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se Skin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5초

상전환 공정에 의한 폴리설폰막의 제조에 있어 제막용액에 첨가된 톨루엔의 영향 (Effect of Toluene Added to Casting Solution on Characteristic of Phase Inversion Polysulfone Membrane)

  • 최승락;박소진;서범경;이근우;한명진
    • 공업화학
    • /
    • 제19권6호
    • /
    • pp.633-639
    • /
    • 2008
  • 상전환법을 이용하여 폴리설폰, n-메틸피롤리돈과 톨루엔으로 이루어진 제막용액으로부터 고분자 분리막이 제조되었다. 톨루엔은 폴리설폰에 대한 비용매로서 제막용액에 첨가되었으며, 침지용 비용매로는 이소프로필알코올이 사용되었다. 제조된 모든 분리막은 밀집 형상의 표면층과 스폰지 형상의 하부층으로 구성된 이중구조 형태의 비대칭성 구조를 보였다. 첨가된 톨루엔은 제막용액의 열역학적 성질을 변화시켜 열역학적 상분리를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였으며, 제조된 분리막은 톨루엔을 첨가에 의해 막의 표면층 두께가 증가하는 특성을 보였다. 분리막의 투과 특성을 측정한 결과, 톨루엔이 첨가되었을 때 밀집 표면층의 두께 증가에도 불구하고 거의 동일한 배제율을 유지하면서 투과플럭스는 5배 이상 증대하는 효과를 보였다.

양서루 피부 과립선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Granular Glands in the Amphibian Skin)

  • 김한화;노용태;정영화;지영득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03-114
    • /
    • 1979
  • 양서류 피부과립선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위하여 무미양서류인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 두꺼비 (Bufo bufo gargarizans), 개구리 (Rana nigromaculata) 및 옴개구리 (Rana rugosa)의 피부조직은 2.5% glutaraldehyde-paraformaldehyde (pH 7.2)와 1%osmium tetroxide에 전후 고정한 후 ethanol과 acetone으로 탈수, Epon 812 mixture에 포매하여 LKB ultramicrotome으로 초박절표본을 만들어 uranyl acetate와 lead citrate으로 염색하여 JEOL-100B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양서류 피부과립선은 선상피세포와 근상피세포로 이루어졌다. 2. 양서류 피부과립선의 선상피세포는 암세포들로 구성되었으나 무당개구리에서는 명세포도 관찰되었다. 3. 양서류 피부과립선은 전분지를 하였다. 4. 양서류 피부과립선 상피세포의 핵은 원형 내지 타원형으로 크고 작은 핵경함요를 보였고, heterochromatin은 주로 핵경 인접부에 많았다. 세포질에는 mitochondria가 핵주변부에 비교적 많이 산재하였고, rough-surfaced endoplasmic reticulum은 핵 주변부에 발달하였지만 smooth-surfaced endoplasmic reticulum은 미약하였다. 5. 분비과립들은 구형 또는 난형으로 높은 전자밀도를 보였으며 다소 약한 전자밀도를 보이는 과립도 관찰되었다. 6. 양서류 과립선내 분비과립들이 같은 세포내에서 다소 전자밀도의 차이를 보이는 것은 분비과립의 형성단계에 따른 농도 차이에 기인하며 그 화학적 조성은 유사하다고 생각된다.

  • PDF

술폰화된 polysulfone 비대칭막의 제조와 이를 이용한 물-부탄올 수용액의 탈수거동 (Dehydration Behavior of Water-butanol Solutions through Asymmetric Sulfonated Po.ysulfone Membrane)

  • 변인섭;백귀찬;차시환;권창오;서종원;김용욱
    • 멤브레인
    • /
    • 제9권3호
    • /
    • pp.170-177
    • /
    • 1999
  • Polysulfone을 술폰화하여 물-부탄올 용액의 분리를 위한 투과증발용 비대칭막을 제조하였다. 술론화제로는 chlorosulfoneic acid-trimethyulchlorosilane을 반응시킨 후 이용하였다. FT-IR과 $^1H$-NMR을 이용하여 치환여부를 살펴보았고 술폰화정도는 역적정법과 $^1H$H-NMR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DSC와 TGA를 이용하여 열적특성변화를 알아보았다. 비대칭막을 제조하기 위하여 N-methyl-2-pyrrolidone(NMP)rhkdiethyleneglycol dimethyl ether (DGDE)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였다. SEM을 이용하여 단면과 skinlayer 의 구조변화를 살펴보았다. 한 연구에서 제조한 비대칭막은 dense film에 비하여 물에 대한 선택도는 거의 변화가 없고 투과유량은 약 80배 정도 증가하였다.

  • PDF

1960년대 한국 여성의 화장 특성 연구 - '여원', '주부생활' 여성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ake-up Characteristics and Image of Korean Women in 1960s - focused on monthly womens magazines -)

  • 김민제;박혜원
    • 패션비즈니스
    • /
    • 제14권2호
    • /
    • pp.14-26
    • /
    • 2010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he woman's beauty makeup trend had been changed in 1960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woman's make-up in that period. For this study, a lot of documents and papers related to the woman's make-up were collected and reviewed. In particula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woman's make up trend in 1960s, a lot of women's pictures and makeup-related articles from 143 volumes of woman's magazines such as Yeowon and Jubusaenghwal were collected. Among the 624 pictures, fifty two pictures which were good enough for studying the total face and makeup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period of this study ranges from 1960 through 1969 and the analysis is focused on skin expression, eyebrow, eye shadow, eye line, lipstick, and brusher and through the related articles, the intention and contents of make up. were delivered and found out.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early 1960s, the woman's make up was characterized by the make up ranging from unnatural and gray skin expression to dense pink skin expression, giving natural and glossy tint onto the skin and in particular putting a bright accent on the eyelid, eye or lip. In the mid-1960s, the make up style expressed skin more naturally, giving more shading on the eyelid, nose and lip, thus having cubic make-up. In the late 1960s, the make up became more refined and harmonized by using colors according to the TPO (time, place and objective) and skin color.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women in 1960s pursued the "cute and young looking image" and used the make up to express their images young and cute. In the mid 1960s, the minimalism which pursued the pure and simple make up appeared in US. That trend affected the make up style of Korean women and hence Korean women showed more natural make up style in the mid and late 1960s.

피부색 범위의 점진적 확장에 의한 얼굴 검출 방법 (A Face Detection Method using Gradual Expansion of Skin Color Range)

  • 문대성;한영미;김민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4권5호
    • /
    • pp.396-405
    • /
    • 2001
  • 일반적으로 피부색과 유사한 칼라가 포함된 복잡한 배경으로부터 미리 정의된 단일 칼라 임계값을 이용해 얼굴영역을 정확하게 추출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기 피부색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장시키면서 얼굴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초기 피부색 범위는 인터넷에서의 다양한 영상으로부터 얼굴 영역의 피부색 분포를 분석하여 매우 밀집되어 나타나는 범위로 선정한다. 피부색 범위를 확장함에 따라 영상 공간에서의 얼굴후보 영역도 확장되어 나타나는데, 확장 단계별로 확장된 얼굴 후보 영역이 실제 얼굴임을 검증하기 위해 얼굴의 모양정보와 얼굴 기관의 위치적 정보를 사용한다. 모양 제한자로는 타원의 특성과 외접 사각형(bounding box)의 가로와 세로의 비율을 사용한다. 얼굴 기관으로는 눈과 입만을 사용했는데, 얼굴 후보 영역 내부의 가로 방향성을 가지는 경계가 주로 눈과 입의 영역임에 착안한 것으로서 비교적 수월하게 추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이 하이라이트(highlight)에 의해 얼굴 영역의 일부가 왜곡된 경우와 얼굴 영역이 피부색과 유사한 배경에 인접해 있는 경우에 대해서도 강인하게 얼굴 영역을 추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무리말뚝의 주면마찰력 분담비율 특성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Ratio for Skin Friction in Group Piles)

  • 이준대;안병철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10호
    • /
    • pp.47-54
    • /
    • 2006
  • H pile은 원형말뚝에 비해 항타에 의해 쉽게 관입이 되며, 높은 주면마찰력과 폐색효과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시험을 통한 화강풍화토 지반에 관입된 H형강 무리말뚝의 주면마찰력 분포특성을 관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말뚝의 배열$(1{\times}2,\;1{\times}3,\;2{\times}2,\;2{\times}3,\;3{\times}3)$, 말뚝설치간격(2D, 4D, 6D)과 지반밀도(40%, 80%)에 따른 재하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전체 재하중에 대한 주면마찰력의 분포비율은 $3{\times}3$ 무리말뚝의 경우 말뚝간격비가 증가할수록 조밀한 지반의 경우 $48{\sim}39%$, 느슨한 지반의 경우에는 $32{\sim}27%$로 각각 감소하였다 그리고 말뚝침하량에 따른 주면마찰력 분포비율은 느슨한 지반조건에서 $2{\times}2$무리말뚝의 경우 $58{\sim}33.2%$, $3{\times}3$무리말뚝의 경우 $65{\sim}38%$로 각각 감소되었다.

Shear and tensile behaviors of headed stud connectors in double skin composite shear wall

  • Yan, Jia-Bao;Wang, Zhe;Wang, Tao;Wang, Xiao-Ting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26권6호
    • /
    • pp.759-769
    • /
    • 2018
  • This paper studies shear and tensile behaviors of headed stud connectors in double skin composite (DSC) structure. Firstly, 11 push-out tests and 11 tensile tes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ultimate shear and tensile behaviors of headed stud in DSC shear wall, respectively. The main parameters investigated in this test program were height and layout of headed stud connectors. The test results reported the representative failure modes of headed studs in DSC structures subjected to shear and tension. The shear-slip and tension-elongation behaviors of headed studs in DSC structures were also reported. Influences of different parameters on these shear-slip and tension-elongation behaviors of headed studs were discussed and analyzed. Analytical models were also developed to predict the ultimate shear and tensile resistances of headed stud connectors in DSC shear walls. The developed analytical model incorporated the influence of the dense layout of headed studs in DSC shear walls. The validations of analytical predictions against 22 test results confirmed the accuracy of developed analytical models.

수축된 콜라겐 격자와 배양된 각질형성세포를 이용한 피부 대용물질의 제조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of Living Skin Equivalent by using the Contracted Collagen Lattice and Cultured Human Keratinocytes)

  • 박재경;조금철;박호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1-62
    • /
    • 1993
  • An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for the preparation of living skin-equivalent by the using collagen gel contraction with human fibroblasts as neodermls and cultured human keratinocytes as neoderm i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rate of collagen gel contraction was dependent on the number of fibroblasts into the lattice and collagen contraction was progressed according to the increment of the number of the cells. 2) The rate of collagen gel contraction was progressed according to the decrement of the contraction of the collagen. 3) The rate of gel contraction was progressed according to the increment of serum concentration in the fixed concentration of the fibroblasts and collagen. 4) The lattice contraction was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ment of the population doublings of the fibroblasts. 5) Macroscopically, the artificial dermis was gray white in color and tissue-like consistency and elas- ticity. 6) Microscopically, three dimensionally contracted artificial dermis showed more dense fibroblasts and its newly formed collagen fibrils in the matrix than one dimensionally contracted one. 7) Finally prepared skin-equivalent showed good attachment of living stratified keratinocytes to the dermal equivalent microscopically. It has been proposed that newly formed skin-equivalent is suitable for the graft of extensively and deeply burned patients. Shortening of the manufacturing period of skin-equivalent and development of conservation technique as a readily usable state are to be solved for our ongoing works.

  • PDF

꿀벌의 독에 의한 생쥐 피부의 조직병리학적 및 미세구조적 변화 (Histopathological and Fine Structural Changes in Mouse Skin after Injection of Honeybee Venom)

  • 신상희;정문진;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27권2호
    • /
    • pp.145-153
    • /
    • 1997
  • 꿀벌(Apis mellifera)의 독에 의해 야기되는 포유동물 피부의 조직병리학적 및 미세구조적 변화와 그 수복과정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용 생쥐의 피부에 직침법으로 꿀벌의 독을 주입한 후, 회복된 시점까지 일정시간 간격으로 조직의 표본을 제작하여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독 주입 직후의 표본에서는 표피의 상피세포와 진피의 결합조직에서 현저한 염증반응이 유도되었고, 일부세포의 괴사가 관찰되었다. 고배율의 전자현미경상에서 교원섬유의 직경이 크게 증가되었으며, 면역 단백물질로 추정되는 전자밀도가 높은 grain의 침착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조직병리현상은 독 주입 후 12시간이 경과된 조직의 표본에서 서서히 회복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봉침 주위 피부조직의 조직학적 및 미세구조적 변화는 수 일간 지속되었으나, 병리학적 반응은 3일 이내에 거의 거의 소멸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생쥐 피부에 대한 꿀벌 독의 병리반응은 다른 절지동물의 독에 비하여 비교적 경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성인남녀의 피부 냉점 분포에 관한 연구 (Study on skin cold spot distributions of Korean adult)

  • 최정화;설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67-67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number of skin cold receptor in Korean adult as a part of the study to investigate thermal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For this 10 healthy subjects were placed in a climatic chamber and received cold stimulation of 1$0^{\circ}C$ on skin surface of each measuring site with a thermo-stimulator. As a result of cold spot measurement we found 23 points/cm2 at face 13. points/cm2 at chest 16 points/cm2 at abdomen 11 points/cm2 at back 14 points/cm2 at upper arm 16 points/cm2 at forearm 18 points/cm2 at back of the hand 15 points/cm2 at thigh 8 points/cm2 at leg 12 points/cm2 at dorsum of foot 8 points/cm2 at sole of foot in male subjects and in female subjects we fund 18 points/cm2 at face 13 points/cm2 at forearm 11 points/cm2 at at back of the hand 8 points/cm2 at palm 9 points/cm2 at thigh 6 points/cm2 at leg 8 points/cm2 at dorsum of foot 2 points/cm2 at sole of foot. The distributions of cold spots varied in different regions of the body surface and was exceptionally dense in the facial skin. There were some differences among other researchers' results but the cause of those differences are not yet known those are due to individual or methodological differ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