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ign of future education framework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5초

Next-Generation Chatbots for Adaptive Learning: A proposed Framework

  • 정하림;유주헌;한옥영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37-45
    • /
    • 2023
  • Adaptive has gained significant attention in Education Technology (EdTech), with personalized learning experience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Next-generation chatbots, including models like ChatGPT, are emerg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se advanced tools show great potential for delivering personalized and adaptive learning experiences. This paper reviews previous research on adaptive learning and the role of chatbots in education. Based on this, the paper explores current and future chatbot technologies to propose a framework for using ChatGPT or similar chatbots in adaptive learning. The framework includes personalized design, targeted resources and feedback, multi-turn dialogue models, reinforcement learning, and fine-tuning. The proposed framework also considers learning attributes such as age, gender, cognitive ability, prior knowledge, pacing, level of questions, interaction strategies, and learner control. However, the proposed framework has yet to be evaluated for its usability or effectiveness in practice,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framework may vary depending on the specific field of study. Through proposing this framework, we hope to encourage learners to more actively leverage current technologies, and likewise, inspire educators to integrate these technologies more proactively into their curricula. Future research should evaluate the proposed framework through actual implementation and explore how it can be adapted to different domains of study to provide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its potential applications in adaptive learning.

Posner의 분석틀을 이용한 TLSF (Teaching and Learning for a Sustainable Future)프로그램의 분석 (The Analysi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for a Sustainable Future" Program Using Posner's Curriculum Model)

  • 손연아;오경환;최돈형;민병미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4권1호
    • /
    • pp.127-144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for a Sustainable Future (TLSF) program, an innovative teacher education and regular professional development by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employing the curriculum analysis framework created by Posner. Using this framework the analyst found that the TLSF design is based on good research in regard to learning, teaching, and assessment now driving efforts to reform environmental teacher education. Ongoing development of the TLSF program in the research setting of an international level permits ever deeper connection with emerging curriculum theory and curriculum practice and allows new linkage as ideas are tested in research classrooms.

  • PDF

Computational Thinking 기반 인공지능교육을 통한 학습자의 인지적역량 평가 프레임워크 설계 (Designing the Framework of Evaluation on Learner's Cognitive Skill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hrough Computational Thinking)

  • 신승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59-6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Computational Thinking 기반의 인공지능(AI)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내재적 사고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평가도구 개발의 기준과 프레임워크를 구성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데이터수집을 위한 인지적 학습보조(Agency)의 단계, 수집된 데이터의 특징을 분해하여 데이터의 패턴을 인식하고 카테고리화 과정을 수행하는 추상화(Abstracting)의 단계, 추상화과정을 수행한 정제된 데이터를 토대로 알고리즘을 구성하는 모델링(Modeling)단계의 일련의 순차적 과정이 평가요소로 구성되었다. 또한 학습자의 인식, 학습, 행동, 결과에 대한 인지적영역에 대한 평가가 구성되었으며, 학습자의 문제해결의 과정과 결과에 대하여 지식, 역량, 태도의 영역에 대하여 측정을 하게 됨으로써 AI교육에 대한 학습의 내재적인 인지영역의 변화와 결과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프레임 워크가 설계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교수학습의 맥락에 따른 개별화된 평가도구 개발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향후 AI교육의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준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컴퓨팅 사고 프레임워크 기반 방과후 스크래치 팀프로젝트 경험의 분석 (Computational Thinking Framework-based Analysis of Afterschool Scratch Team Project Experiences)

  • 최형신;정인기;소효정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49-55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방과후 소프트웨어 교육으로 진행된 스크래치 수업에서 학생들의 팀 프로젝트 경험을 분석하고 향후 방과후 수업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 학기 동안 초등학교 방과후 수업으로 12주차 스크래치 수업을 설계하고 2인 1팀으로 팀을 구성하여 스크래치로 프로젝트를 기획 및 구현해서 발표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팀을 선정하여 산출물 기반 인터뷰(Artifact-based Interview)를 수행하고 방과 후 소프트웨어 수업에서 학생들의 경험을 컴퓨팅 사고(Computational Thinking) 개념, 수행, 관점에 초점을 둔 프레임워크에 기반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와 실천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연구 측면에서는 컴퓨팅 사고 프레임워크를 소프트웨어 교육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점이며, 실천적 측면에서는 도출된 학생들의 경험의 질적 분석 자료가 향후 초등 소프트웨어 교육의 내용 및 평가방법 설계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Proposals for the New Maritime Education System in Asian Countries

  • Park, Young-Soo;Inoue, Kinzo;Park, Sung-Yong;Park, Jin-Soo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693-698
    • /
    • 2008
  • The maritime education and training is executed in Asian countrie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Standards of Training, Certification and Watch keeping for Seafarers(STCW). However, mainly basic training and education takes in maritime universities, because this convention is minimum requirements to become junior mariner. So, until now researches have not developed to the stage of discussing how maritime universities of advanced shipping countries should pursue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the new eras. Korea and Japan as the leading shipping countries in Asia, need to take initiatives in building a new education system in order to foster the next generation maritime expert. To enhance the professional abilities of maritime technologists in the new era, element design of science and technology relating to maritime issues and a new education system based on an amalgamation of maritime education and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education were discussed.

융합영상콘텐츠 교육을 위한 XR 콘텐츠저작 프레임워크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Development of XR Contents Authoring Framework for IT Convergence Education)

  • 임익수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633-639
    • /
    • 2020
  • 비전공자 대상으로 확장현실기반 융합영상콘텐츠 제작에 대한 교육적 수요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는 교육도구는 턱없이 부족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비전공자 대상으로 확장현실기반 융합영상콘텐츠 제작에 대한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요구사항의 구현을 위한 프레임워크 기능을 설계하였다. 기능 설계를 바탕으로 프로그래밍 지식이 없는 IT 비전공자 학생이 게임엔진을 활용하여 드래그 앤드 드롭과 같은 간단한 방법을 통해 확장현실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여기서 프레임워크란 재사용 가능한 반 완성된 응용프로그램 템플릿 코드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프레임워크의 교육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해,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산업 디자인 전공 2학년 학생 26명을 대상으로 XR 콘텐츠 제작 교육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90%가 넘는 학생들이 실제 오큘러스 리프트에서 작동되는 수준의 콘텐츠 개발에 성공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전공자를 위한 확장현실기반 융합영상콘텐츠 교육과정의 품질을 향상하는 데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미래 콘텐츠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KS 시설관리 표준규격을 바탕으로 한 대학시설 FM 서비스 발전방향 (Suggestions on the Campus FM Services by Establishing Framework in the form of Performance Indicator(Pi) Based on FM_KS)

  • 신은경;김유진;김준하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7-45
    • /
    • 2015
  • Over the years, great attention has been shown to the function of the campus facilities that should be well-equipped, operated and maintained to better support university's two main goals: providing education and supporting research. Properly managing campus facilities is the initial step to be prepared to meet the rapidly changing global educational standard. However, so far, no definitive answer has been given to the question of what service level/scope is appropriate for the effective campus facility management (FM) in Korea. Therefore, at the outset,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the framework for the standardized campus FM services. The main focus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the campus FM by establishing the framework in the form of FM performance indicator (PI). As the first step, FM standards set by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has been thoroughly reviewed and analyzed to establish the framework for FM standards applicable to campus facility management. Secondly, extensive literature review on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 (PI) for the educational facilities has been conducted to classify PI types and complement FM_KS. Finally, specific guideline and PIs developed by APPA which is globally well-known association in the field of FM for higher education facilities has been added to the combined PI which is the mixed form of FM_KS and PIs from the previous literature. This research provides campus facility managers and FM outsourcing service providers with framework in the form of PI to support future directions of effective campus FM services.

재난관련 국내 간호연구 동향 분석 (Trends of Nursing Research on Disasters in Korea)

  • 이옥철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32-444
    • /
    • 2014
  •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past nursing studies related to disasters in Korea, and to identify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Methods: Fifty studies conducted from July 1995 to June 2014 were analyzed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disaster phase, disaster type, and research theme based on the four areas and 10 domains of the ICN Framework of Disaster Nursing Competencies. Results: The majority of studies were designed using quantitative methods (29). In disaster type, 12 studies explored natural disasters, and 14 explored manmade disasters. Disaster responders were the subject of 31 studies. In relation to research topics, the majority of studies were in the area of preparedness competencies of the ICN Framework (26). The studies were concentrated in the domain of education and preparedness (24). Conclusion: The total number of studies on disasters had increased over the years, while the topics failed to deal with all domains of the ICN Framework.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uture direction of nursing research on disasters is to be vitalized through the flexibility of research design, systematic approach based on global perspectives, research on emergency responders and vulnerable people, and research relating to community-based disaster nursing.

효율적인 블록체인 교육을 위한 실습프레임워크 설계 (Design of Lab Framework for Effective Blockchain Education)

  • 김도규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147-154
    • /
    • 2020
  • 상이한 특성을 가진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대한 전체적인 동작을 통합적으로 교육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현재 블록체인의 개념과 동작을 위한 교육은 대부분 비트코인, 이더리움과 같은 퍼블릭 블록체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기업환경에서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통하여 기업 데이터에 접근통제를 하기 때문에 하이퍼레저패블릭(HLF)과 같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이 활용되고 있다. HLF 기반으로 교육하는 경우에는 피어, 오더러, 채널 등 퍼블릭 블록체인에 없는 다양한 구성요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요소의 기능과 동작에 대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위하여 실습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프레임워크은 HLF 네트워크제어 체인코드제어 탈중앙화소프트웨어(Decentralized Application, dApp) 제어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워크을 통하여 네트워크을 구성하고 체인코드의 배포 및 활성화 후 dApp 실행과정을 단계적으로 확인하였고 블록체인 서비스를 위한 전체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였다. 또한 향후 네트워크의 확장 등에도 전체 흐름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미래인터넷을 위한 통합적인 Name-Identifier-Locator 프레임워크 설계 (Design of A Unified Name-Identifier-Locator Framework in Future Internet)

  • 임현교;김경한;허주성;한연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38-340
    • /
    • 2016
  • 최근 사물인터넷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미래인터넷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각기 다른 사물인터넷을 연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네트워크 인프라가 필요하며, 사용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네트워크 자원에서 요구하는 서비스나 콘텐츠 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을 식별하기 위한 통일된 식별 체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미국에서는 NDN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이외에도 MobilityFirst, XIA와 같은 프로젝트성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연구들을 보완하고 새로운 미래인터넷에 확장 가능한 통합된 Name-Identifier-Locator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