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crowns

검색결과 348건 처리시간 0.022초

단일 도재 수복물의 가공 정밀도가 변연 및 내면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chining precision of single ceramic restorations on the marginal and internal fit)

  • 손큰바다;유범영;이규복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13-320
    • /
    • 2020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3 종류의 치과용 도재 블록으로 제작된 단일 수복물의 가공 정밀도와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평가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3 종류의 치과용 도재 블록(Rosetta; HASS, IPS e.max CAD; Ivoclar vivadent, VITA Suprinity; VITA)으로 제작된 단일 수복물의 가공 정밀도와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캐드 소프트웨어에서 단일 수복물을 디자인하였고, 수복물 디자인 모델(crown designed model) 파일의 제작을 위해 디자인 후 캐드 소프트웨어에서 추출하였다. 그리고 수복물 디자인 모델 파일은 밀링 장비를 사용하여 도재 블록(lithium disilicate ceramic block)을 가공하였다. 수복물 스캔 모델(crown scanned model) 파일의 제작을 위해서 접촉식 스캐너를 이용하여 제작된 수복물의 내면을 디지털화 하였다. 그리고 삼차원 검사 소프트웨어(Geomagic control X; 3D Systems)를 이용하여, 수복물 디자인 모델과 스캔 모델의 중첩과 가공 정밀도의 삼차원 분석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제작된 수복물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는 실리콘 복제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3 종류의 단일 도재 수복물의 차이는 Kruskal-Wallis H test를 통해 분석되었고, 가공 정밀도와 변연 및 내면 적합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을 하였다 (α = .05). 결과: 도재 블록의 종류에 따라서 가공 정밀도와 변연 및 내면 적합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P < .001). 그리고 가공 정밀도와 변연 및 내면 적합도는 서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 < .001). 결론: 도재 블록의 종류에 따라서 제작된 단일 수복물의 변연 적합도는 임상적 허용 범위에 있었기 때문에(< 120 ㎛), 적합도 측면에서 모두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가공 정밀도로 간주할 수 있다.

불소도포 및 지각과민처치제 적용 후 상아세관 폐쇄효과와 지속력 평가 (Occluding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Fluoride Compounds and Desensitizers on Dentinal Tubules)

  • 이예진;정문진;안용순;천수경;정순정;임도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72-283
    • /
    • 2016
  • 본 연구는 치과병 의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불소화합물과 지각과민처치제의 상아세관 폐쇄효과를 비교 분석하고, 전동칫솔질을 시행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유효성분의 지속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발거된 지 3개월 이내의 우식이나 수복, 보철물이 없는 건전한 사람의 대구치 35개를 선택하여 4등분하였고 이 중 135개의 시편을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이들 시편을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대조군과 5개의 실험군으로 구분하였고, 실험군은 산성불화인산염, 불소바니쉬, Gluma, Super Seal, SE-Bond를 선정하여 대상치아에 도포하였다. 이후 1주(140회), 2주(280회), 4주(560회)에 해당하는 전동칫솔질을 시행하였고, 각 시편별 3부위를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상아세관 폐쇄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전동칫솔질 시행 1주, 2주, 4주에서 모두 불소바니쉬 도포군의 상아세관 폐쇄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SE-Bond 도포군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Gluma 도포군은 다른 실험군에 비해 가장 낮은 상아세관 폐쇄도를 나타냈으며, 칫솔질 시행 4주에서는 Gluma 도포군과 Super Seal 도포군이 다른 실험군에 비해 낮은 상아세관 폐쇄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종합하면, 처치 4주 후에도 불소바니쉬와 SE-Bond는 다른 실험군에 비해 상아세관 폐쇄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에서 지각과민 치료 시 불소바니쉬와 SE-Bond의 사용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설측 교정치료를 위한 셋업 모형 제작의 정밀도 (Construction of an ideal set-up model for lingual orthodontic treatment)

  • 배기선;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59-474
    • /
    • 2005
  • 치아 모형 및 셋업 모형에서의 정확한 순설측 및 근원심 경사의 측정을 위해 개발된 셋업 모형 측정기로 4개의 제1소구치 발거 후 설측 교정치료를 시행 받은 22명의 성인 환자들의 치료 전후의 진단 모형 및 셋업 모형을 계측하여 설측 교정치료에서 간접 접착술식을 위해 사용되는 셋업 모형의 형태가 치료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치료 전 진단 모형과 셋업 모형간의 상하악 6전치의 순설측 및 근원심 경사 차이는 각각 $-3.93{\pm}6.98^{\circ},\;1.87{\pm}5.79^{\circ}$ 였으며 셋업 모형과 치료 후 치아 모형간의 차이는 $-4.31{\pm}5.91^{\circ},\;-2.16{\pm}3.27^{\circ}$였다. 치료 후 치아 모형에서는 치료 전에 비해 상하악 전치부의 순설측 경사가 $-8.24{\pm}5.39^{\circ}$ 만큼 유의성 있게 변화되었다. 또한 facebow transfer 등을 통해 교합기에 치아 모형을 거상하지 않고도 셋업 모형 측정기만으로 치아 모형과 측모 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서로 연계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고안하여 그 임상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셋업 모형 측정기를 사용하여 진단용 모형으로부터 측정한 계측 게이지 각과 측모 두부방사선규격사진상에 동일한 계측점화 선분들을 작도하여 측정한 산출 게이지 각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상하악 모두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셋업 모형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모 두부방사선사진에서의 계측 치들을 진단용 모형에서의 계측치와 서로 연계시켜 분석하고 이를 셋업 모형 제작 시 반영하는 방법이 임상적으로 사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도재 소성과정이 Ni-Cr 금속도재관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rcelain Firing Process on the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Ni-Cr Alloy Metal-Ceramic Crown)

  • 김기백;김석환;김재홍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05-410
    • /
    • 2014
  • 본 연구는 심미보철 치료에서 사용되는 금속도재관 제작시 Ni-Cr alloy 하부 구조물에 상부도재를 축성하고 소성하는 과정이 완성된 보철물의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임상적 허용을 재확인하기 위함이다. 1차로 lost wax technique으로 제작된 NCC (Ni-Cr alloy core)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측정하였고, 2차로 NCC에 상부도재 축성, 소성하여 금속도재관을 최종 완성하여 2차로 측정한 뒤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금속도재관 제작 시 Ni-Cr alloy로 제작된 코어 위에 상부도재를 축성하고 소성하는 과정이 금속 도재관의 적합도를 악화시키는 결과를 보였으며, 부위 별 구분 없이 두 그룹에서 측정된 모든 값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NCC 그룹에서는 $67.1{\pm}23.3{\mu}m$, NMC 그룹에서는 $74.4{\pm}21.9{\mu}m$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Ni-Cr alloy로 금속도재관 제작 시 상부도재를 축성하는 과정에서 적합도를 악화시킨다는 결론을 얻었으나, 본 실험에서 측정된 결과 값은 임상적 허용 수치($120{\mu}m$)를 넘지 않아 적합도의 기준으로 평가하였을 때 임상적으로 허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하악 소수 잔존치 환자에서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 수복 증례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restoration in small number of residual teeth in mandible: A case report)

  • 박종하;김지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215-223
    • /
    • 2024
  • 본 증례의 환자는 기존 의치에 불편함을 느껴 새로운 의치를 원하여 내원하였다. 하악 좌측 제2대구치를 제외한 모든 치아를 상실한 상태였다. 환자의 나이가 65세였기에 임플란트와 의치를 국민건강보험 제도를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었고, 환자는 하악에 임플란트를 이용한 의치 제작을 원하였다. 새 의치에 적응하기 위해 임시 의치를 제작하여 장착하고 충분한 적응 기간을 거쳐서 치료를 진행하였다. 상악은 총의치, 하악은 전방부에 임플란트 2개를 식립하여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을 서베이드 크라운 형태로 제작하고 임플란트 보조국소의치를 제작하였다. 골흡수가 심한 하악 소수 잔존치 상태에서 효율적인 치료 비용과 기능적으로 환자와 술자 모두 만족하였다.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을 서베이드 크라운 형태로 제작한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는 경제적, 해부학적인 한계로 총의치, 임플란트 피개의치, 임플란트 지지 완전 고정성 보철이 어려운 경우에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과학적으로 근거가 높은 수준의 연구가 부족하여 향후 면밀한 정기검진 및 교합 검사가 필요할 것이다.

유치용 수종 기성금속관의 형태에 대한 계측학적 연구 (A MORPHOMETRIC STUDY ON THE PREFORMED STAINLESS STEEL CRORWNS OF SOME BRANDS)

  • 한은옥;이지현;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45-152
    • /
    • 2012
  • 소아치과 임상의는 유구치의 수복 치료에 있어 기성 금속관을 사용할 때, 실제 치아의 크기와 형태가 유사한 기성 금속관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치 치관의 크기와 형태는 인종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며,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성금속관은 외국 아동의 기준에 맞춰 제작된 제품으로 한국 아동의 유구치에 적용 시 실제 치아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최근에는 국산 제품의 기성금속관이 개발되었으며, 이는 한국 아동 유치의 형태학적 특징을 반영하였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경남 지역 아동 263명의 상, 하 제 1, 2 유구치 각각의 근원심경, 협설경을 측정한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 아동의 유구치 치관 크기에 대한 계측치를 현재 사용되고 있는 3종의 기성금속관(3M ESPE Stainless Steel Primary Molar Crown, Kids Crown, Sankin Anatom Primary Crown)과 회귀분석을 통해 비교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세가지 기성금속관 모두에서 근원심경에 대한 협설경의 비율이 실제 치아보다 더 컸다. 2. 근원심경에 대한 협설경의 비율에 있어 3M ESPE Stainless Steel Primary Molar Crown과 Kids Crown은 대체로 비슷했으며, Sankin Anatom Primary Crown은 앞의 두 기성금속관과 차이가 났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는 하악 유구치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3. 실제 치아의 근원심경이 평균값과 가까울수록 기성금속관과의 적합도는 더 높으며, 반대로 평균값에서 멀어질수록 적합도는 낮아진다. 4. 실제 치아와 기성금속관 간에 가장 차이가 많이 나는 치아는 하악 제1유구치, 상악 제1유구치이다.

Effect of passive ultrasonic agitation during final irrigation on cleaning capacity of hybrid instrumentation

  • Vinhorte, Marcilene Coelho;Eduardo Hideki, Suzuki;Maira Sousa, De Carvalho;Andre Augusto Franco, Marques;Emilio Carlos Junior, Sponchiado;Lucas Da Fonseca Roberti, Garcia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9권2호
    • /
    • pp.104-108
    • /
    • 2014
  • Objectives: To evaluate the effect of passive ultrasonic agitation on the cleaning capacity of a hybrid instrumentation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mandibular incisors with mesiodistal-flattened root shape had their crowns sectioned at 1 mm from the cementoenamel junction. Instrumentation was initiated by catheterization with K-type files (Denstply Maillefer) #10, #15, and #20 at 3 mm from the working length. Cervical preparation was performed with Largo bur #1 (Dentsply Maillefer) followed by apical instrumentation with K-type files #15, #20 and #25, and finishing with ProTaper F2 file (Denstply Maillefer). All files were used up to the working length under irrigation with 1 mL of 2.5% sodium hypochlorite (Biodyn$\hat{a}$mica) at each instrument change. At the end of instrumentation, the roots were randomly separated into 2 groups (n = 10). All specimens received final irrigation with 1 mL of 2.5% sodium hypochlorite. The solution remained in the root canals in Group 1 for one minute; and ultrasonic agitation was performed in Group 2 for one minute using a straight tip inserted at 1 mm from working length. The specimens were processed histologically and the sections were analyzed under optic microscope (x64) to quantify debris present in the root canal. Results: The samples submitted to ultrasonic agitation (Group 2) presented significant decrease in the amount of debri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Group 1 (p < 0.05). Conclusions: The hybrid instrumentation technique associated with passive ultrasonic agitation promoted greater debris removal in the apical third of the root canals.

Finite-element analysis of the center of resistance of the mandibular dentition

  • Jo, A-Ra;Mo, Sung-Seo;Lee, Kee-Joon;Sung, Sang-Jin;Chun, Youn-Sic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21-30
    • /
    • 2017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hree-dimensional (3D) position of the center of resistance of 4 mandibular anterior teeth, 6 mandibular anterior teeth, and the complete mandibular dentition by using 3D finite-element analysis. Methods: Finite-element models included the complete mandibular dentition, periodontal ligament, and alveolar bone. The crowns of teeth in each group were fixed with buccal and lingual arch wires and lingual splint wires to minimize individual tooth movement and to evenly disperse the forces onto the teeth. Each group of teeth was subdivided into 0.5-mm interval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nd a force of 200 g was applied on each group. The center of resistance was defined as the point where the applied force induced parallel movement. Results: The center of resistance of the 4 mandibular anterior teeth group was 13.0 mm apical and 6.0 mm posterior, that of the 6 mandibular anterior teeth group was 13.5 mm apical and 8.5 mm posterior, and that of the complete mandibular dentition group was 13.5 mm apical and 25.0 mm posterior to the incisal edge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s. Conclusions: Finite-element analysis was useful in determining the 3D position of the center of resistance of the 4 mandibular anterior teeth group, 6 mandibular anterior teeth group, and complete mandibular dentition group.

Clinical performance and failures of zirconia-based fixed partial dentures: a review literature

  • Triwatana, Premwara;Nagaviroj, Noppavan;Tulapornchai, Chantana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4권2호
    • /
    • pp.76-83
    • /
    • 2012
  • PURPOSE. Zirconia has been used in clinical dentistry for approximately a decade, and there have been several reports regarding the clinical performance and survival rates of zirconia-based restorations. The aim of this article was to review the literatures published from 2000 to 2010 regarding the clinical performance and the causes of failure of zirconia fixed partial dentures (FPDs). MATERIALS AND METHODS. An electronic search of English peer-reviewed dental literatures was performed through PubMed to obtain all the clinical studies focused on the performance of the zirconia FPDs. The electronic search was supplemented by manual searching through the references of the selected articles for possible inclusion of some articles.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longitudinal prospective and retrospective cohort studies were the focuses of this review. Articles that did not focus on the restoration of teeth using zirconia-based restorations were excluded from this review. RESULTS. There have been three studies for the study of zirconia single crowns. The clinical outcome was satisfactory (acceptable) according to the CDA evaluation. There have been 14 studies for the study of zirconia FPDs. The survival rates of zirconia anterior and posterior FPDs ranged between 73.9% - 100% after 2 - 5 years. The causes of failure were veneer fracture, ceramic core fracture, abutment tooth fracture, secondary caries, and restoration dislodgment. CONCLUSION. The overall performance of zirconia FPDs was satisfactory according to either USPHS criteria or CDA evaluations. Fracture resistance of core and veneering ceramics, bonding between core and veneering materials, and marginal discrepancy of zirconia-based restorations were discussed as the causes of failure. Because of its repeated occurrence in many studies, future researches are essentially required to clarify this problem and to reduce the fracture incident.

상악 전치 치관의 근심경사도: 견치 근심경사선과 동공의 위치적 관계 (Mesial Angulation of Upper Anterior Teeth Crown :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Pupil and Mesial Inclination Line of Upper Canine)

  • 오상천;엄상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0권2호
    • /
    • pp.135-141
    • /
    • 2004
  • Statement of problem: Arrangement and angulation of clinical crown is very important for esthetic restoration in the upper anterior dentition. However, there was no clinical criteria to mesial angulation of the crown for Korean.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stimate the mesial angulation of the crown of the anterior teeth and the Oh's E-triangle made of the inter-pupillary line and the mesial inclination lines of the canines. Material and Method: 270 portraits of Korean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mesial angulation of the upper anterior teeth and the relationship of the inter-pupillary line and the mesial inclination lines of the canines were measured with the tools of PhotoShop software on the scanned images. Results: The angulation between the clinical crowns having a same name in the upper anterior dentition were $3.6^{\circ}$ between the central incisors, $8.6^{\circ}$ between the lateral incisors, and $13.6^{\circ}$ between the canines. There was no significance according to occupation and gender( P > 0.05). The ratio of height to base line of Oh's E-triangle was 4.47. 81.6% of the subjects showed the mesial inclination line of the canine passed by mesial border area of pupil. Conclusion: These data for Korean would be useful clinically to give the esthetic arrangement and to make the contour of upper anterior tee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