델 동물에서의 혈당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Herbal Complex on Blood Glucos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and in Mice Model of Metabolic Syndrome)

  • 박한석;이연실;최세진;김진규;이윤열;김현근;구삼회;구대희;기승일;임순성
    • 생약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96-204
    • /
    • 2009
  • 당뇨병 치료 및 예방에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생약 및 식품 소재로 구성된 생약복합제인 백강잠, 산약, 쥐눈이콩, 청국장가루의 복합물을 대상으로 실험관 및 동물실험을 통하여 혈당강하 효과를 확인하였다. 생약복합제 $H_2O$추출물은 당흡수에 관여하는 $\alpha$-glucosidase효소를 비교약물인 acarbose ($IC_{50}$=0.39 mg/mL)과 비교하여 1/3배 정도의 활성을 보였으며 ($IC_{50}$=1.24 mg/mL), ethanol추출물은 인슐린 내성에 관여하는 $PTP1{\beta}$ 효소작용을 ($IC_{50}=498.46{\mu}g$/mL)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PTP1{\beta}$ 효소를 억제하는 n-hexane 분획을 대상으로 하여 GC-MS로 성분 분석한 결과 지방산유도체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지방식이와 저용량 STZ (35 mg/kg)으로 유발시킨 당뇨모델에서 OGTT 실험결과 비교약물인 rosiglitazone(당부하 30분 후 평균 60 mg/dL 의 감소)과 생약복합제 투여군의 경구 당부하능 개선효과를(당부하 30분 후 평균 30 mg/dL의 감소) 확인하였다. 또한, 대사성 증후군 모델에서는 체중증가의 감소 효과와 공복혈당의 증가를 현저히 억제함을 확인하였으며, OGTT에서도 후반부에 현저한 경구당부하능 개선 효과를 관찰 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산약, 백강잠, 쥐눈이콩, 청국장으로 조제한 생약복합제는 당뇨 및 대사성 증후군의 혈당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채취 시기 및 부위가 다른 표고버섯의 급여가 당뇨 마우스 뇌조직의 신경전달물질 및 지질과산화물 수준에 미치는 영향 (Supplementary Effects of Lentinus edodes with Different Harvest Period and Part on Neurotransmitters and Lipid Peroxide Levels in the Brain of Diabetic Mice)

  • 박홍주;김대익;이성현;이영민;정현진;조수묵;전혜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1182-1187
    • /
    • 2005
  • 국민생활 수준의 향상과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평균수명이 증가하였지만 이에 반해 성인병, 암, 치매 등 질병 유병율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실정이다. 특히 당뇨와 치매는 고령화 현상에 따른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라 그 심각성이 더욱 크다. 또한 문경에서는 품질이 낮은 향신 표고버섯의 대 부위를 분말화하여 조미료로 이용함으로써 표고버섯의 활용 및 부가가치를 높이고 있으나, 표고버섯의 채취시기 및 부위별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KK 당뇨마우스를 이용하여 대조군과 표고버섯 품질 (동고, 향신) 및 부위별(갓, 대) 분말을 섭취한 4종의 실험군을 8주간 사육한 다음 치매관련 뇌조직 신경전달 물질(neurotransmitter) 및 그 관련효소를 조사하고 활성 산소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 지질과산화(lipid peroxide)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뇌의 가장 중요한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 함량은 표고버섯 향신갓 부분을 섭취한 실험군 HSC에서 약 12$\%$의 유의적인 증가효과를 보였으며, 아세틸콜린 분해효소인 AChE효소의 저해활성은 동고갓 부분을 섭취한 DGC실험군에서 약 10$\%$의 유의적인 아세틸콜린에 스테라아제 활성 저해효과를 보였으며, 향신갓 부분를 섭취한 HSC 실험군에서도 저해되는 경향을 보였다. 카테콜아민계 신경전달물질의 파괴에 관계하는 MAO-B효소의 저해활성은 향신갓 부위 첨가 식이 HSC에서 약 12$\%$의 유의적인 활성 저해효과를 보였으며, 지질과산화는 동고갓 부위를 섭취한 실험군 DGC에서 약 10$\%$의 유의적인 지질과산화 감소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표고버섯은 대 부분보다는 갓 부분이 채취시기 및 품질에 상관없이 당뇨모델 마우스 뇌조직의 AChE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여 ACh의 농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MAO-B효소와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신경전달물질을 잘 보존하여 인지능력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표고버섯의 급여기간 및 첨가수준을 달리한 계속적인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한 표고버섯 소재의 다양한 제품 개발과 부가가치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Zinc와 Arachidonic Acid가 고 Fructose 식이로 유도된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Zinc Plus Arachidonic Acid on Insulin Resistance in High Fructose-Fed Rats)

  • 최철수;김영욱;이효선;윤태호;조병만;이수일;김성수;황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15-422
    • /
    • 2009
  • 고 fructose 식이를 섭취시켜 제 2형 당뇨를 유발한 쥐에서 ZA의 섭취가 혈당 조절에 미치는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4주 동안의 실험기간 중 Control군(normal chow diet), Fructose군(high-fructose diet)과 Fructose+ZA군(highfructose diet+ZA treatment) 간의 체중, 먹이 및 물의 섭취량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기저상태 (basal state)에서 혈장 포도당, 인슐린 농도 및 간의 포도당 생성률을 측정한 결과 Control군과 Fructose군 및 Fructose+ZA군 간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인슐린 감수성을 알아보기 위한 hyperinsulinemic euglycemic clamp 실험에서 인슐린 농도와 포도당 농도는 군 간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인슐린 감수성 지표인 포도당 흡수(glucose uptake)에서도 역시 군 간의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간의 인슐린 감수성 지표인 간의 포도당 생성률(HGO)에서는 Fructose군이 Control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되었고 (p<0.05), Fructose+ZA군이 대조군의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이것으로 미루어 볼 때 fructose 식이는 간에서 인슐린감수성을 감소시켰으나 당뇨는 유발되지 않았으며, ZA 섭취가 간의 포도당 생성률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아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키지만, 말초조직의 포도당 이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Db/db 마우스 모델에 있어서 한약재조성물의 혈당 및 혈장 콜레스테롤 개선효과 (Amelioration of Plasma Glucose and Cholesterol levels in Db/db Mice by a Mixture of Chinese Herbs)

  • 이재헌;조창우;한상복;황지연;강민정;주희정;김미은;서영주;김정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25-230
    • /
    • 2008
  • 흰양삼, 황기, 감초, 구기자, 뽕나무잎, 갈근, 하고초, 오갈피,오미자, 황금, 산약, 황정, 작약, 생지를 1 : 0.7 : 0.4 : 0.7 : 0.4 :0.7 : 1.1 : 0.9 : 0.4 : 0.4 : 0.7 : 0.7 : 0.9 : 0.9의 비율로 함유한 한약재 조성물의 혈당 및 지질대사 개선효과를 제2형 당뇨동물 모델인 db/db 마우스에 있어서 조사하였다. In vitro에서 한약 재조성물 메탄올 추출물의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경구 혈당강하제로 사용중인 아카보스 (20.7%)에 비해 높은 저해활성 (25.2%)을 나타내었다. 4주령의 수컷 db/db 마우스 (C57BL/KsJ, n = 14)를 1주간의 적응기간이 지난 후 2군으로 나누어 대조군에게는 AIN-93G diet를 기본으로 한 basal diet를, 실험군에게는 동결건조된 한약재조성물 가루를 식이의 10% 수준으로 함유한 식이를 6주간 제공하였다. 한약 재조성물의 섭취는 실험동물의 체중 및 식이 섭취량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공복 혈당 (442.5 ${\pm}$ 36.0mg/dL)을 대조군 (489.8 ${\pm}$ 34.6mg/dL)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p < 0.05). 또한 한약재조성물 섭취군의 혈장 콜레스테롤 (159.2 ${\pm}$ 18.4mg/dL) 농도는 대조군 (185.4 ${\pm}$ 13.7mg/dL)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p < 0.05), 혈장 중성지방 농도는 한약재 조성물 섭취군 (99.4 ${\pm}$ 15.0mg/dL)이 대조군 (108.8 ${\pm}$11.0mg/dL)에 비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한약 재조성물의 섭취는 당뇨동물모델에 있어서 혈당 및 혈장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켜, 당뇨병 개선 및 당뇨합병증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난소절제와 Genistein 투여가 간 미토콘드리아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variectomy and Genistein on Hepatic Mitochondrial Function)

  • 이영민;정명호;이연숙;송지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9호
    • /
    • pp.786-793
    • /
    • 2004
  • Women with menopause or rats with ovariectomy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body weight, body fat and insulin resistance, which are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Increased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fter menopause might be associated with mitochondrial dysfunction, since mitochondrial oxidative and phosphorylation activity is strongly correlated with insulin sensitivity. Although estradiol replacement prevents the metabolic syndrome, harmful effect of estradiol hampers the casual usage to prevent the metabolic syndrome. It has been reported that genistein has a mild estrogenic activity, decreases fat mass in mice and has an antidiabetic role in diabetic rats. Although insulin resistance is closely related to mitochondrial functions, there has not been yet any study in regard to the effect of dietary genistein on mitochondrial function in the insulin resistant female subjects induced by ovariectomy or similar situati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supplementation of genistein in the high fat diet affected the mitochondrial function of high fat fed ovariectomized rats. Female Sprague Dawley rats (8 weeks old) were assigned to the following groups: sham-operated+ high fat diet (S, n=6); sham-operated + high fat diet with 0.1% genistein (S + G, n=7); ovariectomized + high fat diet (OVX, n=8); ovariectomized + high fat diet with 0.1% genistein (OVX+ G, n=8). Ovariectomy significantly increased body weight compared with S group. Genistein consumption in ovariectomized (OVX + G) rats decreased body weight gain compared with OVX rats. Liver weights were increased by ovariectomy. The hepatic mitochondrial protein density expressed as mg per g liver was lower in the OVX group than in the S group. However, OVX + G group showed the increased mitochondrial protein density similar to the level of S group. When mRNA levels of genes related to mitochondria such a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 (PGC-1) and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II (COX III) were measured, there were decreases in the mRNA levels of PGC-1 and COX III in S + G, OVX and OVX + G group. The activity of cytochrome c oxidase was not different between groups. We could observe the decrease in succinate dehydrogenase (SDH) activity per g liver in OVX rats. Genistein supplement increased SDH activity. In conclusion, genistein supplementation to the OVX rats enhanced mitochondrial function by increasing mitochondrial protein density and SDH activity. The improvement in mitochondrial function by genistein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in metabolic syndrome.

Hypoglycemic effects of Welsh onion in an animal model of diabetes mellitus

  • Kang, Min-Jung;Kim, Ji-Hye;Choi, Ha-Neul;Kim, Myoung-Jin;Han, Jung-Hee;Lee, Jai-Heon;Kim, Jung-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6호
    • /
    • pp.486-491
    • /
    • 2010
  • Tight control of blood glucose is the most important strategy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Here, we investigated the beneficial effects of Welsh onion on fasting and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hibitory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the green stalk and white bulb, which are the edible portions of the Welsh onion, and the fibrous root extract against yeast ${\alpha}$-glucosidase were measured in vitro. To study the effects of Welsh onion on postprandial hyperglycemia, a starch solution (1 g/kg) with and without Welsh onion fibrous root extract (500 mg/kg) or acarbose (50 mg/kg) was administered to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after an overnight fast. Postprandial plasma glucose levels were measured and incremental areas under the response curve were calculated. To study the hypoglycemic effects of chronic feeding of Welsh onion, five-week-old db/db mice were fed an AIN-93G diet or a diet containing either Welsh onion fibrous root extract at 0.5% or acarbose at 0.05% for 7 weeks after 1 week of adaptation. Fasting plasma glucose and blood glycated hemoglobin were measured. Compared to the extract from the edible portions of Welsh onion, the fibrous root extract showed stronger inhibition against yeast ${\alpha}$-glucosidase, with an $IC_{50}$ of 239 ${\mu}g/mL$. Oral administration of Welsh onion fibrous root extract (500 mg/kg) and acarbose (50 mg/kg) significantly decreased incremental plasma glucose levels 30-120 min after oral ingestion of starch as well as the area under the postprandial glucose response curv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 < 0.01). The plasma glucose and blood glycated hemoglobin levels of the Welsh onion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P < 0.01), an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fed acarbose. Thus, we conclude that the fibrous root of Welsh onion is effective in controlling hyperglycemia in animal models of diabetes mellitus.

흰민들레(Taraxacum coreanum)추출물이 급성 수은 중독된 생쥐의 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andelion (Taraxacum coreanum) Extracts on the Mouse Liver with Acute Toxicated by Mercury Chloride)

  • 정민주;윤중식;허진;노영복;최영복;김종세;이현화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1호
    • /
    • pp.1-10
    • /
    • 2008
  • 본 연구는 급성 수은 독성에 대한 민들레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30 g 내외의 생쥐를 대상으로 대조군, 수은(5 mg/kg) 투여군, 수은 투여 후 민들레(3 g/kg)를 구강투여 한 후 다시 24, 48, 72, 96시간, 1주일군으로 세분하여 간장 손상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생화학적 및 조직학적 실험을 실시하였다. 혈액중 aspartate amiotransferase (AST)와 alanine aminotransferase (ALT)의 수치는 민들레 투여군이 수은 투여군보다 감소되었다. 또한 간조직의 SOD와 catalase활성도 역시 민들레 투여군이 수은 투여군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간 조직의 광학현미경적 관찰에서 심한 조직괴사가 관찰되지만 민들레 투여군에서는 문맥주위의 약간의 괴사와 심한 호중구 침윤현상이 관찰되었다. 전자현미경적 관찰 결과, 간장에서 수은 투여군은 간세포의 핵이 함입되어 불규칙했으며 미토콘드리아와 조면소포체의 수조가 팽대되고, 리보솜의 탈락이 관찰되었다. 민들레 투여군은 핵이 정상적인 상태로 관찰되었고, 전자밀도가 높은 미토콘드리아가 분포되어 있었으며, 리보솜이 부착된 상태로 층판구조를 형성하는 조면소포체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보아 민들레가 수은으로 유발된 간손상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민들레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Royal jelly enhances migration of human dermal fibroblasts and alters the levels of cholesterol and sphinganine in an in vitro wound healing model

  • Kim, Ju-Young;Kim, Young-Ae;Yun, Hye-Jeong;Park, Hye-Min;Kim, Sun-Yeou;Lee, Kwang-Gill;Han, Sang-Mi;Cho, Yun-H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5호
    • /
    • pp.362-368
    • /
    • 2010
  • Oral administration of royal jelly (RJ) promotes wound healing in diabetic mice. Concerns have arisen regarding the efficacy of RJ on the wound healing process of normal skin cells. In this study, a wound was created by scratching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s, one of the major cells involved in the wound healing process. The area was promptly treated with RJ at varying concentrations of 0.1, 1.0, or 5 mg/ml for up to 48 hrs and migration was analyzed by evaluating closure of the wound margins. Furthermore, altered levels of lipids, which were recently reported to participate in the wound healing process, were analyzed by HPTLC and HPLC. Migration of fibroblasts peaked at 24 hrs after wounding. RJ treatment significantly accelerated the migration of fibroblasts in a dose-dependent manner at 8 hrs. Although RJ also accelerated the migration of fibroblasts at both 20 hrs and 24 hrs after wounding, the efficacy was less potent than at 8 hrs. Among various lipid classes within fibroblasts, the level of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8 hrs following administration of both 0.1 ug/ml and 5 mg/ml RJ. Despite a dose-dependent increase in sphinganines, the levels of sphingosines, ceramides, and glucosylceramides were not altered with any concentration of RJ. We demonstrated that RJ enhances the migration of fibroblasts and alters the levels of various lipids involved in the wound healing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