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vice closure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6초

경피적 동맥관 폐쇄술에 사용된 Duct-Occlud Coil의 종류에 따른 중-단기 결과의 비교 (Impact of Device Evolution in Transcatheter Closure of Patent Ductus Arteriosus Using Duct-Occlud Coils : Comparison of Mid-term Results)

  • 김명관;한동기;최재영;김유리아;유병원;최덕영;설준희;이승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2호
    • /
    • pp.158-164
    • /
    • 2005
  • 목 적 : 경피적 동맥관 폐쇄술은 중등도 이하 크기의 동맥관 개존증의 일차적인 치료로 시행되고 있다. 저자들은 본원에서 Duct-Occlud coil(pfm AG, $K{\ddot{o}}ln$, Germany)을 이용한 폐쇄술 후 기구 종류에 따른 추적 관찰 결과의 분석을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6년 3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본원에서 다른 심장질환을 동반하지 않는 동맥관 개존증을 진단 받고 Duct-Occlud를 이용한 경피적 폐쇄술을 시행 받은 205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의 월령은 6-780(median : 38)개월이었고 체중은 6-79(median : 15) kg이었다. 사용된 Duct-occlud는 standard coil, reinforced coil, reinforced reverse cone coil, Nit-Occlud double disk coil 4종류를 사용하였고 시술 후, 1개월, 6개월, 12개월 이후에 이학적 검사, 심장 초음파를 시행하여 동맥관 폐쇄를 확인하였다. 결 과 : 폐쇄를 시도한 209명의 환자에서 216회의 시술을 시행하여 205명에서 성공하였고 5례에서 시술 후 코일의 색전으로 경피적 제거 후 재시술 하였으며 2례에서 잔류 단락을 2차 시술로 폐쇄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동맥관 최소직경은 $2.9{\pm}1.1$(0.8-6.0) mm, Qp/Qs는 $1.4{\pm}0.3$3(1.1-2.1)이었다. 사용된 기구에 따른 임상적, 혈역학적 지표는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으며 추적 관찰 12개월 이후에 시행한 심초음파상 standard coil 24명 중 2명(8%), reinforced coil 50명 중 4명(8%), reinforced reverse cone coil 58명 중 2명(4%), Nit-Occlud double disk coil 73명 중 0명(0%)의 잔류 단락을 보였다. Nit-Occlud double disk coil은 시술 후 1일, 1개월, 6개월에 다른 기구들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잔류단락률을 보였다. 잔류 단락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는 동맥관 최소 직경으로 완전 폐쇄군과 잔류 단락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Nit-Occlud double disk coil의 경우 최소 직경이 중등도 이상(>4 mm)의 비교적 큰 동맥관의 경우에 있어서도 시술한 12명에서 모두 6개월 이후 동맥관의 완전 폐쇄를 보였다. 결 론 : Duct-Occlud를 이용한 경피적 폐쇄술은 동맥관 폐쇄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되며, Nit-Occlud double disk coil은 최소직경이 4 mm보다 큰 동맥관의 경우에도 높은 폐쇄율을 보여 이전의 기구에 비해 보다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ngio-$Seal^{TM}$ $Evolution^{TM}$ versus Manual Compression for Common Femoral Artery Puncture in Neurovascular Diagnostic Angiography: A Prospective, Non-Randomized Study

  • Chung, Joon-Ho;Lee, Dong-Woo;Kwon, Ok-Sim;Kim, Bum-Soo;Shin, Yong-Sam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9권3호
    • /
    • pp.153-156
    • /
    • 2011
  • Objective : This prospective, non-randomized study compared the safety and efficacy of the Angio-$Seal^{TM}$ $Evolution^{TM}$ to that of manual compression for common femoral artery punctures in neurovascular diagnostic angiography. Methods : From June 2009 to September 2009, we performed 169 diagnostic trans-femoral cerebral angiographies, using either the Angio-$Seal^{TM}$ $Evolution^{TM}$ or manual compression to achieve hemostasis. We included 60 patients in this study, 30 in each group. We defined minor complications as those requiring no further treatment such as hematoma size less than 6 cm and bruise size less than 25 cm. Major complications were those requiring surgery of the femoral artery pseudoaneurysm and/or the second line increase of hospital stay even without further treatment. Results : Mean time to hemostasis was $0.42{\pm}0.04$ minutes for the angioseal and $15.83{\pm}1.63$ minutes for manual compression (p<0.001). Overall complication rate did not differ between the 2 groups. After the patients were fully mobile, at 24 hours, the rate of onset of new complication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2 groups (p=0.032). In the angioseal group, 5 (16.7%) of the 30 patients experienced the onset of a new complication after 24 hours, including 3 (60.0%) of the 5 who experienced major complications. Conclusion : The Angio-$Seal^{TM}$ $Evolution^{TM}$ is effective at decreasing mean time to hemostasis, like other closing devices. However, it may not be effective at producing early ambulation and discharge, compared to manual compression, because delayed complications may occur significantly after 24 hours.

근육형 심실중격결손에 대한 하이브리드 수술법 -2예 보고- (Hybrid Procedure for Muscular Ventricular Septal Defects -2 case reports-)

  • 최선우;양지혁;전태국;박표원;민선경;강이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6호
    • /
    • pp.747-750
    • /
    • 2008
  • 근육형 심실중격결손의 표준적 치료로 알려져 있는 수술적 폐쇄는 시야확보가 어려울 경우 여러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으며 심실절개를 요하는 경우도 있다. 다른 접근법으로는 카테터 기구를 기반으로 하는 중재술이 있지만 이 또한 제한점이 있다. 수술적 치료와 중재술을 조합한 하이브리드 수술은 이러한 경우에 있어 침습성을 줄일 수 있다. 저자들은 근육형 심실중격결손에 대한 하이브리드 수술을 2예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환자에서 발생한 괴사성 근막염의 치험례 (Necrotizing Fasciitis in a Patient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 조혜인;장학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3호
    • /
    • pp.309-314
    • /
    • 2011
  • Purpose: Necrotizing fasciitis is a life-threatening, destructive soft tissue infection with a very high rate of mortality that needs early diagnosis and aggressive treatment.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is a systemic, autoimmune disease and it's major cause of mortality is an infection. But necrotizing fasciitis in SLE is very rare and there have been only 22 cases reported in the literatures. We reported a patient of necrotizing fasciitis with SLE and reviewed 22 others from literature research. Methods: A 40-year-old female patient with a history of SLE for 6 years came to the emergency room. The patient complained of severe pain and swelling on her right leg. She was diagnosed as necrotizing fasciitis and underwent emergency fasciotomy. As wound cultures showed variable organisms, she was treated with broad-spectrum antibiotics and underwent several surgical debridements. Then, the wound was treated with the V.A.C (Vacuum Assisted Closure) device and split thickness skin grafting was performed two times. Results: Skin graft was well taken within 2 weeks after operations and the patient was discharged to outpatient follow up. There was no complication related with surgery and she could walk without cane after 3 months. Conclusion: We treated a necrotizing fasciitis in a patient with SLE and reviewed 22 others from literature research. The case presented here suggests that necrotizing fasciitis is a rare disease in SLE patients, bu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soft tissue infection in SLE patients. A high index of suspicion is needed for early diagnosis and proper management in these patients.

176k Bulk Carrier에 대한 신개념 타입의 Pre-Swirl Duct의 개발 및 CFD 해석 (Development and CFD Analysis of a New Type Pre-Swirl Duct for 176k Bulk Carrier)

  • 유광열;김문찬;신용진;신이록;김현웅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6권4호
    • /
    • pp.373-382
    • /
    • 2019
  • This paper shows numerical results for the estimation of the propulsor efficiency of Pre-Swirl Duct for 176k bulk carrier as well as its design method. Reynolds averaged Navier-Stokes equations have been solved and the k-epsilon model applied for the turbulent closure. The propeller rotating motion is determined using a sliding mesh technique. The design process is divided into each part of Pre-Swirl Duct, duct and Pre-Swirl Stator. The design of duct was performed first because it is located further upstream than Pre-Swirl Stator. The distribution of velocity through the duct was analyzed and applied for the design of Pre-Swirl Stator. The design variables of duct include duct angle, diameter, and chord length. Diameter, chord length, equivalent angle are considered when designing the Pre-Swirl Stator. Furthermore, a variable pitch angle stator is applied for the final model of Pre-Swirl Duct. The largest reduction rate of the delivered power in model scale is 7.6%. Streamlines, axial and tangential velocitie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Pre-Swirl Duct is installed were reviewed to verify its performance.

IoMT 환경을 이용한 질병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ease Prevention Monitoring System Using IoMT Environment)

  • 심성호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2호
    • /
    • pp.111-116
    • /
    • 2023
  • 최근 바이러스 감염병 및 새로운 질병은 한 지역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경제적, 사회적으로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또한, 새로운 질병의 발현 주기가 짧고, 확산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질병에 대한 확산을 막기 위해 격리, 폐쇄 등 질병 발생 후 수동적인 형태의 대응이 우선시 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대응은 질병 확산 방지에 근본적인 대응으로는 부족한 부분이 많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질병 발생 정보를 포함한 질병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IoMT 환경 구축을 통해 질병 정보와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한다. devices를 이용한 정보 수집은 사용자의 생체정보와 질병 서버에 등록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류한다. IoMT 환경에서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 질병 감염 여부를 평가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개인의 질병 증상 정보를 제공하고, 질병 확산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37마리 개의 동맥관 개존증의 임상소견과 비외과적 치료의 회고연구 (Retrospective Study of Patent Ductus Arteriosus in 37 Dogs: Clinical Presentations and Interventional Therapy)

  • 박종인;최란;이승곤;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87-94
    • /
    • 2013
  • 본 회고 연구에서는 동맥관 개존증에 이환된 개에서 심장중재술을 통한 치료증례의 임상적 특징과 치료예후를 조사하였다. 환축의 구성을 보면, 말티스와 암컷이 차지하는 비중이 컸다. Bounding pulse와 좌심저부의 심잡음이 가장 대표적인 신체검사 소견이며, differential cyanosis은 매우 드물게 관찰되었다. 심전도상 특징은 좌심종대소견과 동성빈맥이였다. 흉부방사선상 좌심실 종대와 대동맥 확장을 동반한 triple bumps가 대표적인 소견이 였다. 심초음파상 특징은 좌심실 종대를 동반한 폐동맥 단축단면상 심각한 와류 소견이였으며, 다수의 환자에서 이첨판 역류 소견도 관찰되었다. 37증례 중 32증례에서 thromboemolic coils (TCE)이나 Amplatz canine ductal occluder (ACDO)를 이용한 심장 중제술적 치료가 실시되었다. 일시적인 혈색소뇨가 관찰되었고 장착된 코일이나 ACDO가 이탈되는 부작용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장기 관찰이 가능했던 29증례에서 특별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