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rmal excretio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4초

흰쥐를 이용한 IBP의 경구투여 및 피부도포 후 요중 대사물질 측정 (Determination of urinary metabolite of IBP after oral administration and dermal application to rats)

  • 민경진;조영주;차춘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7-77
    • /
    • 2002
  •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the urinary metabolite of IBP, one of the organophosphorus pesticides, as the biomarkers of exposure.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for 24 hours in metabolic cages after oral administration and dermal application of IBP to rats. Identification of the derivatized urinary metabolite was determined by GC/MS and excretion time courses of the urinary metabolite was analyzed by GC/FPD. Urinary metabolite o IBP, diisopropyl phosphorothioate, was detected in rats urine both after oral administration and dermal application of IBP. Parent compound was not detected in the experiment. In GC/MS, the mass spectral confirmation for diisopropyl phosphorothioate ion was identified at m/z 254. Diisopropyl phosphorothioate was excreted within 48 hours and 72 hours after oral administration and dermal application of IBP,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e same urinary metabolite of IBP was detected both in oral and dermal exposure. Generally, excretion of the urinary metabolite after oral administration was faster than after dermal application. It is suggested that urinary diisopropyl phosphorothioate could be used as the biomarkers of exposure to IBP.

Dermal Penetration Rate and Pharmacokinetics of the Insecticide Methidathion in Sprague-Dawley Rats

  • Sung, Ha-Jung;Kim, Jeong-Ha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7권4호
    • /
    • pp.317-323
    • /
    • 2001
  • The skin penetration rate of methidathion in vitro and pharmacokinetics of methidathion in vivo were studied with male Sprague-Dawley rats by dermal treatment. The in vitro skin penetration rates for Sprague-Dawley rats of methidathion technical (50 mg, 100 ${mu}ell$) and emulsifable concentrate (EC,40mg, 100${mu}ell$) were determined as 18.4 $\mu\textrm{g}$/c $m^2$/h (RSD : 6.5) and 18.5 $\mu\textrm{g}$/c $m^2$/h (RSD : 3.2), respectively. Dose-related systemic exposure (AUC) was observed in rats after dermal treatment. The corresponding AUC, $T_{max}$, $C_{max}$, and $T_{1}$2/ of methidathion in plasma were 1.5$\mu\textrm{g}$.hr/ml, 6 h, 0.10 $\mu\textrm{g}$/ml, and 16 h, for 116mg/kg doses, 3.2 $\mu\textrm{g}$. hr/ml, 8 h, 0.12 $\mu\textrm{g}$/ml, and 23 h, for 232 mg/kg doses and 10 $\mu\textrm{g}$. hr/ml, 12 h, 0.32 $\mu\textrm{g}$/ml, and 20 h, for 1,160 mg/kg doses respectively. The urinary excretion of methidathion, estimated wing an equation derived from the in vitro skin penetration study was 0.24~0.35% of the absorbed dose. The concentration of methidathion in kidney was higher than that in liver. Dose-dependent absorption and excretion of methidathion without saturation was observed under in vivo experimental condition.n.n.

  • PDF

흰쥐를 이용한 profenofos의 경구투여 및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 측정 (Determination of Urinary Metabolite of Profenofos after Oral Administration and Dermal Application to Rats)

  • 민경진;조영주;이인선;차춘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0-25
    • /
    • 2002
  • 흰쥐를 이용하여 profenofos의 경구투여 및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과 뇨 중 대사물질의 시간별 배설량을 GC/MS로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rofenofos를 경구투여 후 뇨 중 대사물질은 4-bromo-2-chloropheno이며, GC/MS로 분석한 결과 4-bromo-2-chlorophenol는 m/z=208에서 분자이온을 추정하였다. Profenofos를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은 경구투여와 동일한 대사물질인 4-bromo-2-chloropheno이었다. 모 화합물이나 4-bromo-2-chlorophenol외 다른 대사물질은 검출되지 않았다. Profenofos를 경구투여 후 뇨 중 대사물질인 4-bromo-2-chlorophenol의 시간별 배설량은 12시간에 가장 많은 양이 배설되었다. 또한 48시간 내 95%가 배설되었고 72시간 이후는 대사물질이 배설되지 않았다. 한편 profenofos를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인 4-bromo-2-chlorophenol의 시간별 배설량은 12시간에 가장 많은 양이 배설되었으며, 48시간 내 87%가 배설되었고 96시간 이후는 대사물질이 배설되지 않았다. Profenofos 의 뇨 중 대사물질인 4-bromo-2-chlorophenol는 profenofos의 생체모니터링 지표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며, 뇨 중 4-bromo-2-chlorophenol의 시간별 배설량을 측정한 결과 경구투여보다 피부도포 후 배설이 지연된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흰쥐를 이용한 Methidathion의 경구투여 및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 측정 (Determination of Urinary Metabolites of Methidathion after Oral Administration and Dermal Application to Rats)

  • 민경진;김화선;차춘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53-160
    • /
    • 2003
  • Methidation을 흰쥐에 경구투여 및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을 GC/MS로 분석하였고, 투여경로에 따른 뇨 중 대사물질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뇨 중 dialkyl phosphte의 시간별 배설량과 그 외 대사물질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Methidathion을 경구투여 및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을 측정한 결과 유기인계 농약의 공통적인 대사물질인 dialkyl phosphtes 중 세 가지 물질인 DMP, DMTP 및 DMDTP로 동일하게 배설되었다. GC/MS로 주요조각이온을 확인한 결과 DMP는 m/z=153, 127, 109, DMTP는 m/z=198, 142, 109 그리고, DMDTP는 m/z-158, 125, 93에서 분자이온을 확인할 수 있었다. Methidathion을 경구투여 및 피부도포 후 뇨 중 dialkyl phosphtes의 시간별 배설량을 측정한 결과 경구투여의 경우 DMP는 12시간 이내에 79.2%, DMTP는 24시간 이내에 93.3% 그리고, DMDTP는 12시간 이내에 83.0%가 배설되었고, 피부도포의 경우 DMP는 24시간 이내에 71.1%, DMTP와 DMDTP는 48시간 이내에 각각 82.8%, 87.7%가 배설되었다. 이 결과 경구투여 한 실험에서는 48시간 이내에 뇨 중 dialkyl phosphtes가 완전히 배설되는 반면 피부도포 한 실험에서는 각 개체의 상태에 따라 대사물질들이 늦게는 168시간까지 배설이 지연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흰쥐에 methidathion을 경구투여 및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을 측정한 결과 dialkyl phosphate 중 DMP, DMTP로 검출되었으며, 경구 투여와 피부도포 시 뇨 중 대사물질의 차이는 없었으나, 경구투여보다 피부도포의 경우 배설이 더 지연되었다. 결론적으로, methidathion의 뇨 중 대사물질인 DMP, DMTP 및 DMDTP는 이 농약의 생체모니터링 지표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진드기의 수분조절 생리와 진드기 방제전략 (Osmoregulatory Physiology in Ixodidae Ticks: An Alternative Target for Management of Tick)

  • 말도나도-루이즈 폴리나;김동흔;박윤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91-100
    • /
    • 2022
  • 진드기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원생동물 및 균류를 포함한 다양한 병원체를 전달할 수 있는 감염병매개체이다. 진드기는 불리한 환경조건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흡혈이 필수적인 절지동물의 진화적 산물로써 비흡혈 기간이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에도 생존이 가능하다. 특히, 높은 온도와 낮은 습도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는 수분 조절 메커니즘과 내열성의 생리적 특징은 진드기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도록 한 중요한 요인이다. 진드기의 침샘, 말피기관, 후장 그리고 뇌를 포함하는 여러 기관이 관여하는 물과 이온의 획득 및 배출은 복합적인 메커니즘에 의해 조절된다. 진드기가 수분을 확보하는 주요 경로는 흡혈과정 또는 공기 중 수증기를 직접 포집하는 방식이며, 이와 더불어 진드기가 자연조건에서 맺힌 물방울을 직접 마시며 수분을 보충한다는 것이 최근 본 연구진의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물방울에서 획득된 수분은 진드기 침샘의 포도상 부위(유형 I) 또는 중장을 통해 체내로 흡수된다는 것이 형광물질 추적을 통해 확인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진드기 방제 및 병원체 전파 억제를 위한 전략 개발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종설에서는 진드기 방제를 위한 잠재적 표적인 진드기의 수분조절 및 표피 배설의 생리적 메커니즘을 종합적으로 다룬다.

The effect of L-carnitine in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by human dermal fibroblasts

  • Yoon, Eun-Jeong;Lee, Kyoung-Eun;Sim, Kwan-Sup;Lee, Bum-Chun;Pyo, Hyeong-Bae;Choe, Tae-boo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I
    • /
    • pp.12-25
    • /
    • 2003
  • L-camitine ($\beta$ -hydroxy-${\gamma}$ -trimethyl-ammoniumbutyric acid) is a small water-soluble molecule important in mammalian fat metabolism. It is essential for the normal oxidation of fatty acids by the mitochondria, and is involved in the trans-esterification and excretion of acyl-CoA esters. In this pap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d L-camitin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 vitro MMP inhibition and activity and expression of UVA-induced MMP 1 in human skin fibroblasts. Fluorometric assays of the proteolytic activities of MMP-l were performed using fluorescent collagen substrates. ELISA (enzyme linked immuno sorbent assay), gelatin-substrate zymography, and RT-PCR ELISA techniques were used for the effects of L-camitine on MMP expression and activity, MMP mRNA expression in UVA irradiated fibroblast. L-camitine inhibited the activities of MMP-l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the $IC_{50}$/ values calculated from semi-log plots were 2.45mM, and L-carnitine showed strong inhibition on MMP-2 (gelatinase) activity in UVA irradiated fibroblast by zymography. Also, UVA induced MMP expression was reduced 40% by treated with L-carnitine, and MMP-l mRNA expression was reduced dose-dependent manner. Therefore L-carnitine was able to significantly inhibition the MMP activity, regulation of MMP expression in protein and mRNA level. 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L-carnitine may be useful as new anti-aging cofactor for protection against UVA induced MMP expression and activity.

  • PDF

L-카르니틴의 사람피부에 대한 항노화 효과 (Anti-aging Effects of L-Carnitine on Human Skin)

  • 이범천;최태부;심관섭;이근수;박성민;이천일;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93-397
    • /
    • 2004
  • L-Carnitine $({\beta}-hydroxy-\gamma-trimethyl-ammoniumbutyric{\;}acid)$은 분자량이 적은 수용성 분자로서 세포 내 지방 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지방산의 운반 분자인 아실-코에이(acyl-CoA)가 미토콘드리아의 세포막을 투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방산은 CoA로부터 카르니틴으로 운반되어 미토콘드리아에서 작용한다. 노화와 연관된 L-carnitine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MMP inhibition assay와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MMP 발현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MMP inhibition assay는 콜라겐을 이용한 형광분석법을 실시하였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MMP 발현양은 ELISA로 정량하였으며 그 활성은 젤라틴 기질 zymography로 확인하였고 MMP mRNA 발현양은 RT-PCR ELISA로 확인하였다. 또한, 사람을 이용한 임상 실험을 통하여 주름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L-carnitine은 농도 의존적으로 MMP 저해 활성을 나타났으며 $IC_{50}$값은 2.45 mM이었으며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현된 MMP 활성을 강하게 저해하였다.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현되는 MMP에 대해 단백질의 양적인 변화는 $40\%$ 정도 감소되었으며 L-carnitine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MMP mRNA의 발현양은 감소되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통하여 L-carnitine은 MMP 효소의 저해능 뿐만 아니라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되는 MMP 단백질 발현과 mRNA 유전자 수준에서의 조절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사람을 이용한 임상 실험에서는 $1\%$ 카르니틴을 함유하는 화장품을 약 3개월간 사용 후에는 유의적으로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L-Carnitine은 광노화에 관여하는 MMP 활성과 발현 조절 메커니즘을 통하여 광손상에 대응하는 항노화 소재로서의 화장품에 매우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