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maturation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31초

법랑모세포 분화와 성숙과정에서 OD314의 발현 (EXPRESSION OF OD314 DURING AMELOBLAST DIFFERENTIATION AND MATURATION)

  • 박주철;안성민;김흥중;정문진;박민주;신인철;손호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5호
    • /
    • pp.423-430
    • /
    • 2005
  • 법랑모세포는 법랑질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세포로, 법랑질의 유기기질을 분비하고 법랑질 석회화 과정에도 관여한다. 치아 발생과정에서 법랑모세포의 분화는 순차적인 상피-간엽 상호작용에 의하여 조절되나, 분화나 성숙과정의 정확한 기전은 아직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최근에 상아모세포에서 처음 발견된 OD314가 치아 발생과정에서 상아질을 형성하는 상아모세포 뿐 아니라 법랑모세포에도 발현된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쥐 하악 전치의 다양한 시기의 법랑모세포를 이용하여, 형태학적 분석과 in-situ hybridization에 의한 OD314 mRNA의 발현 그리고 OD314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OD314유전자의 법랑모세포 분화와 성숙과정에서의 역할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형태학적으로 법랑모세포는 분화 단계에 따라 분비 전단계 법랑모세포, 분비기 법랑모세포, 성숙기의 평탄끝 법랑모세포와 성숙기의 주름끝 법랑모세포로 구분되었다. 2. OD314 mRNA는 분비기의 법랑모세포에서부터 발현되기 시작하여 법랑모세포가 성숙해갈 수록 그 발현이 증가하였다. 3. OD314 단백질은 분비 전단계의 법랑모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고, 분비기의 법랑모세포에서는 세포질에 전체적으로 발현되었다. 성숙기의 평탄끝 법랑모세포와 주름끝 법랑모세포에서는 세포의 근심과 원심끝단에 OD314 단백질이 강하게 발현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OD314는 법랑모세포의 분화와 성숙과정에서 세포질 내부에서 특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NELL2 Function in Axon Development of Hippocampal Neurons

  • Kim, Han Rae;Kim, Dong Hee;An, Ji Young;Kang, Dasol;Park, Jeong Woo;Hwang, Eun Mi;Seo, Eun Jin;Jang, Il Ho;Ha, Chang Man;Lee, Byung Ju
    • Molecules and Cells
    • /
    • 제43권6호
    • /
    • pp.581-589
    • /
    • 2020
  • Neurons have multiple dendrites and single axon. This neuronal polarity is gradually established during early processes of neuronal differentiation: generation of multiple neurites (stages 1-2); differentiation (stage 3) and maturation (stages 4-5) of an axon and dendrites.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the neuron-specific n-glycosylated protein NELL2 is important for neuronal polarization and axon growth using cultured rat embryonic hippocampal neurons. Endogenous NELL2 expression was gradually increased in parallel with the progression of developmental stages of hippocampal neurons, and overexpression of NELL2 stimulated neuronal polarization and axon growth. In line with these results, knockdown of NELL2 expression resulted in deterioration of neuronal development, including inhibition of neuronal development progression, decreased axon growth and increased axon branching. Inhibitor against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dramatically inhibited NELL2-induced progression of neuronal development and axon growth. These results suggest that NELL2 is an important regulator for the morphological development for neuronal polarization and axon growth.

당뇨쥐 상악에서 발치후 즉시 식립 임플란트 주위골의 방사선 골밀도 (Radiographic Bone Density Around Immediately Placed Titanium Implant on the Extraction Socket of Diabetic and Insulin-Treated Rat Maxilla)

  • 박건현;박수현;이성휘;표성운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2권5호
    • /
    • pp.389-395
    • /
    • 2010
  • Purpose: Although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patients with controlled diabetes have similar rates of success for dental implants as healthy individuals, the use of dental implants in diabetic patients is controversial. In addition, the impact of diabetes on the healing of bone associated with immediately place dental implants is not completely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bone response to implants radiologically in uncontrolled and insulin-controlled diabetic rat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rats were divided into control, insulin-treated and diabetic groups. The rats received streptozotocin (60 mg/kg) to induce diabetes; animals in the insulin-treated group also received three units of subcutaneous slow-release insulin. Two titanium implants ($1.2{\times}3$ mm) were placed in the extraction socket of the maxillary first molars of the animals and were harvested at 3 days, 1, 2 and 4 weeks. The bone density was measured by digital radiography using gray-level analysis (histogram) in the regions of interest (ROI) at four points: two mesial and two distal to both sides of the implant.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sseointegration of the implants was impaired in the diabetic rats compared to the control and the insulin-treated rats. The radiographic evidence demonstrated marked destruction of bone around the implants in the diabetic group. Both the control and the insulin-treated groups had a significantly higher bone density on radiograph than the diabetic group from the 1 week of the experiment (P<0.05 for each compariso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the immediate placement of titanium implants in the maxilla of diabetic rat lead to delay in the maturation of bone adjacent to implants. It is expected that the reduced predictability of success of immediate implantation in patient with the uncontrolled diabetes.

ODAM과 BMPRIB가 법랑질의 석회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DAM and BMPRIB on Enamel Mineralization)

  • 박종태;조광희;배현숙;조영식;김흥중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5-61
    • /
    • 2011
  • 최근에 Odontogenic ameloblast-associated protein (ODAM)은 MMP-20의 발현을 조절하여 법랑모세포 분화와 법랑질의 석회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명확한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목적은 법랑모세포 분화와 법랑질의 석회화 과정에서의 ODAM의 생물학적 기능과 신호 전달 경로를 찾고자 하였다. Ameloblast-lineage cells (ALCs)를 이용하여 ODAM 재조합 단백질을 생성하고 ODAM 과발현 (ODAM overexpressing) 또는 ODAM 억제(ODAM silencing) 세포주를 만들었다. 세포들은 2주 동안 분화 배지에서 ODAM 재조합 단백질을 처리한 군과 처리하지 않는 군으로 나누어 배양하였다. ODAM의 신호 전달 경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ALCs에 BMP2와 BMP receptor 1B (BMPR-1B) 억제제인 BAMBI 재조합 단백질을 처리하였고, 또한 BMPR-1B siRNA 이용하여 BMPR-1B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단백질 발현은 western blot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석회화는 sense ODAM 과발현 세포와 ODAM 재조합 단백질을 첨가한 법랑모세포 세포주에서 증진되었다. 또한 ALP 활성화는 sense ODAM 과발현 세포와 ODAM 정제된 단백질를 첨가한 법랑모세포 세포주에서 뚜렷하게 증진되었다. 기관발생과 관련이 있는 BMPR-IB와 석회화 과정과 관련된 CBP2는 ODAM 과발현을 유도한 경우에는 발현이 증가되었으나, ODAM 발현을 억제시킨 경우에는 발현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상 실험의 결과는 법랑질 형성과정에서 ODAM이 법랑질 석회화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자가부식 접착제의 미세인장접착강도에 대한 시효처리 효과 (AGING EFFECT O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SELF-ETCHING ADHESIVES)

  • 박진성;김종순;김민수;손호현;권혁춘;조병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6호
    • /
    • pp.415-426
    • /
    • 2006
  • 자가부식 상아질 접착제의 중합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접착강도의 변화를 관찰하고, 중합률의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36개의 상하악 대구치를 Single Bond (SB, 3M ESPE, USA), Clearfil SE Bond (SE, Kuraray, Japan), Xeno-III (XIII, Dentsply, Germany), 및 Adper Prompt (AP, 3M ESPE, USA)를 적용하는 4군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미세인장접착강도 측정 시점에 따라 22$^{\circ}$C의 증류수에 보관 후 48시간에 측정한 군과 7일 후 측정한 군, 및 접착된 시편을 5000회 열순환을 시행하고 측정한 군으로 나누었다. 모래시계 형태의 접착시편을 제작하여 만능시험기 (Model 4466; Instron Co., USA)로 1 mm/min의 하중속도 하에서 미세인장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접착제의 중합률은 Fourier 변환 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하여 중합 직후, 48시간, 1주일에 측정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파절 단면을 관찰하였다. 미세인장접착강도와 중합률 모두 시간의 경과에 따라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시간 경과와 재료간에 교호작용이 있었다 (미세인장접착강도, 2-way ANOVA, p = 0.018; 중합률, Repeated Measures ANOVA, p < 0.001) . XIII와 AP의 낮은 미세인장접착강도는 낮은 중합률 때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48시간 이후에 SE와 AP에서 접착강도가 증가 되는 것은 중합률과는 관련이 없고, 전자현미경에서 관찰되는 접착제층의 성숙에 따른 취성의 증가가 원인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골격적 성숙도의 차이에 따라 RME 사용시 나타나는 상악골 복합체의 변화 (Skeletal Changes Following Application of RME at Different Maturation Stages)

  • 한순기;정동화;차경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3권4호
    • /
    • pp.373-38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stress distribution on the craniofacial suture and cranium after application of RME. Twelve years and six months old boy and twenty years old adult male were chosen for taking computed-tomography for FEM. From DICOM visual information, it was processed by 3-dimensional image construction program Mimics 10.01. Hounsfield unit(HU) which shows gray scale of CT image is picked for revealing mechanical properties of each model. The models have been accomplished with various range of physical properties. After applying 5.0 mm expansion, the maxillary complex model was obeserved for analyzing displacement and stress distribution of the model. The amount of transverse expansion of child and adult maxilla is different according to its location. It appears that it decreases gradually with the distance from separation site. In child, maximum compressive stress located broad area in zygomatic buttress department and the ends of frontal process of maxilla, pterygoid plate, and bones surrounding orbit. However, in adult maximum compressive stress was located smaller area and the stres was higher than child.

가토의 두개골에서 티타늄 반구를 이용한 다양한 onlay bone graft시 골형성 능력 (THE EFFECT OF NEW BONE FORMATION OF ONLAY BONE GRAFT USING VARIOUS GRAFT MATERIALS WITH A TITANIUM CAP ON THE RABBIT CALVARIUM)

  • 박영준;최근호;장정록;정승곤;한만승;유민기;국민석;박홍주;유선열;오희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1권6호
    • /
    • pp.469-477
    • /
    • 2009
  • 육안적 검사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특별한 염증 소견이나 창상 이개 없이 반원 모양의 골형성이 관찰되었다. 조직학적으로 3주째에 대조군, 실험 1군, 실험2군, 실험 3군 모두 이식골 주위 및 티타늄 반구 내면을 따라 신생 골형성이 관찰되었다. 조직학적으로 6주째에 모든 군에서 3주째에 비하여 신생골 면적의 증가 및 성숙 소견이 관찰되었고, 실험2군에서는 부분적으로 이식골이 흡수되면서 신생골이 형성되는 것이 관찰된 반면, 실험 3군에서는 이식골의 흡수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조직형태계측학적으로 3주, 6주 모두 자가골에서 가장 많은 신생골 형성이 나타났고, 신생골 면적 비교시 자가골, 이종골, 합성골 순으로 크게 나타났고, 각 군간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본 연구결과 골유도 재생술시 골형성 능력은 자가골이 가장 좋지만, 자가골 채취가 불가능할 경우, 적절한 차폐막을 사용한 합성골과 이종골 복합 이식방식도 좋은 대체제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EFFECT OF AUTOLOGOUS PLATELET-RICH PLASMA (PRP) ON BONE FORMATION AROUND DENTAL IMPLANT IN THE RABBIT: A HISTOMOR-PHOMETRIC AND REMOVAL TORQUE STUDY

  • Yi Yang-Jin;Yang Jae-Ho;Lee Sun-Hyung;Kim Yung-Soo;Kwon Sang-Ho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59-681
    • /
    • 2001
  • Platelet-rich plasma(PRP) has been known to increase the rate and degree of bone formation by virtue of growth factors in concentrated platelets. Although its great healing effect on bone defect or pre-implantation site preparation in conjunction with bone substitute has been reported, the effect associated with implant is unkn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P on rapid osseointegration of endosseous dental implants in the rabbit tibiae. Twenty two adult female New Zealand white rabbits, weighing approximately 2.7-3.3kg, were used for this study. Twelve of the 22 animals were used for histomorphometric analysis and ten of the 22 were for removal torque test. Each animal received two implants in each tibia (two treated with PRP and two as control) and was given fluorochrome intramuscularly. For histomorphometric analysis, rabbi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healing period. At 1 week, 2 weeks, 4 weeks and 8 weeks postoperatively, each three animals were sacrificed serially and the amount and rate of bone formation around dental implant were examined on the undecalcified sections under fluorescent microscope, polarized microscope and light microscope connected to a personal computer equipped with image analysis system. For removal torque test, rabbi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removal torque tests were performed at 4 weeks, 10 weeks after implant placement. In total, 88 screw shaped, commercially pure titanium implants (Neoplant, Neobiotech, Seoul, Korea) were used in this study. Labeling pattern reflected differences of two groups in bone formation rate at each period. Histomorphometrically, PRP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bone volume within threads compared to control group at 2 weeks ($70.30{\pm}4.96%$ vs. $50.68{\pm}6.33%$; P < .01) and 4 weeks ($82.59{\pm}5.94%$ vs. $72.94{\pm}4.57%$; P < .05 ). PRP group at 1, 2 and 4 weeks revealed similar degree of bone volume formation comparable to control group at 2, 4 and 8 week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while PRP group showed higher bone-implant contact ($47.37{\pm}8.09%$) than control group ($33.16{\pm}13.47%$) at 2 week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P group and control group for any experimental period. Removal torque values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P group and control group at any experimental period (P > .05). These findings imply that PRP could induce rapid, more bone formation around implant during early healing period and get faster secondary stability for reducing healing period, though it has not induced bone maturation enough to resist functional loading.

  • PDF

6세에서 17세 사이의 정상 교합 아동의 아데노이드와 악골의 성장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 (Semi-longitudinal study of adenoid and jaw growth of normal occlusal children aged 6 to 17)

  • 유형석;박선형;최은빈;문제상;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99-712
    • /
    • 2000
  • 림프조직은 비인두 부위에서 Waldeyer's ring의 일부조직으로 tonsil을 이루며 정상적으로 존재한다. 이러한 림프조직이 임상적인 증상을 나타낼 정도로 과증식한 것을 'Adenoid vegetation or Adenoids'라고 이른다. 아데노이드는 일반적으로 유년기에 발생하며 $2\~12$세때 특징적인 증상을 보인다. 사춘기시기에 이르면 절대적인 아데노이드 크기 감소와 주변의 비인두의 성장으로 인한 상대적 크기 감소가 나타난다. 그리하여 성인이 되면 아데노이드는 퇴화된 상태로 변하게 된다. 아데노이드는 구호흡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이며, '아데노이드 얼굴'이라는 특징적인 안면형태를 야기한다고 알려져 있다. 아데노이드에 의한 구호흡이 안면 형태와 치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은 오래 전부터 제기되고 있으나, 여러 가지 복합적인 원인으로 이들간의 상호연관정도를 정확히 알기가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상 교합 아동에서의 골 연령에 따라 아데노이드와 악골 크기의 정상치와 성장변화량을 제시하고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 연령에 따른 남녀별 계측항목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얻었다. 2. 같은 골연령을 비교시 남자는 여자보다 약 2년 가량 성장속도가 느렸다. 3. 비인두의 height과 depth는 남자에서는 CVMI 1과 2 때 많은 성장을 보이고, CVMI 4 이후에서는 성장을 보이지 않았으며, 여자에서는 모든 골 연령에서 유사한 정도의 성장이 나타났다. 4. 비인두의 상대적 면적은 남자에서 CVMI 1에서 2로 이행되는 시기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5. 비기도의 상대적 면적과의 상관분석에서 남녀 모두에서 아데노이드 항목중에서는 Ad2와 관련된 항목과 uppe pharynx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치열궁과 관련된 항목중에는 상$\cdot$하악의 견치간 너비, 상악의 대구치간 너비, 구개정 높이가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불소투여에 따른 태내백서 치아의 생화학적 및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 (Biochemical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Enamel Organ of Fetal Rat following a Ingestion of Fluoride)

  • 임도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3호
    • /
    • pp.285-293
    • /
    • 2000
  • 임신중에 투여된 불소가 흰쥐태아의 법랑질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어미흰쥐에게 불소를 음용 시킨 후, 생후 11일이 경과된 어린 흰쥐를 희생하였다. 이후, 하악절치를 발치한 후, 법랑단백질의 종류 및 양적 변화와 법랑질 표면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분비법랑질과 성숙법랑질에서 추출한 법랑단백질을 전기 영동한 결과, 분비법량질에서는 분자량 $22\sim24kDa$의 amelogenin이 확인되었는데, 대조군에서보다 불소투여 농도가 높아질수록 양이 감소하였다. 성숙법랑질에서는 분자량이 68kDa의 enamelin이 확인되었으며, 대조군에 비해 불소투여 농도가 높을수록 양적인 증가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법랑질 표면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서는 평탄하고 매끄러운 표면인 반면에 불소투여군은 거친 표면과 균열이 심하게 나타났고, 불규칙한 소공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일부에서는 균열과 함께 주머니 같은 결절과 법랑질 형성부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태아발생과정 중 투여된 불소가 법랑질형성에 관여하는 법랑모세포에 영향을 줌으로써 단백질의 형성과 분비가 지연 또는 억제되며, 수분과 단백질 제거에 관여하는 법랑모세포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형성과 분비는 법랑질 형성부전 등의 법랑질형성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