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cending life line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완강기 및 간이완강기의 인지·사용능력에 따른 숙박시설의 피난안전성 평가 (Assessment of Refuge Safety in Accomodations According to Awareness and Usability of Descending Life Lines and Simple Descending Life Lines)

  • 한동규;공하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11-21
    • /
    • 2019
  • 이 연구는 완강기 및 간이완강기의 설치 및 유지관리에 대해 지도 감독해야 할 책임이 있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숙박시설의 화재발생시 완강기, 간이완강기의 인지 및 사용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완강기와 간이완강기를 구분할 수 있는 능력 비교에서 일반 행정직공무원 중 여성공무원의 대다수가 간이완강기 구분능력이 없기 때문에 이들의 완강기 구분 능력을 향상시켜서 유사시 추락 등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안전체험관 등을 통해 정기적으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둘째, 성별과 직업별 간이완강기의 재사용여부를 직업별로 확인한 결과 소방공무원 절반정도를 제외한 대다수의 공무원이 간이완강기의 재사용 능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숙박시설의 각 실별로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피난 기구 중 간이완강기는 제외하고, 연속적으로 사용가능한 완강기만을 설치할 수 있도록 관련 법률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셋째, 완강기 최대부하 인지 능력은 소방공무원 직무별로 구조대원이 가장 높았으며, 소방행정요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소방행정요원의 인지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소방학교에서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지휘역량 교육 등 각종 집합교육에서 완강기에 대한 이론 및 실무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실제 목격한 장소는 숙박시설이 가장 높게 나타나서 다른 시설보다 숙박시설 화재를 가상하여 완강기 체험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교육효과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소방용 완강기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조사 연구 (A Survey Study on the Learner's Recognition about the Descending Life Lines for the Fire Emergency Escaping Purpose)

  • 이원주;이창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2호
    • /
    • pp.73-81
    • /
    • 2018
  • 본 논문은 소방용 완강기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소방용 완강기 설치현황에 대한 인지, 교육경험, 사용방법의 이해 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그리고 세종특별자치시라는 지역 범위를 설정하고, 해당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30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 20.0 win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설문 분석결과, 연구대상자의 72.64%는 소방안전교육을 받았지만, 이 중 39.46%는 소방용 완강기에 대한 내용이 없는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용 완강기에 대한 소방안전교육의 경험이 있는 연구대상자도 대부분 이론 중심의 강의교육을 수강한 것으로 나타났다(79.26%). 소방용 완강기에 대한 사용경험은 연구대상자의 81.43%가 사용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방법의 이해는 평균 $3.50{\pm}1.04/5.00$를 보였다. 본 논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정책적 제언은 '소방안전교육에서 소방용 완강기에 대한 교육내용을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소방용 완강기에 대한 체험식 교육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Ten Year Literature on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Interventions Against Cancer: a Terms Analysis

  • Feng, Rui;Chai, Jing;Wang, De-Bin;Xia, Yi;Cheng, Peng-Lai;Dai, Zhao-Y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0호
    • /
    • pp.5171-5176
    • /
    • 2012
  • We here performed a systematic review of PBIC literature using terms analysis in a hope of both identifying potential trends and patterns and exploring methods leveraging traditional literature reviews in this specific area. Articles meeting inclusion criteria were retrieved from PUBMED and translated into dichotomized article records representing presence or non-presence of MeSH terms and a metric consisting of numbers of times of co-occurrence between all pairs of terms identified using a self-designed program. The occurrence of and relations among the terms were calculated and visualized using Excel2007 and UCINET respectively. A total of 1,742 terms were identified from 997 articles retrieved. Put in a descending order, the lines representing the times of term occurrence formed a typical hyperbolic curve; when plotted along the x-axis of whole MESH terms, the lines clustered within four specific regions. Comparison of term occurrence between 2002 and 2011 revealed priority changes in population and subjects (from general groups to priority groups), intervention approaches (from medicine to exercise and psychotherapy), methodology and techniques (from cohort studies to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outcomes (from health and mental health to quality of life, depression etc.). Networks of the terms featured a number of closely linked groups of topics including method and questionnaires, therapy and outcomes, survival management, psychological assessment and intervention, behavioral intervention (individual and community oriented). Terms analysis revealed interesting trends and patterns about PBIC publications and both the analysis methods and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s.

소방용품 내용연수 제도화 정책방안 (Policy Direction for Fire Products Life Expectancy Legislation)

  • 백창선;박인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1호
    • /
    • pp.111-120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외의 소방용품 내용연수 제도와 소방안전관리자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소방용품 내용연수 제도화에 대한 정책 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일본, 미국, 한국의 소방용품 내용연수 제도를 분석하여 권장 내용연수를 도출하고, 전국 17개 시도권역 소방안전관리자 660명을 대상으로 소방용품 내용연수 제도화 필요성, 32종의 소방용품의 내용연수 관리 및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를 분석한 후 소방용품 내용연수 정책실행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소방안전관리자 설문 조사 결과, 소방용품 법제도화에 대하여 79.3% 소방안전관리자가 찬성하였으며 소방용품 품목별 제도화 필요성에 대해서는 분말소화기(77.3%), 감지기(44.6%), 소방호스(44.4%), 가스계소화기(40.6%), 완강기(36.2%), 유도등(35.9%), 공기호흡기(35.9%), 주거용주방자동소화장치(33.9%), 자동확산소화장치(33.9%), 비상조명 등(31.2%), 가스누설경보기(30.7%) 등이 30%를 상회 수준으로 내용연수 관리가 필요하고, 특히 분말소화기(60.0%), 감지기(20.0%), 소방호스(18.8%)는 최우선 도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소방용품 내용연수는 대부분 10년 전후 경과하면 교체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내용연수 제도화 소방용품 품목을 선정하고 단계적 정책 도입방안을 제안하였다.

교원 대상 학교안전관리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 요구분석 (A Needs Assessment for Teachers' School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 황영아;강형구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0-80
    • /
    • 2017
  • Purpose: Recently, various accidents and incidents occurred in our school environment, making it necessary to enhance teachers' competency in school safety management. To this e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needs of teachers related to school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development.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existing teacher's task analysis related to school safety management was revised and surveys were conducted to measure teachers' present level, expectative level and importance of the items based on the task analysis. To analyze the data, Borich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used. Results: In the t-test between the teachers' present level and expectative level about school safety management, all 39 tasks were related (p<.001). The priorities in developing teachers' competency in school safety management were found to be the 6 tasks listed below: 'To deal with each type of accident,' 'To implement CPR and defibrillator,' 'To use fire extinguishers and fire hydrants,' 'To use descending life lines,' 'To give first aid,' and 'To cope with elevator accidents.' Conclusion: By utilizing the results of the teacher's competency and need assesment as components, teachers' training programs can be made more applicable to the school setting. In addition, more experience-based program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teachers' training programs in order to apply the priority found from the teacher's need assess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