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drophyllia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A New Record of Dendrophyllia compressa (Anthozoa: Hexacorallia: Scleractinia: Dendrophylliidae) from Korea

  • Choi, Eunae;Song, Jun-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2권1호
    • /
    • pp.38-43
    • /
    • 2016
  • Dendrophyllia compressa Ogawa and Takahashi, 1995 is newly reported from Korea. The specimen was collected off Seogwipo, Jeju-do, Korea in 1969. It is described herein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 skeletal structures. Dendrophyllia compressa is characterized by its small and bushy growth form with branches, vertical growth direction, small calicular diameter, compressed calice, Pourtalès Plan with vertical septal inner edges, flat and spongy columella, exserted septal upper margins, and epitheca. Dendrophyllia compressa has been synonymized with Cladopsammia eguchii . However, the former species differs from the latter species in its growth form, growth direction, colony size, corallite size, and corallite shape.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Korean Anthozoa: 7. Scleractinia (Hexacorallia)

  • Song, Jun-Im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31-148
    • /
    • 1982
  • 한국산 六放珊瑚類의 계통분류학적 연구를 하기 위하여 1969년 12월부터 1981년 7월까지 남한의 16개지역 (동해, 남해, 황해연안과 도서지방)으로부터 채집된 표본들을 동정분류한 결과 다음과 같은 돌산호類에 속하는 5亞目 6科 11屬 17種을 얻었다. 이들은 모두 韓國未記錄種이며 다음과 같다. Psammocora profundacella, Alveopora japonica, Culicia japonica, Caryophyllia japonica, Cyathoceras niinoi, Heterocyathus aequicostatus, H. japonicus, Stephanocyathus (Odontocyathus) spiniger, Desmophyllum insignis, Flabellum distinctum, F. rubrum, F. transversale, Dendrophyllia boschmai, D. cribrosa, D. florulenta, Tubastraea aurea 및 T. coccinea.

  • PDF

한국산 산호충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12. 돌산호목 (A Systematic Study on the Korean Anthozoa 12. ORder Scleractinia)

  • 송준임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7권1호
    • /
    • pp.127-150
    • /
    • 1991
  • 한국산 산호충류 중 돌산호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를 하기 위하여 1969년부터 1986년까지 우리나라의 삼면연안과 도시지방(35개지역)으로부터 채집된 표본들을 동정 분류하고 지리적 분포도 고찰하였다. 그 결과 5아목 7과 15속 24종이 밝혀졌으며 이 중에서 7종은 한국 미기록종이었다. 한국산 돌산호류를 분포형으로 보면 열대형(16종, 66.7%)과 온대형(8종, 33.3%)으로만 되어있고, 해역별로 보면 제주도 해역에 16종(4온대종,12열대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분포하였으며 황해에 3종 (2온대종, 1열대종)으로 가장 적은 종이 분포하였다. 해역간 유사계수를 근거로 보면 대한해협과 동해 사이의 유사성(0.596)이 가장 크고, 황해와 제주도해역 사이의 유사성(0)은 전혀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