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arch width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인 정상교합자의 하악치열궁 형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ANDIBULAR DENTAL ARCH FORM OF THE KOREAN WITH NORMAL OCCLUSION)

  • 남종현;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35-546
    • /
    • 1996
  • 이 연구는 한국인 하악치열궁 형태를 분류하고, 교두정에서 브라켓 높이의 협면점까지 거리를 계측하여 이상적인 호선 제작에 도움을 얻기위하여 시행되였다. 13세에서 25세사이의 정상적인 교합자 159명의 석고모형을 대상으로 순측 및 협측 교두정을 지나는 하악치열궁선에서 견치간, 제1대구치간 및 제2대구치간 폭경과 이들의 고경을 계측한 다음, 유클리안 거리를 이용한 평균군집분석을 시행하여 치열궁형태를 5가지로 분류하고, 각각의 6차 다항식과 결정계수를 구하였으며, 교두정에서 브라켓 높이의 협면점까지의 거리를 계측하고 비교검토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5가지 하악치열궁선을 실제의 크기로 작도하고, 1형, 2형, 3형, 4형 및 5형으로 명명하였다. 2. 각각의 치 열궁선은 하악 제2대구치간 폭경으로 표현되는 6차다항식과 결정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이 식으로 $97\%$이상 설명이 가능하였다. 3. 각 치열궁선의 분포는 5형이 $24.5\%$로 가장 많았으며, 2형과 3형이 각각 $20.8\%$ 1형은 $17.6\%$, 4형은 $16.3\%$의 분포를 보였다. 4. 한국인의 하악치열궁선은 프랑스인에 비하여 폭경이 넓고 고경이 낮은 특성을 보였다. 5. 교두정에서 브라켓높이의 협면점까지의 거리는 절치가 1.0, 견치는 1.9, 제1소구치는 2.6, 제1 및 제2 대구치는 2.7 이였다.

  • PDF

부정교합자의 상악치열궁 및 구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XILLARY DENIAL ARCH AND PALATAL VAULT WITH MALOCCULSIONS)

  • 김충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5-53
    • /
    • 1980
  • This study was based on the study models of 32 subjects with normal occlusion, 40 with Class I malocclusion, 32 with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and 38 with Class III malocclusion, aged 12 to 20 years (mean age 16.4 years).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define the difference between normal and malocclusion groups in maxillary dental arch and palate. On the basis of finding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intermolar widths and the intercanine widths in Class II, Div. 1 malocclusion group were smaller than in normal occlusion group significantly. 2. The arch lengths measured in both Class I and Class II, Div.1 malocclusion groups were larger than in normal occlusion group. 3. The palates in Class I and Class II, Div. 1 malocclusion groups were longer and narrower than in normal occlusion, but the palates in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were shorter than in normal occlusion group significantly. 4. The palatal depths measured at level 1 in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normal occlusion and in Class II, Div. 1 group the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normal occlusion at level 2 and 3. 5. The measurements of palatal areas at various level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occlusion and normal occlusion groups. 6. The palatal indies 1 (palatal length / palatal width) measured in both Class I and Class II, Div. 1 malocclusion group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in normal occlusion and the palatal indice 2 (palatal depth at level 1/palatal width) measured in all malocclusion groups are greater than in normal occlusion. 7. It was determined from findings of this study that the measurements of maxillary dental arch and palate were influenced to a considerable extent by the molar relationship.

  • PDF

Changes in buccal facial depth of female patients after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orthodontic treatments: A preliminary study

  • Dai, Fanfan;Yu, Jie;Chen, Gui;Xu, Tianmin;Jiang, Ruoping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72-181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buccal facial depth (BFD) changes after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orthodontic treatments in post-adolescent and adult female patients, and to explore possible influencing factors. Methods: Twelve and nine female patients were enrolled in the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groups, respectively. Changes in BFD in the defined buccal region and six transverse and two coronal measuring planes were measured after registering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three-dimensional facial scans. Changes in posterior dentoalveolar arch widths were also measured. Treatment duration, changes in body mass index (BMI), and cephalometric variable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Results: BFD in the buccal region decreased by approximately 1.45 mm in the extraction group, but no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in the nonextraction group. In the extraction group, the decrease in BFD was identical between the two coronal measuring planes, whereas this differed among the six transverse measuring planes. Posterior dentoalveolar arch widths decreased in the extraction group, whereas these increased at the second premolar level in the nonextraction group. The treatment duration of the extraction group was twice that of the nonextraction group.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BMI and Frankfort horizontal-mandibular plane angle changes between the groups. BFD changes in the buccal region moderately correlated with treatment duration and dental arch width change. Conclusions: BFD decreased in adult female patients undergoing extraction, and this may be influenced by the long treatment duration and constriction of dentoalveolar arch width. However, nonextraction treatment did not significantly alter BFD.

Clinical predictors of potentially impacted canines in low-risk patients: A retrospective study in mixed dentition

  • Sergio Estelita Barros;Bianca Heck;Kelly Chiqueto;Eduardo Ferreira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06-115
    • /
    • 2023
  • Objective: To evaluate the null hypothesi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a set of clinical predictors of potentially impacted canines between low-risk patients with and without displaced canines. Methods: The normal canine position group consisted of 30 patients with 60 normally erupting canines ranked in sector I (age, 9.30 ± 0.94 years). The displaced canine group comprised 30 patients with 41 potentially impacted canines ranked in sectors II to IV (age, 9.46 ± 0.78 years). Maxillary lateral incisor crown angulation, inclination, rotation, width, height, and shape, as well as palatal depth, arch length, width, and perimeter composed a set of clinical predictors, which were evaluated on digital dental casts. Statistical analyses consisted of group comparisons and variable correlations (p < 0.05).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sex and mesially displaced canines. Unilateral canine displacement was more prevalent than bilateral displacement. The crown of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s was significantly angulated more mesially and rotated mesiolabially in low-risk patients with displaced canines, who also had a shallower palate and shorter anterior dental arch length. Lateral incisor crown angulation and rotation, as well as palatal depth and arch length,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anine displacement severity. Conclusions: The null hypothesis was rejected. Maxillary lateral incisor angulation inconsistent with the "ugly duckling" stage as well as a shallow palate and short arch length are clinical predictors that can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early screening of ectopic canines in low-risk patients.

모델 스캐너와 구내 스캐너로 획득한 디지털 모형에서 시행한 공간 분석의 타당도, 신뢰도, 재현성 평가 (Validity, Reli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Space Analysis using Digital Model taken via Model Scanner and Intraoral Scanner: An In vivo Study)

  • 박서현;김종수;오소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76-187
    • /
    • 2020
  • 이 연구는 모델 스캐너로 석고 모형을 스캔한 디지털 모형(Model scanned digital model, MSD)과 구내 스캐너로 구강을 스캔한 디지털 모형(Intraoral scanned digital model, ISD)에서 계측한 치아 근원심 폭경(Tooth width, TW)과 치열궁 길이(Arch length, AL)의 신뢰도와 재현성, 치열궁 길이 편차(Arch length discrepancy, ALD) 분석의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만 12 - 18세의 남, 여 30명에게 석고 모형, MSD, ISD를 획득하고, 2번 계측한 TW, AL의 신뢰도는 Pearson 상관 분석, 4명의 재현성은 군간 상관 분석 그리고 TW, AL 및 ALD의 타당도는 대응표본 t검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모든 군에서 계측한 TW, AL는 높은 신뢰도와 재현성을 보였고 MSD군의 ALD분석은 적절한 타당도를 보였다. ISD 군의 TW는 가장 높은 타당도를 보인 반면에, AL와 ALD분석은 유의미하게 짧게 측정되어 낮은 타당도를 보였으므로 임상가는 디지털 모델을 이용하여 공간 분석 시행 시 이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한국인 정상교합자의 치아크키와 치열궁 계측치에 관한 연구 (Tooth size and arch parameters of normal occlusion in a Iarge Korean sample)

  • 이신재;문성철;김태우;남동석;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73-48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정상교합자의 치아 크기와 치열궁 척도를 재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296명(남자 179명, 여자 117명)의 정상교합자 모형을 분석하였는데, 이 정상교합자 표본은 1999년부터 2002년까지 시행된 대규모의 구강 검진 사업에 대상이 되었던 15,836명의 성인 중에서 선발되었다. 0.01mm정밀성을 보이는 슬라이딩 디지털 캘리퍼스를 이용하여 치아의 근원심 폭경과 치열궁 폭경, 치열궁 기저부 폭경 및 치열궁 장경을 측정하였으며, 구치부 폭경 비율과 Bolton의 지수를 도출하였다. 계측의 신뢰성 증진을 위한 방안들을 면밀히 고려하였으며, 측정시의 실험자내 및 실험자간의 신뢰성 지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자료의 신뢰성은 매우 우수하였으며, 측정된 자료에서는 명백한 성차가 다시금 확인되었다. 20년전의 자료와 비교한 결과 의미있는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각종의 선형 계측치의 경우 명백한 성차 및 인종간의 차이가 인정되지만 각종 비율 척도의 경우 성별 및 인종에 상관없이 같은 값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임상적으로 부정교합 환자에게 적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과두간 폭경과 상악 제1대구치간 폭경 사이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inter-condylar width and inter-maxillary first molar width)

  • 오상천;공현준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5권4호
    • /
    • pp.214-219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상악과 하악의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보철물로 상실된 치열궁 폭경 재건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과두간 폭경에 대한 상악 제1대구치간 폭경의 상관관계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콘빔형 전산화단층영상(Cone-beam CT)을 촬영한 환자 중, 본 연구의 기준에 부합하는 한국인 120명(남성 60명, 여성 60명)을 선택하였으며 Invivo 5.1을 이용해 Cone-beam CT scan을 분석하였다. 축의 방향설정 후, 상악 제1대구치의 근심 협측 교두정간 거리를 측정하였으며, 과두간 폭경은 각 과두의 중심점을 지정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0.0으로 분석하였고, Pearson의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과두간 폭경과 상악 제1대구치간 폭경의 상관관계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한국인의 평균 과두간 폭경은 105.9 mm였으며, 남성이 108.3 mm 여성이 103.4 mm였다. 평균 상악 제1대구치간 폭경은 57.1 mm였으며, 남성이 57.9 mm 여성이 56.2 mm였다. 과두간 폭경과 상악 제1대구치간 폭경에 대한 Pearson의 상관분석 결과, 0.614의 Pearson 상관계수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과두간 폭경과 상악 제1대구치간 폭경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한국인의 과두간 폭경과 상악 제1대구치간폭경의 평균 비율은 1:0.54를 보였다. 본 제한된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상악과 하악의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과두간 폭경을 본래의 상악 치열궁 폭경 설정을 위한 가이드로서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치열궁 길이 부조화의 기여요인과 예측도에 관한 연구 (CAUSATIVE FACTORS AND PREDICTABILITY OF ARCH LENGTH DISCREPANCY)

  • 정민호;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57-471
    • /
    • 1997
  • 본 연구는 치열궁 길이 부조화(Arch length discrepancy : 이하 ALD)의 원인요소간의 상대적 중요성과 혼합치열기에서의 예측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Angle씨 I급 대구치관계이며 근기능 이상이나 골격형태의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는 142명의 진단모형을 이용하여 성별과 ALD의 양에 따라 여섯군으로 나누어 각 치아의 크기와 치열궁 각 부위의 크기를 계측하였다. SPSS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군의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고 Student t-test, 상관관계 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혼합치열기에서 얻을 수 있는 자료들을 이용한 ALD의 예측가능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별에 따른 차이는 정상군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았으며 spacing군은 대부분의 계측치에서, crowding군은 몇가지 치열궁의 크기에 관한 계측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남자crowding군과 여자 spacing군은 해당 정상군에 비해 주로 치아크기에 관한 계측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남자 spacing군과 여자crowding군은 해당 정상군에 비해 치열궁의 크기에 관한 계측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상관관계분석과 요인분석결과에서는 주로 치열궁의 크기에 관한 계측치들이 ALD와 큰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5. 혼합치열기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인 중절치, 측절치, 제1대구치의 폭경과 제1대구치간 폭경, 치열궁 장경 을 이용한 ALD의 다중회귀분석은 최소 $63\%$에서 최대 $80\%$의 예측도(R square)를 보였다.

  • PDF

하악 치열궁에서 제 3 대구치 맹출상태에 따른 밀집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ROWDING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THIRD MOLARS IN MANDIBULAR ARCH)

  • 송주헌;유영규;오창옥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73-785
    • /
    • 1994
  • It has been generally believed that the impaction or eruption of mandibular third molars has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growth of the mandible, size of mandibular arch and size of tee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there is any correlation between the status of eruption of mandibular third molars and the amount of mandibular crowding. The effect of missing of third moalrs to mandibular crowding was studied as well. 140 adult students of Yonsei University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status of mandibular third molars, Group 1) congenital missing group, Group 2) eruption group, and Group 3) impaction group. The tooth size, dimensions of the mandibular dental arch, and the amount of crowding were measured and compar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ooth size between the missing group and the eruption group(p<0.05). Impaction group showed larger total tooth material, inci- sal tooth material, and individual tooth size except central incisors compared to missing group (p<0.05). Impaction group showed larger total tooth material, incisal tooth material compared to eruption group as well(p<0.05). When individual tooth size was compared, impaction group had larger central incisors, canines, and second premolars than eruption group(p<0.05). 2. Missing group showed larger intermolar width than impaction group and it was stati- stically significant(p<0.05). 3. When compared the amount of total crowding, impaction group showed the largest am- ount of crowding, then eruption group, and missing group showed the least amount of crowding respectively(p<0.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ssing stoup and eruption group in the amount of incisal crowding(p<0.05). Impaction group show- ed the largest amount of incisal crowding among all three groups(p<0.05).

  • PDF

교정치료후의 복귀현상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f Relapse Following Orthodontic Treatment)

  • 이세희;이동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5-122
    • /
    • 1986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relapse amount in the various malocclusions and correlative coefficient with other factors. The sample were consisted of 60 orthodontic patients whose models were perfect before treatment, after treatment and after 6 months post treatment. For this study 8 liner lengths were measured in maxilla and mandible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hange with treatment of maxillary dental arch length was most large in non extraction group of Angle's class II malocclusion. 2. The relapse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 changes was most little in the arch perimeter. 3. The relapse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beginning age of the treatment in non extraction group. 4. The relapse of maxillary intermolar width was increased and those of overbite & molar relationship were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duration of active treatment. 5. The relapse of maxillary intercanine width was increased with a time goes after treat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