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oxyribose method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8초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rape-Seed Extracts Prepared from Different Solvents

  • Chnng, Hae-Kyung;Choi, Chang-Sook;Park, Won-Jong;Kang, Myung-Hwa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6호
    • /
    • pp.715-721
    • /
    • 2005
  • Antioxidant activities of grape seeds extracted with various solvent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total phenol and flavanol content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following lipid peroxidation, 2-deoxyribose degradation, SOD-like activity, 2,2'-azino-bis(3-ethylbenzthiza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scavenging ability, and electron-donating ability using 1,1-diphenyl-2-pycryl hydrazil (DPPH) method. Total phenol and flavanol contents of mixted-solvent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single-solvent extracts, with the mixing ratio of 17:3 (ethyl acetate: water) (EW) showed the highest contents. Antioxidant activities (%) of TBARS following phosphatidylcholine peroxidation were 14, 45, 45, 7, 4, 25, 21, 23, and 20% for ascorbic acid (AA), butylated hyroxytoluene (BHT), quercetin (Q), acetone extract (AT), ethyl acetate (EA) extract, methanol (MeOH) extract, 4:1 (EA) extract, 9:1 (EW)-extract, and 17:3 EW extract,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ies for 2-deoxyribose degradation were 5, 80, 87, 78, 56, 73, 64, 60, and 75% in AA, BHT, Q, AT, EA, MeOH extract, 4:1 EW extract, 9:1 EW extract, and 17:3 EW extract, respectively. MeOH grape seed extract showed distinctly stronger electron-donating activity than other solvent extracts.

Maltol, an Antioxidant Component of Korean Red Ginseng, Shows Little Prooxidant Activity

  • Suh, Dae-Yeon;Han, Yong-Nam;Han, Byung-Ho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112-115
    • /
    • 1996
  • Some antioxidant phenolic compounds exhibit prooxidant activity mainly due to their abilities to reduce $Fe^{3+}\; to\; Fe^{2+}.$ Reducing ability and prooxidant activity of maltol, an antioxidant component of Korean red ginseng, were compared with those of pyrogallol. Maltol at 2 mM did not appreciably reduce$ Fe^{3+}\; to\; Fe^{2+}$ and also failed to reduce nitroblue tetrazolium. Stimulation of hydroxyl radical mediated-deoxyribose degradation by pyrogallol was maximal at 60 .mu.M. Maltol stimulated the deoxyribose degradation to a much less extent, and a similar stimulatory effect was observed at a concentration of more than 100-fold higher than that of pyrogallol. The stimulatory effect of maltol reached a plateau over 1 mM, suggesting the removal of hydroxyl radicals by excess maltol. In bleomycin-$Fe^{3+}$-DNA assay, maltol at 2 mM produced a 2.5-fold increase of the iron-bleomycin-dependent DNA degradation over the basal value, whereas pyrogallol at 10 .mu.M accelerated DNA degradation by ca. 10-fold. Furthermore, maltol inhibited $Fe^{2+}$-stimulated DNA degradation by bleomycin.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ed that maltol is an antioxidant with little prooxidant activity.

  • PDF

대계 약침액의 항산화 효능 (Antioxidant Property of Aqua-Acupuncture Solution from Circium japonicum)

  • 이정주;문진영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2권4호
    • /
    • pp.57-65
    • /
    • 2005
  • 대계는 전통 한의학에서 약용 물질로 널리 쓰이고 있으므로, 대계의 약침을 조제하여 항산화적 활성을 검증해 보았다. 실험의 재료로 쓰인 대계는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속 한방 병원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경상북도 경주), 이를 약침액으로 조제한 후 동결 건조 방법으로 5.1 %의 분말을 회수 하였다. 대계 약침액의 항산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자유기의 소거능은 Gyamfi et al. 의 방법을 따랐고, superoxide radicals $(O_2^-{\cdot})$ 소거능은 Gotoh et al.의 방법을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Hydroxyl radicals의 직접적인 소거능과 iron ions 사이의 관계는 deoxyribose assay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1) Non-site-specific scavenging assay (hydroxyl radicals, OH) 및 2) Site-specific scavenging assay (chelate iron ions) 그리고 3) 전산화 효과에서 모두 대계 약침액은 농도 의존적인 저해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pro-oxidant 실험에서는 산화를 촉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hydorxyl radical에 의하여 매개되는 DNA의 분절 효과를 적절하게 방어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대계 약침액은 산화적 스트레스를 직접적으로 방어 하고, 다양한 산화적 손상에 의한 병증을 예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생약재 추출물의 hyaluronidase 저해 및 라디칼 소거 활성 검색 (Screening of Hyaluronidase Inhibitory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vitro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 Extracts)

  • 최수임;이윤미;허태련
    • KSBB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282-28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유용한 물질 을 검색하기 위해 40여 가지 생약재를 에탄올 추출하여 H HAase 억제 및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 HAase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I mg/mL의 농도에서 황기, 두충, 오미 자, 황금, 오가피, 목과, 목단피, 산사가 50% 이상의 저해활 성을 나타내었고, 이들에 대하여 n-hexane, chloroform, ethyl a acetate, water로 순차적으로 용매분획하여 활성을 측정한 결 과, 모든 시료의 ethyl acetate와 water 분획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능과 F Fenton 반응에 의해 발생한 hydroxyl radical에 대한 소거능으 로 평가하였다 .. DPPH 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복분자, 목단피, 백작약, 차전자, 마가목 에탄올 추출물이 I mg{mL 놓도에서 90% 이상으로 대조군으로 이용한 BHA와 Q - -tocopherol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 2-deoxyribose 산화 법에 따른 hydroxyl 라디칼 소거활성에서 대부분의 에탄올 추출물 시료에서 모두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활성올 갖는 시료에 대하여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linoleic a acid와 phosphatidylcholine liposome 기질 모두에 대하여 오미 자 추출물은 가장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해조류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eaweeds)

  • 김병목;전준영;박영범;정인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1097-1101
    • /
    • 2006
  • 본 실험에는 강원도의 대표적인 갈조류로 재래종다시마, 괭생이모자반, 그리고 수심이 비교적 깊은 곳에 식생하는 곰피와 구멍쇠미역, 녹조에 속하는 고리매,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많이 소비하고 있는 해조이면서 홍조류에 속하는 김과 동해안 특산 홍조류이며 지역민들이 즐겨 먹고 있는 지누아리의 해조 7종이 사용되었다. 이 7종의 해조로부터 75% 메탄올로 상온에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후 다시 메탄올에 용해하는 메탄올 가용성 분획(SF)과 메탄올에 녹지 않지만 물에 용해하는 극성이 강한 성질의 불용성 분획(ISF)으로 분리하여 각 분획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DPPH를 이용한 전자공여능과 hydroxy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효과를 분석하였다. 메탄올 가용성 분획은 구멍쇠미역, 고리매, 괭생이모지반이 $26.60{\sim}23.40%$로 높았으며 재래종다시마와 김이 9.26%와 8.66%로 낮았다. 메탄올 불용성이며 수용성 분획은 재래종다시마와 김에서 29.70%와 21.01%로 가장 높았으며 그 외의 해조에서는 지누아리 8.76%, 곰피 6.46%, 고리매 4.87%, 구멍쇠미역 2.05%, 괭생이모자반 1.95%로 아주 낮았다. DPPH를 이용한 전자공여능 평가와 hydroxy radical 소거능 평가에서 메탄올 가용성 분획이 높은 해조, 즉 구멍쇠미역과 괭생이모자반에서 우수한 항산화효과를 보였으며 이와 같은 평가결과는 총페놀 함량이 높은 것과 잘 일치하였다. 갈조류인 곰피는 전자공여능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hydroxy radical 소거능은 나타나지 않았다. 메탄올 추출물에서 재용해하지 않는 메탄올 불용성 분획은 실험에 사용된 7종의 해조 모두에서 총페놀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자공여능과 hydroxy radical 소거능 평가에서 효과를 전혀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해조의 항산화효과는 메탄올에 용해하는 성분이 강한 항산화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효과는 페놀 화합물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사료된다.

밤 삽피의 페놀산 조성과 항산화 활성 (Phenolic Acid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Chestnut Endoderm)

  • 김영찬;김미연;정신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3호
    • /
    • pp.162-167
    • /
    • 2002
  • 밤 삽피의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밤 삽피로부터 유리형(EPA), 에스데르형(EPA), 결합형(BPA) 페놀산 획분을 분리하였다. 각 획분의 수율은 유리형 0.794%, 에스테르형 1.236%,결합형이 1.937%였으며 이중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에스테르형이 65.19%로 가장 높았다. Gas chromatography로 각 획분의 페놀산의 조성과 함량을 조사한 결과 유리형 획분에서 gallic acid(4.63%), ellagic acid(3.49%), salicylic acid(3.19%), gentisic acid(1.5%)가, 에스테르형 획분에서 gallic acid(13.4%), ellagic acid(11.6), protocatechuic acid(0.9%)가 주요 페놀산으로 확인 되었으며,결합형 획분에서는 gallic acid는 확인되지 않고 다른 획분에 비하여 sinapic acid(1.33%)가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들 획분의 항산화성을 DPPH 라디칼 소거능, hydroxyl radical 소거능,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 시험으로 조사한 결과 유리형, 에스데르형, 결합형 획분의 순으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Bacillus subtilis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감귤 가공부산물 추출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itrus By-Product Ferment Using Bacillus subtilis as Starter Extracts.)

  • 문영건;이경준;허문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42-14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Bacillus subtilis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감귤 가공부산물의 열수 추출액과 80% 메탄올 추출액을 가지고 항균활성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Table 3)를 살펴보면 우선 열수추출법으로 추출한 시료에서는 추출온도를 $40^{\circ}C$하여 추출한 실험구(Bacillus subtilis 첨가구)와 비교 실험구(Bacillus subtilis 미 첨가구) 20 mg/ml 농도에서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80% 메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한 시료에 결과(Table 4)를 보면 열수추출법에 의해 추출한 실험 결과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가 있다. 특히 $25^{\circ}C$에서 추출한 실험구에서 항균실험에 이용된 12종의 미생물 모두에서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고 있다. DPPH method에 의한 radical 소거활성을 보면 열수추출법(Fig. 2)에서는 Bacillus subtilis 이용하여 발효시킨 시료를 $40^{\circ}C$에서 추출하였을 경우 10 mg/ml 농도에서 합성 항산화 제인 BHT보다 높고 BHA와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20 mg/ml 농도에서는 BHA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80% methanol(Fig. 3)을 이용하여 Bacillus subtilis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시료를 $25^{\circ}C$에서 추출 할 경우 5 mg/ml 농도에서는 BHT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며, 10 mg/ml에서는 BHA보다 높은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으며, 20 mg/ml에서는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보다 훨씬 높은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가 있다. 2-deoxyribose oxidation method에 의한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을 보면 열수추출법으로 추출한 시료(Fig. 5)에서는 모든 시료에서 천연 항산화제와 합성 항산화제보다 높은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을 보이는 시료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Bacillus subtilis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시료를 $40^{\circ}C$에서 추출하여 20 mg/ml 농도로 실험하였을 때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Bacillus subtilis로 발효시키지 않은 시료 보다는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80% methanol을 이용하여 추출한 시료(Fig. 6)에서는 Bacillus subtilis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시료를 $25^{\circ}C$에서 추출 할 경우 5 mg/ml 농도에서 BHT 보다 높은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0 mg/ml의 농도에서는 BHA 보다 높고 천연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과 유사한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20 mg/ml에서는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 보다 훨씬 높은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