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mentia knowledge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3초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돌봄 이행 및 공감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Nursing Students' Knowledge on Dementia, Care Performance and Empathy)

  • 장현정;임동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521-531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치매에 대한 지식, 돌봄 이행 및 공감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치매 환자 간호중재 전략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이에 따른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은 학년(t=-4.03, p<.001)이 높을수록, 치매에 대한 관심도(F=5.02, p=.008)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돌봄 이행은 임상실습 만족도(F=3.91, p=.023)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치매에 대한 지식과 돌봄 이행(r=.21, p=.023)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을 높이고 치매 환자에 대한 돌봄 이행을 유발할 수 있도록 임상실습 전에 치매 관련 지식함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치매전문요양보호사의 치매 지식, 공감 및 치매에 대한 태도 (A Study of Knowledge about Dementia, Empathy and Attitudes toward Dementia in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 박아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389-397
    • /
    • 2018
  • 본 연구는 치매전문요양보호사의 치매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치매돌봄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거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G시와 J도에 소재한 요양센터에 근무하는 치매전문요양보호사 14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로 설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치매지식 점수는 30점 만점에 평균 $20.18{\pm}3.58$점, 공감은 105점 만점에 평균 $83.12{\pm}9.68$점, 치매에 대한 태도는 140점 만점에 평균 $96.45{\pm}13.72$점이었다. 치매에 대한 태도는 연령, 직업동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지식 및 공감과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은 공감으로 설명력은 28.6%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요양보호사의 연령, 동기, 공감에 따른 치매전문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할 것을 제언한다.

일지역 후기노인의 치매인식도와 치매태도가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Dementia Knowledge and Dementia Attitude on Physical Activity of Old-Old Elderly)

  • 이정화;서순림;김은휘
    • 한국노년학
    • /
    • 제37권2호
    • /
    • pp.369-383
    • /
    • 2017
  • 본 연구는 치매의 고위험군인 후기노인을 대상으로 치매인식도, 치매태도 및 신체활동을 조사하고, 치매인식도와 치매태도가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후기노인을 위한 맞춤형 복합 신체활동증진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K군에 소재하는 9개 노인복지시설을 방문하는 7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2016년 06월 01일부터 06월 30일까지 일대일 면담을 통한 설문지 작성으로 총 218명의 자료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치매인식도, 치매태도 및 신체활동은 모두 낮은 수준이었고, 치매인식도와 치매태도(r=.380, p<.001) 및 신체활동(r=.211, p=.002), 치매태도와 신체활동(r=.405, p<.001) 간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후기노인의 신체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치매태도(${\beta}=.271$, p<.001)였고, 이외 성별(${\beta}=.207$, p=.003)과 교육수준(${\beta}=.184$, p=.023)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28.8%이었다. 결론적으로 노인을 위한 맞춤형 복합 신체활동프로그램 개발시 특히 저학력 여성 후기노인에 초점을 둔 치매인식도 및 치매태도의 제고방안이 포함되어야 한다.

일반 재가노인을 위한 치매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a Dementia Education Program for the Aged)

  • 공은희;정영순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52-261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dementia education program for Korean older adults who resided in community. Methods: The research adopted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 total of 66 older adults completed the study (31 older adul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5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six-session dementia education program for three weeks. The effects of the dementia education program were evaluated using the measures of knowledge of dementia and attitude toward dementia.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 with SPSS/WIN 18.0.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knowledge of dementia in the experimental group (t=2.75, p=.008). Although there was an increase in attitude toward dementia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chan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1.26, p=.212).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ementia education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knowledge of dementia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There is a need to develop more effective dementia education programs designed to improve older adults' attitude toward dementia. Further research is needed using a highly rigorous research methodology.

치매예방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치매지식, 우울,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시카고 한인노인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a Dementia Preventive Program on Dementia Knowledge,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among elderly in Community (Korean elderly apartment in Chicago))

  • 임선옥;조현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82-19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예방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치매지식, 우울,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유사실험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로 실험군 30명, 대조군 31명 총 61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치매지식(t=3.976, p<.001), 인지기능(t=3.048,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치매예방프로그램은 노인의 치매지식과 인지기능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미국의 다른 도시에 거주하는 한인노인들에게 치매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성인의 치매지식, 태도, 예방교육 요구도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and Needs of Preventive Education related to Dementia in Adults)

  • 박선남;임희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347-356
    • /
    • 2020
  •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예방교육 요구도를 파악하여 성인의 치매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전략과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 성인 중 연구에 동의한 127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자가보고 형식의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분석한 결과 치매 지식 정도는 8.17점(12점), 치매에 대한 태도는 7.14.점(10점), 치매예방에 대한 교육요구도 정도는 4.56점(5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변수와 각 요인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 치매교육요구도는 교육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치매교육에 대한 관심정도에서는 직업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 치매에 대한 지식과 치매예방교육 요구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01)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은 치매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고 치매에 대한 태도 점수가 높게 나타나 치매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로 볼 수 있겠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치매의 조기발견과 예방행위에 적극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되므로 긍정적인 결과로 보인다. 그러므로 성인을 위한 치매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제공과 치매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향상시켜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개별적인 중재전략이 필요하겠다.

How Much Do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Rural South Korea Know About Dementia?

  • Kim, Mi Sook;Shin, Dong-Soo;Choi, Yong-jun;Kim, Jin Soo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1권4호
    • /
    • pp.188-195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evel of dementia knowledge of older Korean adults living alone in rural areas and to identify related factor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design was applied. The participants were 231 older adults living alone who were recruited from 12 of the 13 primary health care posts in the rural area of Chuncheon. Participants' level of dementia knowledge was assessed using the Dementia Knowledge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t-test, analysis of variance, chi-square test, and Mann-Whitney test were applied. Results: Participants' mean age was $77.3{\pm}5.4$ years, and women comprised 79.7% of the sample. Over half of the participants (61.9%) had no formal education, and all the participants were enrolled in Medical Aid. The participants' averag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61.6%. The highest rate (94.4%) was for the item "Dementia can change one's personal character." The item with the lowest proportion of correct answers was "Dementia is not treatable" (23.4%). Dementia knowledg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ge, education, health coverage, source of living expenses, and dementia risk. Conclusions: Dementia knowledge among Korean rural older adults living alone was relatively low. Participants' misconceptions about symptoms and treatment could hinder them from seeking early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active outreach and health care delivery for rural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South Korea.

중년기 성인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가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요인 (The Effect Dementia Knowledge and Attitude on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of Adults)

  • 김영희;권영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9-17
    • /
    • 2020
  • 본 연구는 중년기성인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에 대하여 조사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K시와 P시에 거주하는 중년기성인으로 총230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9년 3월부터 2019년 7월 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해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치매에 대한 지식은 15점 만점에 9.97점, 치매대한 태도는 60점 만점에 47.45점, 치매예방행위는 36점 만점에 27.75점으로 나타났다. 치매에 대한 지식은 치매에 태도(r=.122, p=.050)와 치매 예방행위(r=.122, p<.05)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치매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결혼상태(β=.129, p<.05), 교육정도(β=.219, p<.000), 질병의 종류(β=-.108, p<.000), 종교의 유무(β=-.219, p<.000), 치매에 대한 관심(β=.237, p<.000), 음주유무(β=.317, p<.000), 흡연유무(β=.235, p<.000), 치매에 대한 지식(β=.316, p<.000)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년기성인의 치매예방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치매에 대한 지식, 긍정적인 태도 및 좋은생활습관을 실천하기 위한 중년기성인에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간호대학생의 치매정책인식과 치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Dementia Attitude and Recognition of Dementia Policy of Nursing Students)

  • 최희정;권영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161-16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치매정책인식과 치매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대상자는 G도시 K 대학 간호 학생 1~2학년, 184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7 년 5 월 1 일부터 5 월 31 일까지였고, SPSS /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one-way ANOVA, t-test, Pearson 상관계수 및 다중단계 회귀분석을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태도는 치매에 대한 관심과 치매병동 근무의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치매정책인식, 치매지식, 노인태도와 치매태도 정도는 보통 이상이었고, 치매정책인식, 치매지식, 노인태도 및 치매 태도에서는 모두 정상관관계가 있었다. 치매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은 치매정책인식(β = .22, p = .004), 치매에 관심없다(β = -.20, p = .006), 치매병동 근무 의향 없다(β = -.16, p = .021), 치매지식(β = .15, p = .027)이었고, 설명력은 23.4 %였다. 따라서 올바른 치매지식, 긍정적인 치매태도, 간호대학생의 치매정책인식을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치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중년 성인의 치매지식과 관련요인 (Dementia Knowledge and Related Factors in Middle-aged Adults)

  • 김정아;고자경;문숙남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93-303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dementia and to find the related factors in middle-aged adults. Method: The research design was a descriptive study by using a constructive self-report questionnaire with 34 items. Data were collected from 397 middle-aged adult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analysis was done by SPSS/WIN Programs using frequency, range from minimum to maximum, percentage, mean, SD, ${\chi}^2-test$, t-test,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Results: The rate of correct answer of middle-aged adults was 68.7%, showing the mid-level of knowledge about dementi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job, incom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ources for dementia in middle-aged adult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Korean middle-aged adults need more education and counseling on dementia.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overcome regionalism in sampling of this study and to develop standard measuring tools for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dementi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