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pression Behavior Test

검색결과 313건 처리시간 0.021초

대학생의 부정적 정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성별을 통한 폭발적 행동의 매개된 조절효과 (Influence of Negative Emotion on the Suicidal Ideation in University Student: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Explosive Behavior through Gender)

  • 정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775-784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부정적 정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을 통해 폭발적 행동이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644명(남자 322명, 여자 322명)을 대상으로 우울, 불안, 폭발적 행동 및 자살생각을 조사하였고, 매개된 조절효과는 위계적 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단순기울기검정 결과를 도식으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정적 정서, 폭발적 행동과 자살생각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부정적 정서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셋째, 부정적 정서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폭발적 행동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넷째, 폭발적 행동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별에 따른 부정적 정서와 폭발적 행동이 자살생각의 증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알레르기 질환 청소년의 정신건강: 2014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활용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with Allergic Diseases-Using Data from the 2014 Korean Youth's Risk Behavior Web-based Study)

  • 김재희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9-88
    • /
    • 2015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mental health and mental health-related factors of adolescents with allergic diseases. Methods: The subjects were 72,06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of whom were extracted from the 2014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Allergic diseases included asthma, allergic rhinitis and eczema. Mental health was measured by indicators such as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To compare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who have allergic diseases with that of those who don't, the study used ${\chi}^2-test$ and calculated odds ratio (OR)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In addition, the study used ${\chi}^2-test$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calculating OR and 95% CI,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mental health and allergic diseases and other variables. Results: Of 72,060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51.6% had allergic diseases(asthma 9.2%, allergic rhinitis 32.2%, eczema 23.9%). And 37.1% reported perceived stress, 26.6% depression, and 13.1% suicidal ideation. The adolescents with allergic diseases, compared to the adolescents without allergic diseases, were 1.26 times, 1.28 times, and 1.29 times more likely to experience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respectively. The mental health-related factors of adolescents with allergic diseases were school type, sex, socioeconomic status, and academic performance. Conclusion: The adolescents with allergic diseases had poorer mental health than the adolescents without the diseases. Further studies should be done to verify this. And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school-based intervention programs for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with allergic diseases need to be developed.

노인의 우울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 and Social Network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 in Elderly)

  • 이송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397-406
    • /
    • 2017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10월 12일부터 12월 20일까지이며 D시에 소재한 노인복지관 두 곳과 문화센터 1곳에서 65세 이상의 노인 286명을 임의표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0.0의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우울은 20.47점, 대인관계는 21.27점, 사회적 지지는 20.92점, 건강증진행위는 111.69점이었다. 우울은 대인관계(r=-.283, p<.000), 사회적 관계망(r=-.391, p<.000), 건강증진행위와 (r=-.611, p<.000)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대인관계와 사회적 관계망(r= .353, p<.000) 및 건강증진행위는(r=.372, p<.000)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우울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는 조절효과가 없었으나(${\beta}=.380$, p=.135)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가 있어(${\beta}=.448$, p=.011)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에서 완충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건강증진행위를 유도하고 지속하도록 하는 데 있어 사회적 지지를 활용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을 제안하는 바이다.

만성질환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보건 행태 요인 (Health Behavioral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 김선미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05-31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질환자들의 일반적 특성, 생활 행태 및 질환 특성 등의 보건행태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9~2020년에 진행된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7,359명 중, 만 19세 이상 만성질환자로서 기본 조사 항목들에 결측치가 없는 1,980명에 대한 보건행태요인과 우울 간의 카이제곱 검정 분석을 수행한 후, 유의적이었던 요인들을 독립변수로 이분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우울이 1.49배(CI: 1.086~2.044) 높았고 비흡연자보다는 흡연자에서 1.828 높았으며(CI: 1.285~2.561),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에 대한 영향력이 감소하였다. 특히 '스트레스가 없음' 대비 '대단히 많음'에서 교차비가 28.034(CI: 13.132~59.849)로서 스트레스를 느끼는 강도가 높은 경우 우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다음으로 주관적인 건강 인지와 수면시간의 영향력이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자 집단에서 우울을 개선하기 위해 실천해야 할 중요한 생활습관 및 보건행태요인의 우선순위를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리고 동반 이환의 수는 우울 발생에 유의적이지 않았기 때문에, 향후 만성질환 종류별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파악하고 환자별 맞춤형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시설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이행 정도와 예측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Elderly Living in an Institution)

  • 송미령;유수정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01-309
    • /
    • 2007
  •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institutionalized elderly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se behaviors.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107 elders in 6 institutions in Chungnam province from March to November, 2007. Data was collected by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at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depression, social support,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scal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 Windows 14.0 program includ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ccording to marital status, religion, perceived economic status and health status. Depression, social support, ADL and self-efficacy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health promoting behaviors. Powerful predictor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re depression, social support, ADL and self efficacy. Conclus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a nursing intervention to enhance health promoting behaviors is needed for elderly living in an institution in order to reduce depression and to increase social support, ADL and self efficacy.

  • PDF

대도시 저소득층 지역사회 노인의 영양 위험도와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Nutritional Risk and Its Contributing Factors in the Low-income Elderly in Urban Areas)

  • 양숙자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92-403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nutritional status of low-income elders in urban areas and factors affecting their nutritional risk. Methods: A cross-sec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The subjects were 300 elders selected from home visiting clients of DongJack Public Health Center.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containing questions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and disease. dietary pattern. Nutritional Screening Initiative. Geriatric Depression Scale and Barthel Index for AD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Results: Of the subjects, 63% had high nutritional risk, 21.3% moderate nutritional risk, and 15.7% good nutritional risk. NSI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conomic statu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medication, dental health, depression. regularity of diet and meal with fami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depression, subjective health condition, dental health and regularity of diet and meal with family explain 38.1% of nutritional risk.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valuate nutrition status and to control nutritional risk factors such as depression, dental health, regularity of diet and meal with family for improving the health of the low-income elderly.

  • PDF

청소년 음주행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Alcohol Consumption Behavior of Adolescents)

  • 안정선;김희경;최은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5-65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lcohol consumption behavior of adolescents to provide basic data for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health management and prohibit alcohol consumption. Method: The subjects were 306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K city in Chungnam province from April 1 to 20th, 2002. The instruments used were the alcohol consumption behavior scale, that is the drinking intensity score, and developed by Shin(1998)'s scale of drinking problem, refusal self-efficacy scale by Aas et. al.(1995), alcohol expectancy by Goldman et. al. (1989), TPQ scale by Cloninger(1991), depression scale by Zung(1974), family cohesion scale by Olson et. al. (1983).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SPSS & SAS program. Result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alcohol consumption behavior was the influence of friends (drinking everyday) (17.0%). A combination of alcohol expectancy (8.0%), influence of friends (4.0%), father's influence (2.0%), depression(2.0%), refusal self-efficacy (1.0%), personality of harm avoidance(1.0%), and monthly pocket money (2.0%) accounted for 38.6% of the variance in alcohol consumption behavior. Conclusion: From the results, we recommend to use the database that develops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decreasing the alcohol consumption behavior including the influencing factors in university students.

  • PDF

한국 기혼여성과 이민 기혼여성의 정신건강 도움추구행동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Mental Health Help-Seeking Behavior in Korean and Immigrant Married Women)

  • 강문희;이지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344-353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 기혼여성과 이민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도움추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비교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은 D 광역시에 거주하는 21-45세의 기혼자인 한국여성 110명과 이민여성 91명 총 201명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7월 1일에서 8월 3일까지였으며,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version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chi}^2$-test, t-test, ANOVA, ANC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정신건강 도움추구행동은 한국여성에서 우울, 정신질환에 대한 신념,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요구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이민여성에서는 한국어 유창성, 정신질환에 대한 신념,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결과, 정신건강 도움추구행동 영향요인은 한국여성에서는 정신질환에 대한 신념으로 나타났으며, 총 설명력은 10.5%이었고, 이민여성에서는 한국어 유창성, 정신질환에 대한 신념, 사회적 지지로 나타났으며, 총 설명력은 59.0%였다. 따라서 추후 대상자를 확대하여 정신건강 도움추구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다양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본 연구결과에서 유의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기혼여성의 정신건강 도움추구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의 개발을 제언한다.

노인 허약 예방프로그램이 경로당 이용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체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lderly people's Frail prevention program on subjective health status, depression, physical fitness and quality of life for in Senior Center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 장경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47-58
    • /
    • 2017
  • 본 연구는 J시 보건소의 노인 허약 예방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경로당 이용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체력 및 삶의 질 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시차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는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으로 총 43명으로 이 중 실험군 22명, 대조군 21명 이었으며, 연구기간은 2015년 9월 1일부터 10월 16일까지 8주간, 주 2회 허약노인 예방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x^2-test$와 t-test 등으로 분석하였다. 허약노인 예방프로그램 적용 후 주관적 건강상태(t=-0.35, p=.024), 우울(t=2.76, p=.035), 체력 중 오른손의 압력(t=-3.10, p=.004)과 허리 유연성(t=-2.13, p=.039) 그리고 삶의 질(t=4.36, p<.001)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사회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위한 허약 예방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체력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에 대한 한약치료, 인지행동치료 및 인간중심상담치료 병행 1예 보고 (A Case Report of Concurrent Korean Herbal Medicine Treatment, Cognitive Behavior Therapy, and Person-centered Counseling Therapy for Anorexia Nervosa)

  • 허미숙;김환;서영경;양창섭;이미영;장익순;정인철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95-206
    • /
    • 2017
  • Objective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ncurrent therapy with cognitive behavior therapy and person-centered counseling in addition to general Korean herbal medicine treatment for a patient with anorexia nervosa. Methods: A patient diagnosed with anorexia nervosa was treated with Korean herbal medicine treatment, cognitive behavior therapy, and person-centered treatment. The results were evaluated through a feeding interview, self-checklist,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InBody test. Results: After the treatment period, the treatment effects such as improvement of dietary restriction and elimination behavior, weight gain, and reduced depression were confirmed.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concurrent therapy together with cognitive behavior therapy, person-centered counseling, and general Korean herbal medicine treatment is effective on patients with anorexia nervo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