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biofilms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6초

치과 보철 재료 표면에서 MnO2-diatom microbubbler의 세균막 제거 효과 연구: In vitro study (The biofilm removal effect of MnO2-diatom microbubbler from the dental prosthetic surfaces: In vitro study)

  • 이은혁;서용범;권호범;임영준;공현준;김명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14-22
    • /
    • 2020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철 재료 표면에서 MnO2-diatom microbubbler (DM)의 세균막 제거 효과를 기존에 치과 임상에 구강세정제로 사용되고 있는 성분들과 비교하여 이 재료가 구강세정제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이산화망간 나노 시트가 도핑된 DM을 만들었고,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형태에 대한 관찰 및 도핑된 MnO2의 성분 분석을 시행하였다. 3% 과산화수소수에서 DM의 반응을 시간에 따라 관찰하기 위해 실체 현미경을 이용하였다. 보철 재료 표면의 세균막 제거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비귀금속 합금, 지르코니아, 레진 시편을 제작하였고 치아우식의 원인균이며 호기성 세균인 Streptococcus mutans와 치주질환의 원인균이며 혐기성 세균인 Porphyromonas gingivalis 세균막을 각각 형성하였다. 형성된 세균막에 3% 과산화수소수와 DM을 처리하였을 때 세균막 제거 효과를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와 3% 과산화수소수의 경우와 crystal violet 염색 실험을 통해 비교 평가하였다. 결과: 속이 빈 원통 형태의 규조류에 이산화망간 성분이 발견되었고, 3% 과산화수소수에서 기체를 만들어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에 이용된 모든 재료에서 DM을 처리한 군이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나 3% 과산화수소수 단독으로 사용한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세균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였다. 결론: MnO2-diatom microbubbler는 보철 재료 표면의 세균막을 기존의 구강세정제 성분에 비해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Antimicrobial and Anti-Biofilm Activities of the Methanol Extracts of Medicinal Plants against Dental Pathogens Streptococcus mutans and Candida albicans

  • Choi, Hyoung-An;Cheong, Dae-Eun;Lim, Ho-Dong;Kim, Won-Ho;Ham, Mi-Hyoun;Oh, Myung-Hwan;Wu, Yuanzheng;Shin, Hyun-Jae;Kim, Geun-Jo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7호
    • /
    • pp.1242-1248
    • /
    • 2017
  • Several medicinal plants are ethnomedically used in Korea as agents for treating infection, anti-inflammation, and pain relief. However, beyond typical inhibitory effects on cell growth, little is known about the potential anti-biofilm activity of these herbs, which may help to prevent cavities and maintain good oral health.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nd anti-biofilm activities of the methanol extracts of 37 Korean medicinal plants against dental pathogens Streptococcus mutans and Candida albicans, which synergize their virulence so as to induce the formation of plaque biofilms in the oral cavity.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by broth dilution and disk diffusion assay. The anti-biofilm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evaluated based on the inhibitory effect against glucosyltransferase (GTase) and the DPPH assay, respectively. Among 37 herbs, eight plant extracts presented growth and biofilm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both etiologic bacteria. Among them, the methanol extracts (1.0 mg/ml) from Camellia japonica and Thuja orientali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growth of both bacteria by over 76% and over 83% in liquid media, respectively.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values of these methanol extracts were determined to be 0.5 mg/ml using a disk diffusion assay on solid agar media. Biofilm formation was inhibited by more than 92.4% and 98.0%, respectively, using the same concentration of each extract. The present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medicinal plants C. japonica and T. orientalis are potentially useful as antimicrobial and anti-biofilm agents in preventing dental diseases.

치과대학 임상 시뮬레이션 실습실 치과용 유니트 수계의 세균 오염도 조사 (Bacterial Contamination of Dental Unit Water Systems in a Student Clinical Simulation Laboratory of College of Dentistry)

  • 윤혜영;이시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32-237
    • /
    • 2015
  • 이 연구는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학생들의 임상실습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DCU에서 배출되는 물 속 종속영양세균의 수준을 평가하면서 사용빈도에 따른 세균 오염수준의 차이를 확인하고 기회 감염성 병원균의 존재를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임상 실습실에서 사용되는 DCU 36개를 대상으로 초음파치석제거기에서 물 시료를 수집하여 평균 CFU/ml를 조사하고 초음파치석제거기의 한달 사용빈도에 따라 DCU를 세 집단으로 분류하여 세균오염수준을 비교하였다. 또한 수집한 물 시료에서 세균의 genomic DNA를 추출한 후 PCR 분석을 통해 기회감염성 병원균의 존재를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 실습에 사용한 DCU에서 수집한 물 시료의 평균 종속영양세균수준은 16,095 CFU/ml로 ADA에서 권장하는 200 CFU/ml 이하의 수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초음파 치석제거기의 한 달 사용빈도에 따라 3집단으로 나누어 CFU/ml를 조사하였을 때, 초음파치석제거기를 한 달에 1번 이상 3번 미만 사용한 DCU에서 평균 CFU/ml가 20,070 CFU/m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번 이상 사용한 유니트는 CFU/ml 평균이 8,420 CFU/ml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3개군의 CFU/ml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을 보여주었고(p<0.05), 그 중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CFU/ml를 보여주었다. 치과에서 사용하는 DCU에 존재하는 기회감염성 병원균이 학생실습에 사용하는 DCU에서도 분리되었다. 36개의 genomic DNA 시료 중 1개의 시료에서 Pseudomonas species가 검출되었고, 2개의 시료에서 비결핵성 Mycobacterium species가 검출되었다. 따라서 학생실습용으로 사용되는 DCU는 학생들과 대상자에게 잠재적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실습 전 학생들의 보호장비 착용과 실습 후 수관관리가 필요하다.

실험실 일반 장비를 이용한 치과용 유니트 수관 모델 개발 (Developing a Dental Unit Waterline Model Using General Laboratory Equipments)

  • 윤혜영;이시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84-292
    • /
    • 2016
  • DUWL에 형성된 바이오필름 제거를 위한 효과적인 소독제의 제시와 새로운 소독제의 개발을 위해 DUWL의 실험실 모델의 확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장비들로 실험실 모델을 제작하여, DUWL 바이오필름을 재현하기 위한 새로운 실험실 모델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사용 중인 DUWL을 통해 수집한 물에서 세균을 모은 후, R2A 액체 배지에서 10일 동안 배양시켰다. 10일 배양시킨 세균액을 $-70^{\circ}C$에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70^{\circ}C$에 저장한 세균 stock은 R2A 액체배지에 5일 동안 회분 배양시킨 배양액은 모델에서 바이오필름을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되었다. 바이오필름 형성 모델은 실험실 내 장비인 1 L 비커에 폴리우레탄 튜빙이 부착된 20 cm 유리막대를 꽂아서 제작하였다. 모델을 멸균시킨 후 R2A 액체배지 300 ml와 5일 동안 회분 배양한 세균액 50 ml을 넣고 stir plate에서 $25^{\circ}C$로 배양시켰다. 배양 2일마다 R2A 액체배지를 교체해주었다. 임상의 상황과 유사한 조건에서 바이오필름을 형성하기 위해 와류상태는 오전 9시에서 오후 6시까지 적용시키고 그 이외의 시간에는(약 15시간) 정체상태로 배양시켰다. 바이오필름 형성은 4일 동안 진행하였으며, 그 후 바이오필름의 두께, 바이오필름을 구성하는 세균의 분포 및 형태학적 특징을 SEM과 CLS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4일 바이오필름 형성 후 평균 바이오필름 축적량은 $4.68{\times}10^4CFU/cm^2$였고, 바이오필름의 두께는 $10{\sim}14{\mu}m$였다. 또한 바이오필름을 구성하는 세균들이 부분적으로 응집되어 덩어리를 이루고 있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실험실 모델을 대상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 과산화수소 그리고 클로르헥시딘과 같은 소독제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적용된 소독제의 농도가 낮을수록 바이오필름 내 생존한 세균의 수가 많았다. 따라서 우리의 실험실 모델에서 형성시킨 바이오필름은 소독제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의 실험실 모델은 향후 DUWL 소독을 위한 새로운 방법의 개발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The effectiveness of the supplementary use of the XP-endo Finisher on bacteria content redu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Ludmila Smith de Jesus Oliveira;Rafaella Mariana Fontes de Braganca;Rafael Sarkis-Onofre;Andre Luis Faria-e-Silva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6권3호
    • /
    • pp.37.1-37.11
    • /
    • 2021
  • Objectives: This systematic review evaluated the efficacy of the supplementary use of the XP-endo Finisher on bacteria content reduction in the root canal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In-vitro studies evaluating the use of the XP-endo Finisher on bacteria content were searched in four databases in July 2020. Two authors independently screened the studies for eligibility. Data were extracted, and risk of bias was assessed. Data were meta-analyzed by using random-effects model to compare the effect of the supplementary use (experimental) or not (control) of the XP-endo Finisher on bacteria counting reduction, and results from different endodontic protocols were combined. Four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while 1 study was excluded from the meta-analysis due to its high risk of bias and outlier data. The 3 studies that made it to the meta-analysis had an unclear risk of bias for at least one criterion. Results: No heterogeneity was observed among the results of the studies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The study excluded from the meta-analysis assessing the bacteria counting deep in the dentin demonstrated further bacteria reduction upon the use of the XP-endo Finisher. Conclusions: This systematic review found no evidence supporting the supplementary use of the XP-endo Finisher on further bacteria counting the reduction in the root canal.

Antimicrobial effect of topical local anesthetic spray on oral microflora

  • Srisatjaluk, Ratchapin L;Klongnoi, Boworn;Wongsirichat, Natthamet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6권1호
    • /
    • pp.17-24
    • /
    • 2016
  • Background: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lidocaine (LD) topical anesthetic spray against oral microflora. Methods: Antimicrobial effects of 10% LD spray were assessed against six bacterial cultures obtained from volunteers: Escherichia coli, Enterococcus faecalis,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salivarius, Streptococcus pyogenes, and Streptococcus sanguinis. The filter papers contained $50-{\mu}l$ LD, brain heart infusion (BHI) broth, or 0.2% chlorhexidine. Papers were placed on the cultured blood plates for 1-3 min. After the papers were removed, plates were incubated for 24 h. Bacterial growth on the contact areas was recorded as the antimicrobial score. The split mouth technique was use in for sample collection in clinical study. Filter papers soaked with either BHI broth or LD were placed on the right or left buccal mucosa for 1 min, and replaced with other papers to imprint biofilms onto the contact areas. Papers were placed on blood plates, incubated for 24 h, and antimicrobial scores were determined.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2- and 3-min exposure times with a 1-day washout period. Results: LD exhibited bactericidal effects against E. coli, S. sanguinis, and S. salivarius within 1 min but displayed no effect against S. aureus, E. faecalis, and S. pyogenes. The antimicrobial effect of LD on oral microflora depended upon exposure time, similar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clinical study (P < 0.05). LD showed 60-95% biofilm reduction on buccal mucosa. Conclusions: Antimicrobial activity of 10% LD topical anesthetic spray was increased by exposure time. The 3 min application reduced oral microflora in the buccal mucosa.

Inhibition of nicotine-induced Streptococcus mutans biofilm formation by salts solutions intended for mouthrinses

  • Balhaddad, Abdulrahman A.;Melo, Mary Anne S.;Gregory, Richard L.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4권1호
    • /
    • pp.4.1-4.10
    • /
    • 2019
  • Objectives: Biofilm formation is critical to dental caries initiation and developm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icotine exposure on Streptococcus mutans (S. mutans) biofilm formation concomitantly with the inhibitory effects of sodium chloride (NaCl), potassium chloride (KCl) and potassium iodide (KI) salts. This study examined bacterial growth with varying concentrations of NaCl, KCl, and KI salts and nicotine levels consistent with primary levels of nicotine exposure. Materials and Methods: A preliminary screening experimen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concentrations of NaCl, KCl, and KI to use with nicotine. With the data, a S. mutans biofilm growth assay was conducted using nicotine (0-32 mg/mL) in Tryptic Soy broth supplemented with 1% sucrose with and without 0.45 M of NaCl, 0.23 M of KCl, and 0.113 M of KI. The biofilm was stained with crystal violet dye and the absorbance measured to determine biofilm formation. Results: The presence of 0.45 M of NaCl, 0.23 M of KCl, and 0.113 M of KI significantly inhibited (p < 0.05) nicotine-induced S. mutans biofilm formation by 52%, 79.7%, and 64.1%,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results provide additional evidence regarding the biofilm-enhancing effects of nicotine and demonstrate the inhibitory influence of these salts in reducing the nicotine-induced biofilm formation. A short-term exposure to these salts may inhibit S. mutans biofilm formation.

불소함유 겔이 티타늄 표면의 세균성 바이오필름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luoride-containing gel on the roughness of a titanium surface and the promotion of bacterial growth)

  • 김선진;이재관;장범석;이시영;엄흥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1호
    • /
    • pp.16-23
    • /
    • 2016
  • 목적: 이번 연구는 다양한 pH의 불소 제재들이 티타늄 표면 거칠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기계절삭형 티타늄 디스크를 시중에서 유통되는 세 가지 불소겔로 처리하였다. 불소겔의 종류와 처리 시간에 따라, 대조군, 1군(pH 3.5의 APF로 1분간 처리), 2군(pH 3.5의 APF로 30분간 처리), 3군(pH 4.0의 APF로 1분간 처리), 4군(pH 4.0의 APF로 30분간 처리), 5군(pH 7.0의 NaF로 1분간 처리), 6군(pH 7.0의 NaF로 30분간 처리)의 7군으로 분류하였다. 디스크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한 후, Porphyromonas gingivalis,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Fusobacterium nucleatum을 배양하여 디스크에 부착하는 세균의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 표면 거칠기는 그룹2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001). 세균의 부착량은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pH 3.5의 APF를 30분간 처리한 그룹에서 표면 거칠기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세균의 부착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생물막 형성 억제 효과 (Antibacterial and Antibiofilm Activities of Diospyros malabarica Stem Extract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 김혜수;이상우;콩마니 시다래;조수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0-9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 유래 구강 건강소재로써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TLC, TLC-bioautography, HPLC, ESI-MS 등을 이용하여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로부터 S. mutans KCTC3065에 대해 항균활성이 있는 항균물질을 분리하고 주사전자현미경과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추출물이 S. mutans의 생물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 mutans에 대한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극성이 낮은 n-hexane 분획물에서 확인되었고 TLC, TLC-bioautography, HPLC에 의해 분리된 항균물질의 분자량은 ESI-MS분석 결과 188로 추정되었다.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1 mg/ml) 처리에 따른 S. mutans의 바이오필름 바이오매스 변화는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는 추출물 처리구에 비해 세포가 군집을 이루고 모여 있었으며 세포 주변에서 바이오필름이 관찰되었지만 추출물을 처리한 처리구의 세포 주변에서는 바이오필름을 관찰할 수 없었다.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바이오필름 생성 과정에서 치면 부착에 필수적인 GTFs의 발현 양상을 조사한 결과, 인도감나무 추출물이 0.2-1.0 mg/ml의 농도로 처리된 배양액에서 gtfB 유전자 발현은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큰 변화가 없었지만 gtfC 유전자 발현은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은 바이오필름 형성 단계에서 치아우식증 원인균인 S. mutans의 초기 치면 부착을 저해함으로서 바이오필름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 구강 건강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Streptococcus mutans biofilm에 대한 광역동 치료의 최적조건에 관한 연구 (Optimum Treatment Parameters for Photodynamic Antimicrobial Chemotherapy on Streptococcus mutans Biofilms)

  • 최서정;박호원;이주현;서현우;이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51-157
    • /
    • 2015
  • 할로겐 광중합기를 광원으로, 치면세균막 착색제인 erythrosine을 광감각제로 사용하여 S. mutans biofilm에 대한 광역동 치료를 시행할 때의 최적조건을 알아보기 위해서 erythrosine의 농도와 광조사 시간 및 광감각제의 접촉시간에 따른 광역동 치료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erythrosine의 농도를 0, 10, 20, 40, $80{\mu}M$로 변화시킨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균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40{\mu}M$$80{\mu}M$의 두 군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다. 광 조사 시간을 0, 5, 15, 30, 60, 75초로 변화시킨 결과 조사 시간이 길어질수록 항균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30초, 60초, 75초의 세 군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다. erythrosine 처리시간을 0분, 1분, 2분30초, 5분으로 변화시킨 결과 erythrosine과의 접촉시간이 늘어날수록 항균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분30초 군과 5분 군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광감각제로 사용한 erythrosine의 농도를 $20-40{\mu}M$, 광원으로 사용한 할로겐 광중합기의 광 조사시간을 30초 이상, 광감각제인 erythrosine을 2분30초 이상 처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치아우식 예방을 위한 광역동 치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