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layed injection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25초

관동맥내 주사 TI-201 SPECT에서 심근 분절의 섭취: 부하-재주사 TI-201 영상과의 비교 (Myocardial Tracer Uptake in SPECT Images after Direct Intracoronary Injection Of TI-201: Comparison with Stress-Reinjection Images)

  • 서지형;강성민;배진호;이용진;이상우;유정수;안병철;조용근;이재태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1권4호
    • /
    • pp.291-29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관동맥 혈류가 감소된 부위에 혈중 방사성의약품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심근내 섭취를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관동맥조영술 시에 관동맥 내에 Tl-201를 직접 주사한 후 SPECT 영상을 얻어 심근 분절의 섭취 정도를 평가하였다. 이 심근영상을 생존심근의 진단에 이용되는 아데노신 부하-재주사 TI-201 SPECT 영상의 심근 내 방사성의약품의 섭취 정도와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심장 초음파검사에서 심벽운동의 이상이 있고, 관동맥조영술을 시행할 예정인 14명의 관동맥질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남자가 11명이었고, 평균연령은 54세(36-73세)였다. 관동맥내 주사 TI-201 SPECT 영상은 관동맥조영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관동맥조영술이 끝나기 직전에 TI-201 111 MBq(3 mCi)를 나누어서 각각 좌, 우관동맥 내에 각각 직접 주사하여 얻었다. 아데노신 부하-재주사 TI-201 SPECT 영상은 TI-201 2-3mCi를 정맥주사 후 아데노신 부하영상을 얻고 4시간 후에 TI-201 1mCi를 재주사한 후 다시 영상을 얻었다. 심근분절의 섭취정도에 따라 0-3의 4등급으로 분류하였다. 정상적인 섭취를 등급 0, 경도로 감소된 섭취를 등급 1, 중등도로 감소된 섭취를 등급 2, 심하게 감소되었거나 관류결손이 나타난 분절은 등급 3으로 분류하였다. 생존된 심근의 판정은 부하영상 재주사후의 영상, 또는 관동맥주사후의 영상 모두에서 심근 분절의 섭취정도가 등급 0, 1인 경우는 생존심근으로 판정하였고, 심근 분절의 Tl-201 섭취가 정상분절 섭취의 50%이하이며 역치를 50%로 설정 한 color coding으로 black-out하였을 때, 결손으로 나타나는 등급 2, 3을 비생존 심근으로 판단하였다. 결과 총 14명의 환자 중 14%에 해당하는 2명의 관동맥내 주사 영상은 낮은 계수율로 인하여 심장의 경계가 정확하게 구분되지 않거나 분절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영상이 깨끗하지 못하였으므로 본 연구의 심근분절 섭취 분석에서 제외하였고 나머지 12명의 영상에서 총 252분절을 구분하여 섭취 정도를 분석하였다. 관동맥내 주사 영상에서 0등급-1등급이었던 192개의 분절을 생존심근으로 판단하였고, 재주사 영상에서는 0등급-1등급이었던 214개의 분절이 각각 생존심근으로 나타났다. 두 영상에서의 관류등급 평가에 대한 일치율은 76.5%였으며 생존능 평가에 대한 일치율은 90.5%였다. 부하-재주사영상시 비생존심근으로 나타난 38개의 분절 중 단 1개의 분절만이 관동맥내 주사 영상에서 생존심근인 것으로 판단할 소견을 보였으며, 부하-재주사 영상에서 생존심근인 것으로 나타났던 214개의 분절 중에서는 23개의 분절은 관동맥주사 영상시 오히려 생존능이 없는 것으로 하향 평가 되었다. 결론: Tl-201 관동맥내 주사 SPECT 영상은 Tl-201 부하-재주사 SPECT 영상과 비교하였을 때, 심근의 생존능을 평가하는데 있어 어느 정도 도움을 줄 수는 있으나 우월하지 않았다. 관동맥내 주사 영상은 6시간에서 24시간이 지나 얻은 지연영상의 낮은 계수율 때문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얻었을 것 이 라 판단되었고, 조기에 영상을 얻기가 어려운 현실에서, Tl-201 관동맥내 주사 영상의 임상적 유용성은 제한적일 것이다.

종양수술전 화학요법이 미세수술시 피판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DUCTION CHEMOTHERAPY ON FLAP SURVIVAL RATE IN MICROSURGERY)

  • 김욱규;김용덕;변준호;신상훈;정인교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9권6호
    • /
    • pp.421-429
    • /
    • 2003
  • 총 24 마리의 백서를 선택하여 종양화학요법제의 하나인 5-FU를 복강내 투여한후 24 시간이 지난후 8마리에서는 하복부 동맥 및 정맥을 근간으로 한 하복부 피부 도상피판($2{\times}3cm^2$)울 좌, 우 2 개씩 형성하고 피판을 허혈상태를 유도하여 유리피판상태를 만들었다. 허혈상태를 1 시간정도유지한후 다시 혈류를 재개시켜 피판으로의 혈류를 재개시키고 상처부를 층별봉합 하였다. 그 후 3 일, 5 일, 7 일째 각각 2마리씩 희생하여 H-E staining하였다. 또한 술후 1 일, 3 일, 5 일, 7 일째 피판생존을 육안으로서 확인하고 피판의 survival rate를 비교하기 위하여 사진촬영하여 digital image를 얻은후 adobe software program을 이용하여 Image, Histogram기능을 써서 60,000 pixels(가로${\times}200$, 세로${\times}300$)상태에서 피판의 Luminosity(광도)정도를 수치화하였다. 마찬가지의 술식으로 5-FU를 투여후 3일이 경과된후 8마리를 동일한 부위에 동일한 피판을 써서 3 일, 5 일째 각각 2 마리에 대해 피판을 채취하여 H-E staining 하여 조직현미경상의 치유과정을 관찰하였다. 대조군으로서 복강내 5-FU를 투여받지않은 백서 8마리에서 동일한 도상 피부피판을 형성하고 3 일, 5 일, 7 일째되는 2마리씩 피판부위를 채취하여 H-E염색하여 조직치유반응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피판의 생존율을 계산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육안적 소견으로 치유의 순은 대조군, 항암 24 시간째군, 항암 3 일군순으로 빨리 치유되었다. 2. 피판생존율을 비교하기 위한 광도(Luminosity)의 차는 3군끼리 모두 유의한 차를 보였으며 평균치 비교에서는 대조군, 항암 24 시간째군, 항암 3 일군순으로 높았다. 3. 광학현미경상 조직치유의 정도는 5개 항목으로 나누어 관찰하였다. 전체적으로 대조군과 항암 24 시간군은 시일이 지날수록 치유가 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항암 3 일군은 조직의 염증반응이 더 심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epidermis necrosis관찰항목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항암제투여군이 경도의 반응을 보였고 항암3 일군에서 가장 심하였다. Inflammation state는 3일째는 대조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시일이 지남에 따라 감소한 반면 항암 3 일군은 시일이 지날수록 심해졌다. dermis fibrosis면에서는 항암 24 시간군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vessel change는 대조군과 항암 24군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고 항암 3 일군에서는 중등도로 관찰되었다.fatty tissue layer thinning은 3 군모두에서 관찰되었고 항암 3 일군이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보면 술전 항암제투여가 초기에 시행한 경우에는 조직의 치유에 초기 5 일정도까지는 영향을 미치나 7 일이 지나면 정상범주로 회복함을 알수 있었고 실험결과 항암제 투여후 3 일째 피판 형성한 군에서 피판치유가 늦어진 것으로 관찰되어 인체에서 항암 투여후 수술시기는 인체면역계가 회복하는 시기를 3주이상 경과후 적어도 4주째 수술시기를 정하는 것이 유리하리라 생각되었다.

Cimentidine에 의(依)한 면역반응조절(免疫反應調節) (Modulation of Immune Response by Cimetidine)

  • 하대유;이헌구;송양근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9-55
    • /
    • 1981
  • 최근(最近) 히스타민이 면역반응(免疫反應)을 조절(調節)함이 구명(究明)되고 있으나 생체내(生體內) 실험(實驗) 특(特)히 마우스에서의 연구보고(硏究報告)를 희소(稀少)하다. 본(本) 실험(實驗)에서는 histamine-2-receptor antagonist($H_2$ 차단제(遮斷劑))인 cimetidine과 히스타민이 마우스의 면양적혈구(緬羊赤血球)(SRBC)에 대(對)한 면역반응(免疫反應)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실험(實驗)하였다. 마우스를 매일(每日) 14일간(日間) 여러가지 농도(濃度)의 cimetidine 으로 전처리(前處理)하고 여러가지 농도(濃度)의 SRBC($10^6,\;10^7$$10^8$ 세포(細胞))로 면역(免疫)하고 4일(日) 후(後)에 마우스 족척(足蹠)에 SRBC로 야기주사(惹起注射)하여 Arthus반응(反應)과 지연성과민반응(遲延性過敏反應)(DTH)를 족척종창반응(足蹠腫脹反應)으로 측정(測定)하였으며, 체액성면역반응(體液性免疫反應)은 적혈구응집소가(赤血球凝集素價)를 측정(測定)하였다. 수(數) 종(種) 농도(濃度)($10^{-1}M,\;10^{-3}M$, 및 $10^{-5}M$)의 히스타민을 야기주사(惹起注射)와 동시(同時)에 주사(注射)하여 24시간(時間)-DTH를 측정(測定)하여 히스타민 효과(效果)를 평가(評價)하였다. Cimetidine은 DTH를 항진(亢進)시켰으며 그 항진(亢進)은 250 ${\mu}g$의 cimetidine을 투여(投與)하였을 때 현저(顯著)하였다. 그러나 Arthus 반응(反應)과 혈청항체가(血淸抗體價)는 cimetidine 전처리(前處理) 군(群)과 대조군간(對照群間)에 유의(有意)한 차이(差異)가 없었다. 히스타민은 SRBC에 대(對)한 DTH를 투여량-의존성(投與量-依存性) 유형(類型)으로 억제(抑側)하였으며 그 억제(抑制)는 저농도(低濃度)의 항원량(抗原量)($10^6$$10^7$ SRBC)일때 더 현저(顯著)하였다. 그러나 외인성(外因性) 히스타민은 $10^8$ SRBC로 면역(免疫)하였을 때늘 DTH를 감소(滅少)시키지 않았다. 이상(以上)의 본(本) 실험결과(實驗結果)는 cimetidine이 세포성(細胞性) 면역반응(免疫反應)을 항진(亢進)시키나 체액성(體液性) 면역반응(免疫反應)은 증가(增加)시키지 않으며 내인성(內因性) 및 외인성(外因性) 히스타민 즉시형과민반응(卽時型過敏反應)뿐만 아니라 세포성(細胞性) 면역반응(免疫反應) 조절(調節)에 관여(關與)함을 강력(强力)히 시사(示唆)하는 증거(證據)라고 사료(思料)되었다.

  • PDF

신경결찰에 의한 신경병증성 통증 쥐에서 NMDA Antagonist 전처치가 이질통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treatment with NMDA Antagonist for Tactile Allodynia in Nerve Ligation Induced Neuropathic Pain Rat)

  • 이윤우;윤덕미;이종석;안은경;이영숙;김종래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9권2호
    • /
    • pp.311-317
    • /
    • 1996
  • Background: Following peripheral nerve injury, rats will show a tactile allodynia and hyperalgesia. But the mechanism of allodynia is still obscure.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is allodynia was reversed by intrathecal alpha-2 agonists and NMDA antagonists, but not by morphine. In formalin test, either the pretreatment of NMDA antagonist or morphine prevents the hyperalgesia. The present studies, using rats rendered allodynic by ligation of the left L5 and L6 nerve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etreatment of MK-801 and morphine on the development of tactile allodynia. Methods and Material: Male Sprague-Dawley rats (100~150g) were anesthetized with halothane, the left L5 and L6 spinal nerves were ligated tightly by 6-0 black silk. For sham operation muscle dissection was performed but the spinal nerve was not ligated. For pretreatment of drugs, MK-801 (NMDA antagonist; 0.3 mg/kg). CNQX (non-NMDA) antagonist; 0.3 mg/kg), morphine (1 mg/kg) or saline (placebo) was administered subcutaneously 30 minutes before operation. A second dose was administered subcutaneously 24 hours after operation and further doses were given daily for 2 days further. The volume of injection was 5 ml/kg. To assess the mechanical allodynia, paw withdrawal thresholds of ipsilateral limb were determined using 8 von Frey hairs. Results: Within 2 days saline, CNQX or morphine injected rats developed tactile allodynia (paw withdrawal threshold was about 2g), and persisted for over 2 weeks. Pretreatment of MK-801 delayed the development of tactile allodynia for 3 days comparing to that of saline injected rat. Conclusion: NMDA receptor in the central nerve system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actile allodynia induced by peripheral nerve injury. But the mechanism may be different from hyperalgesia developed in formalin test.

  • PDF

프루텔고치벌(Cotesia plutellae) 유래 폴리드나바이러스의 비자연 기주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에 대한 발육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Cotesia plutellae Bracovirus (CpBV) on Development of a Non-natural Host, Spodoptera exigua)

  • 김용균;김지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17-223
    • /
    • 2004
  • 폴리드나바이러스는 일부 내부기생봉의 공생 바이러스로서 기생봉 기생과정중 피기생자의 면역억제와 발육지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프루텔고치벌(Cotesia plutellae)유래 브라코바이러스(CpBV)는 피기생자의 발육을 교란시키는 주요 원인자로서 작용하는 폴리드나바이러스의 일종이다. 본 연구는 이 CpBV가 비자연기주에게도 발육교란을 유발할 수 있는 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프루텔고치별에 의해 기생되지 않는 비기주인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을 이용하였다. 이용된 CpBV는 프루델고치벌 난소받침(calyx)추출물에서 얻었다. 이 추출물은 CpBV항체에 대해서 뚜렷한 항원-항체반응성으로 CpBV 보유가 입증되었다. 고치벌 암컷 한 마리 CpBV 추출물을 후기 4령의 파밤나방 혈강내로 주입시켰다. CpBV 주입된 파밤나방 유충은 유충기간이 연장되고, 체중증가 가 억제되며, 궁극적으로 변태가 억제되었다. 이러한 CpBV의 발육억제 효과는 이 바이러스의 항체를 함께 주입하여 줌으로 해소되었다. 여기서 항체 단독으로는 파방나방 유충 발육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 결과는 CpBV가 공생 기생봉의 비기주체에 대해서 발육교란 효과를 줄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Anti-thrombotic Effects of Modified Jeho-tang using a $FeCl_3$-induced Carotid Arterial Thrombosis Model

  • Bang, Jihye;Lee, Ki Mo;Kim, Bu-Yeo;Lee, Jeong-Hwa;Lee, In Sun;Jeon, Won Kyung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51-58
    • /
    • 2013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ntithrombotic effects of the four herbal ingredients (Mume Fructus, MF; Santali Albi Lignum, SAL; Amomi Tsao-Ko Fructus, ATF; and Amomi Fructus, AF) of modified Jeho-tang (MJHT) in a ferric chloride ($FeCl_3$)-induced carotid arterial thrombosis model. Methods: Thirty minutes prior to a 35% $FeCl_3$ application, Sprague-Dawley (SD) rats were injected with saline, MF, SAL, ATF or AF (100 mg/kg, intraperitoneal injection), respectively. The effect of the MJHT ingredients was examined for time to occlusion (TTO) and thrombus weight (TW) in a $FeCl_3$-induced thrombosis model. Histolog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JHT ingredients on collagen fiber damage using hematoxylin & eosin and Masson's trichrome staining. Results: Compared with vehicle treatment, MF, SAL and ATF treatment delayed TTO (vehicle, $8.11{\pm}0.60$ min; MF, $16.67{\pm}1.03$ min; SAL, $17.50{\pm}1.52$ min and ATF, $13.33{\pm}1.21$ min; P < 0.001) and inhibited thrombus formation (vehicle, $0.79{\pm}0.03$ mg/mm; MF, $0.61{\pm}0.07$ mg/mm; SAL, $0.57{\pm}0.03$ mg/mm and ATF, $0.72{\pm}0.02$ mg/mm; P < 0.001). In addition, each herbal ingredient of MJHT except for AF prevented the collagen fiber damage induced by a 35% $FeCl_3$ applic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JHT ingredients MF ${\geq}$ SAL ${\geq}$ ATF ${\geq}$ AF possess antithrombotic activity in a $FeCl_3$-induced carotid arterial thrombosis. Conclusions: Altogether, these results are the first evidence that the MJHT ingredients MF, SAL and ATF have the ability to prevent vascular damage and thrombus formation in $FeCl_3$-induced carotid arterial thrombosis.

인터루킨-4를 발현하는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에 의한 암성장의 억제 (Effective Antitumor Activity of a Recombinant Vaccinia Virus Expressing Murine Interleukin 4)

  • 윤기정;김영일;김선영
    • 대한바이러스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1-78
    • /
    • 1998
  • Vaccinia virus is the prototype orthopoxvirus that has been used as a vaccine strain for small pox. This virus has been used to express a variety of cellular and viral genes in mammalian cells at high levels. Interleukin-4 (IL-4) has been found to stimulate the proliferation of T cells and enhance the cytolytic activity of cytotoxic T lymphocytes. To test the immunotherapeutic potential of IL-4 delivered in vivo by poxvirus, a recombinant vaccinia virus expressing the murine IL-4 gene (RVVmIL-4) was constructed. A high level of IL-4 production was confirmed by infecting HeLa cells and measuring IL-4 in cell culture supernatant by ELISA. As a tumor model, two cell lines were used; the murine T leukemic line P388 and the murine breast cancer line TS/A. CDF1 mice were intraperitoneally inoculated with $1\;{\times}\;10^5$ cells of P388. Mice were injected at the same site with $5\;{\times}\;10^5\;PFU$ of recombinant vaccinia virus; first, 3 days after the injection of tumor cells and thereafter once every week for 3 weeks. Intraperitoneal injections of RVVmIL-4 significantly prolonged the survival time of mice inoculated with tumor cells. All mice injected with RVVmIL-4 remained alive for 30 days after the postinoculation of tumor cells, while 100% and 70% of the animals injected with saline or wild type vaccinia virus died, respectively. In another tumor model using TS/A, tumor was established by subcutaneously inoculating $2{\times}10^5$ tumor cells to BALB/c mice. After tumor formation was confirmed on day 4 in all mice, $5\;{\times}\;10^6\;PFU$ of RVVmIL-4 was inoculated subcutaneously three times, once every week for 3 weeks. The TS/A tumor was eradicated in two of the nine mice. Seven of the nine mice treated with RVVmIL-4 developed a tumor, but tumor growth was significantly delayed compared to those treated with saline or wild type vaccinia vir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combinant vaccinia viruses may be used as a convenient tool for delivering immunomodulator genes to a variety of tumors.

  • PDF

가압경수로의 부분충수 운전중 잔열제거계통 기능 상실사고시 가압기와 증기발생기 Manway 유출유로를 이용한 사고완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ent Path Through the Pressurizer Manway and Steam Generator Manway under Loss of Residual Heat Removal System During Mid-loop Operation in PWR)

  • Y. J. Chung;Kim, W. S.;K. S. Ha;W. P. Chang;K. J. Yo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8권2호
    • /
    • pp.137-149
    • /
    • 1996
  • 본 연구는 불란서 CEA에서 수행한 부분충수 운전 중 잔열제거계통 기능 상실사고 실험인 BETHSY 실험 6.9c를 CATHARE2 코드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BETHSY 6.9c 실험은 잔열제거 계통 기능상 실시 가압기와 중기발생기 출구공동의 Manway를 통해 노심에서 발생한 증기를 제거하여 계통의 가압 정도를 시험한 것이다. 연구의 주요목적은 사고발생시 예상되는 주요 물리적 현상의 이해와 과도기에 영향을 미치는 민감 변수를 확인하고 CATHARE2 코드의 예측능력을 평가하여, 실제원전의 유사사고 해석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CATHARE2 코드는 실험을 통해 관측된 주요 물리적 현상들을 타당하게 예측하였으나, 가압기와 밀림관의 DP를 과대 예측하여 원자로 상부공동의 최대압력을 실험보다 약 7kPa 높게 예측하였다. 노심 노출시간도 노심에서 기포율 분포를 비현실적으로 예측하여 실험보다 약 500초 지연되었다. 실험과 코드의 모의결과를 통하여 노심 노출은 중력주입에 의한 냉각수 보충만으로 충분히 회복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ATHARE2 코드는 비록 상세한 현상들에 대해 다소 불화실성을 내포하였으나, 전반적인 거동분석에는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reptococcus parauberis 인위 감염에 의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심장의 병리학적 변화 (Pathological changes of the heart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experimental Streptococcus parauberis infection)

  • 김진우;조미영;원경미;김병관;최희정;한명철;박명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53-262
    • /
    • 2009
  • 병든 넙치에서 분리한 Streptococcus parauberis (FP2284)를 스트레스 조건을 달리하여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 인위감염한 후 조직 내 생균수 변화 및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인위감염 실험은 건강한 넙치 (평균 어체 중 40.4 g)에 $2{\times}10^{8}$ CFU/fish 농도로 복강주사하고 스트레스를 주지 않거나 하루 2번, 2분간 Netting 스트레스를 처리하였다. 스트레스를 주지 않은 그룹과 Netting 스트레스를 준 그룹의 누적 폐사율은 각각 70% 및 95%로 나타났다. 인위감염 시킨 넙치에서는 체색흑화와 심장의 염증이 주요 임상소견으로 나타났으며, 심장에서는 주로 심외막염, 심근염 및 심근의 섬유화가 관찰되었다. 인위감염 후 심장 조직의 세균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주사 후 3주째까지 심장 1 g당 $10^{4}$ CFU의 세균수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조건하에서 심장에서의 병리조직학적 변화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장 조직내 세균의 점차적인 감소가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담관낭종의 $^{99m}Tc$-DISIDA 간담도 스캔 (Scintigraphic Features of Choledochal Cyst Using Technetium-99m-DISIDA Hepatobiliary Scan)

  • 최정일;김정균;배선근;곽동석;정병천;이재태;이규보;전석길;이형우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1-80
    • /
    • 1993
  • In order to evaluate the scintigraphic features of choledochal cyst and these diagnostic value, authors investigated the findings of fourteen patients with choledochal cyst undergone hepatobiliary scan with $^{99m}Tc$-DISIDA before surgery. Five cases demonstrated the decreased hepatic uptake at 5-minute image of which four cases revealed severe jaundice. Seven cases demonstrated visualization of the cystic dilated common bile duct within 1 hour after injection. Two cases showed the cyst activity between 1 and 12 hours, but the cyst activity was not visible in five cases. Nonvisualization of the gall bladder was noted in ten cases, while four cases demonstrated visualization of the gall bladder within 1 hour. The time of visualization of gut activity was variably delayed. The intestinal activity was found in three cases within 1 hour and appeared in three cases between 1 and 2 hours and eight cases showed no visible gut activity. In four cases, intrahepatic ductal prominence was visible on the scintigram. Seven cases showed early and persistent accumulation of tracer in the common bile duct. Three cases showed persistent photon-deficient area in the gall bladder region. Two cases showed early photon-deficient area around gall bladder region with progressive accumulation of tracer in the same region. Two cases showed no evidence of activity in the biliary tract but noted late excretion into the small intestine. We concluded that hepatobiliary scan using $^{99m}Tc$-DISIDA is a noninvasive test useful in the evaluation and the diagnosis of choledochal cy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