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pth filtration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9초

시판 보건용 마스크의 인터넷 조사 및 비교 착용 실험 (An Internet Survey and Comparative Wearing Test of Commercial Health Masks)

  • 이경화;송하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417-432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enhance the comfort of health masks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online surveys, and wearing tests on commercial health mask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below. In-depth interviews revealed that the most comfortable mask styles were ranked as follows: Beak-1 (B-1) & Beak-2 (B-2) style > Flat style > 3-Horizontal foldable (3H) style. Men generally preferred flat style masks, while women favored beak-shaped masks. The internet survey results showed that 77.8% of surveyed brands offered a variety of mask styles, with 3H and B-2 masks being the most common. Different brands provided masks with different filtration levels, ranging from KF-AD to KF94. Size consistency also varied among brands, with flat masks having relatively consistent dimensions and B-2 masks showing significant size differences. Wearing tests indicated that 3H and B-1 masks were highly satisfying for categories like "itchiness," "unpleasant odor," and "mask slipping." Conversely, flat masks scored the highest satisfaction in classifications such as "stiff," "heavy," "thick," "hot while wearing it," "moisture accumulation," "breathing discomfort," "short ear straps," and "itchiness". Overall, the flat style, B-1, and B-2 yielded higher satisfaction levels, while 4-Horizontal foldable (4H) and 3H garnered lower satisfaction scores on wearing tests.

BNR공정 처리수의 여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ltration of BNR Process Effluent)

  • 김성용;범봉수;조광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895-905
    • /
    • 2000
  • 본 연구는 여재가 모래와 무연탄인 복층 중력식 급속여과법으로 BNR(biological nutrient removal) 공정 유출수를 처리할 때 여과율의 변화에 따른 오염물질 제거효율 및 여층 깊이별 처리수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Pilot scale의 4-stage BNR 공정 유출수를 200, 300 및 400 m/day의 여과율로 급속여과시킨 결과, 처리수는 2.6 NTU 이하의 탁도를 나타내어 우리나라의 중수도 제한수질인 5.0 NTU를 만족하였다. 여과율이 200, 300 및 400 m/day로 증가함에 따라 SS 제거효율은 각각 80.6, 75.4 및 68.9%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여과수는 모든 여과율에서 유입수의 수질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평균 1.3 mg/L의 SS 농도를 보였다. 생물학적 작용에 의하여 영양염류도 제거되었는데, 200, 300 및 400 m/day의 여과율에서 질산화효율이 각각 17.4, 18.8 및 14.3%, 그리고 탈질효율이 각각 32.3, 27.7 및 21.4%로, 질산화와 탈질이 동시에 일어났다. 여과주기의 후반기에는 여층 내의 DO가 결핍됨에 따라 인의 재용출이 일어남으로써 유출수의 T-P 농도가 유입수에 비하여 6.1~21.4% 증가하였다.

  • PDF

강변 여과 취수 지역 퇴적물의 철 화학종 추출 특성 (Iron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Sediment Samples from a River Bank Filtration Site)

  • 현성필;문희선;윤필선;김보아;하규철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9-138
    • /
    • 2013
  • 최근 들어 안정된 수자원 확보를 위해 하천수를 강변의 충적층을 통과시켜 취수하는 강변 여과수 개발이 각광을 받고 있다. 지표수 및 지하수와 반응하는 주변 충적층 퇴적물에 존재하는 철은 강변 여과 후 양수정을 통해 얻어지는 지하수의 수질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퇴적물-지하수-지표수의 상호 작용에 의한 철 화학종의 존재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창원시 대산면 낙동강변의 강변여과 부지에서 채취한 대수층 퇴적물 내에 존재하는 철 함유량을 퇴적물 심도 및 입자 크기에 따라 다양한 화학적 철 추출법을 통해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는 전체적으로 지표로부터 20 m 부근까지는 2가철 및 총 철 함량이 전체적으로 감소하다 20 m 깊이 이하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육안으로 관찰되는 퇴적물 색깔이 지시하는 산화/환원 환경 특성과도 일치하였다. 한편, 퇴적물의 모래 부분보다 미사/점토 부분에서 추출법에 따라 2~10배의 철이 추출되었다. 그리고, 다양한 추출법 중 DCB 용액에 의해 가장 많은 철이 추출되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철 분석법으로 추출되는 철 함량 특성은 퇴적물 내에서 철의 용해 및 침전을 결정짓는 심도에 따른 산화/환원 조건의 좋은 지시자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식 신의 사구체 여과율 측정에서 정확한 감쇄 보정을 위한 신장 깊이 대표값 설정 (Determination of Representative Renal Depth for Accurate Attenuation Correction in Measurement of Glomerular Filtration Rate in Transplanted Kidney)

  • 오순남;김성훈;나성은;정용안;유이령;손형선;이성용;정수교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71-276
    • /
    • 2002
  • 목적: 저자들은 이식 신장의 깊이를 이식 환자에서 초음파로 실측한 후 오차를 최소화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신장 깊이의 대표값을 정하여 이식 신의 사구체 여과율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신장 이식술 직후 초음파검사와 신 신티그라피를 모두 시행 받은 이식 신 수여자 54명(남자 26명, 여자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음파 검사에서 측정한 신장 깊이를 이용하여 이식 신장 깊이의 전체 평균 값, 남 여 평균 값, 남 여 중앙값을 구하였고 이들을 이용해 Gates 법으로 산출한 각각의 사구체 여과율을 초음파로 구한 신장 깊이로 산출한 사구체 여과율 (이하 실측 사구체 여과율)과 비교하여 그 상관도를 구하였다. 또한 환자들의 크레아티닌 수치, 신장, 체중, 연령, 성별, 체표면적등에 따라 분류된 환자군 간에 실측 사구체 여과율과 남녀 중앙값을 이용한 사구체 여과율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t 검정과 ANOVA로 검정하였다. 결과: 이식 신장 깊이는 $3.20{\sim}5.96cm$까지 분포하며 남자에서 신장 깊이의 평균값과 표준 편차는 $4.09{\pm}0.65cm$이었고 여자에서는 $4.24{\pm}0.78cm$이었다. 남자 신장 깊이 중앙값은 4.36 cm이었고 여자에서는 4.14 cm였다. 신장 깊이의 남 여 평균값 보다 중앙값을 통해 구한 사구체 여과율이 실측 사구체 여과율에 더 잘 일치하였다. 중앙값을 이용한 사구체 여과율과 실측 사구체 여과율의 차이간은 환자들의 크레아티닌 수치, 연령, 성별, 신장, 체중, 체표면적등에 따라 분류된 환자군 간에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식 신의 사구체 여과율을 Gate법으로 측정할 때 이식 신장 깊이의 대표값으로 중앙값을 적용하면 간편하게 신뢰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시설원예 냉난방을 위한 온도차에너지 열원용 충적대수층 강변여과수 개발 (Riverbank Filtration Well Development for a Heat Source/Sink of Ground Water Heat Pumps)

  • 조용;이남영;이송이;문종필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71.1-171.1
    • /
    • 2010
  • Riverbank filtration wells have been developed to supply a heat source/sink of water in the alluvium aquifer to ground water heat pumps for cooling and heating of a green house. In order to look for an appropriate site to carry out the research, two sites of Jinju and Gumi areas were investigated. In the results of the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s, Jinju and Gumi areas have the alluvium aquifer in the depth of 6~17 m and 10~20 m under the ground respectively. Two boreholes have been drilled in each site of both areas. The averaged water level at Jinju site is about 3 m under the ground, and 3.5 m and 6.5 m of sandy gravel aquifer layers are existed in each site. While Gumi site has 10 m water level and 2.5 m and 4.6 m of sandy gravel aquifer.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1,000m^3$/day of water could be withdrawn at Jinju site rather than Gumi site.

  • PDF

안쓰라사이트 여재 원형도가 여과 효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nthracite Media Sphericity on Filtration Efficiency)

  • 정원석;최승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63-770
    • /
    • 2007
  • There are many design parameters affecting filtration efficiency such as filteration rate, media packing depth, size distribution, and so on. The sphericity, the ratio of the surface area of an equal volume sphere to the real surface area of the particles, is one of major physical characters of media. The effect of sphericity on the performance of anthracite filter has been investigated. Media from eight water treatment plants have been collected. The sphericity of each media has been calculated by using well known headloss equations such as Kozeny equation, Dahmarajah equation etc.. Columns packed with anthracite media having different sphericity have been used to compare headloss development, floc accumulation in the bed, particles in bed water, filtrate turbidities after backwash and so on. The repeated experiments have indicated that the sphericity of anthracite media may not have remarkable influence on the filter performance as it has been suspected. It also has been prospected in the experiment that the media of higher sphericity would store more particles in the bed and give better filtrate quality, if provided that the effective size and the size distribution of media would be the same.

막여과 정수장 배출수처리시설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Strategy for efficient operation on the backwash waste treatment in membrane filtration water treatment plant)

  • 정원채;유영범;이선주;문용택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79-489
    • /
    • 2014
  • Membrane backwashing waste shows seasonally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it has bad settleability differently from general backwashing waste in water treatment plant. When chemicals was injected to membrane backwashing waste, the settleability was better than chemicals was not injected. However, when settled lower sludge was not discharged, flowing sludge continuously was concentrated over a certain surface and floatation penomena occurred according to flowing velocity. When the lower sludge was discharged continuously in the thickener to prevent floatation penomena of turbidity materials, the depth of sludge surface was the least and the settleability increased.

Natural Organic Matter Removal and Fouling Control in Low-Pressure Membrane Filtration for Water Treatment

  • Cui, Xiaojun;Choo, Kwang-Ho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1-8
    • /
    • 2014
  • Natural organic matter (NOM) is a primary component of fouling in low-pressure membrane filtration, either solely, or in concert with colloidal particles. Various preventive measures to interfere with NOM fouling have been developed and extensively tested, such as coagulation, oxidation, ion exchange, carbon adsorption, and mineral oxide adsorption. Therefore, this article aims to conduct a literature review covering the topics of low-pressure membrane processes, NOM characteristics and fouling behaviors, and diverse fouling control strategies. In-depth explanations and discussion are made regarding why some treatment options are able to remove NOM from source water, but do not reduce fouling. This review provides insight for hybridized membrane processes with respect to NOM removal and fouling mitigation in water treatment.

다목적 여과저류지에서의 하상여과용 인공하천 설계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Artificial Stream for Riverbed Filtration in Multi-purpose Filtration Pond)

  • 손동훈;박재영;김승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536-543
    • /
    • 2011
  • 다목적 여과저류지에 하상여과를 적용하기 위한 인공하천의 최적설계를 찾기 위해서 하천수의 에너지경사와 Manning의 평균유속공식을 이용하여 물 흐름에 대한 수학적 모델을 수립하였고, Euler의 방법을 이용한 수치해법으로 해석하였다. 모델을 이용하여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한 모사를 수행함으로써 하상여과용 인공하천의 여러 설계요소를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면적이 100 ha인 강변저류지의 경우, 인공하천의 종단경사는 2/10,000, 하상에서의 침투율은 $2.5m^3/m^2-day$가 적당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경우 수심은 1 m 이내이고 하상에서의 Manning의 조도계수는 0.026 정도로 예측되었으며, 인공하천의 길이가 길수록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인공하천에 빠른 유속을 발생시킴으로써 하상여과에 수반하는 하상의 폐색을 방지하는 방법은 효율적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고, 낙차가 큰 보의 주변에서 본 설비의 효율이 더 좋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단이층 복합여과시스템의 소규모 파일롯 플랜트 적용성 평가 (Applicability Evaluation of Two-stages and Dual Media Filtration System by the Small-scale Pilot Plant)

  • 우달식;송시범;황병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857-86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겨울철 수온강하, 여름철 우천시 표류수 중의 고탁도 물질 및 봄, 가을철의 조류성장 시기 등을 고려하여 기존의 급속모래여과시스템을 이단 이층 복합여과시스템으로 개량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기술은 기존 여과지의 개량 또는 신설 여과지 설계시 또 다른 부지의 확장 없이 기존 모래여과지를 대체하는 기술로서 하부집수장치 상부에 모래 + 활성탄 층을 두고 활성탄 층 상부에 일정한 간격의 역세 팽창층을 두고 전 처리의 개념으로 중간집수장치 위에 모래층을 두는 이단 이층 복합여과시스템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단이층 복합여과시스템을 경기도 S 정수장에 소규모 파일롯 플랜트를 설치하였으며, 탁도는 INTU 이하로 안정하게 유지되었고, TOC, THMFP, HAAFP는 약 90%정도 제거되어 S정수장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았으며, 이는 본 시스템의 하단에 충전된 활성탄층에서의 흡착 및 생물분해 효과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