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fense Security

검색결과 923건 처리시간 0.029초

AI 기반 국방정보시스템 개발 생명주기 단계별 보안 활동 수행 방안 (A Methodology for SDLC of AI-based Defense Information System)

  • 박규도;이영란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3권3호
    • /
    • pp.577-589
    • /
    • 2023
  • 국방부는 국방혁신 4.0 계획에 기반한 첨단과학기술군 육성을 위해 AI를 향후 전력 증강의 핵심 기술로 활용할 계획이다. 그러나 AI의 특성에 따른 보안 위협은 AI 기반의 국방정보시스템에 실질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최초 개발 단계에서부터 체계적인 보안 활동의 수행을 통한 보안 내재화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AI 기반 국방정보시스템 개발 시 단계별로 수행해야 하는 보안 활동 수행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향후 국방 분야에 AI 기술 적용에 따른 보안 위협을 예방하고 국방정보시스템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융합보안 관점에서 방위산업보안 개념 정립과 연구동향 분석 (Resaerch Trend and Cocentualization of Defense Industry Security From Convergence Security Perspective)

  • 우광제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6_1호
    • /
    • pp.69-78
    • /
    • 2015
  • 산업스파이에 의한 핵심기술 유출이 점차 지능화, 첨단화, 복잡화 되어가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피해 또한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는 방안으로 융합보안이 대두되었고 모든 산업분야에 점차 확대되고 있다. 특히 국가적 핵심기술과 인력 및 시설을 포함하고 있는 방위산업은 융합보안이 더 요구되는 산업분야이다. 방위산업은 국가의 안전보장에 필요한 방위산업물자를 연구, 개발, 생산하는 산업이다. 방위산업은 군사기밀, 산업비밀, 핵심기술인력, 방위산업물자, 국가중요시설, 정보통신체계 등 다양한 보안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방위산업보안은 군사보안과 산업보안의 복합체이며 방위산업의 모든 보안요소를 통합하는 융합보안이다. 따라서 방위산업보안은 융합보안의 대표적인 실천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방위산업보안에 대한 연구는 일반적인 다른 산업분야에서의 보안과 관련된 연구에 비해 미흡한 실정이다. 방위산업의 핵심기술 유출을 방지하고 기술인력 및 시설을 보호하기 위해서, 방위산업보안을 융합보안의 개념에서 연구하고 실천하는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다.

국가 안보와 연계한 방위산업 보안 개념 정립 (Conceptualization of Defense Industrial Security in Relation to National Security)

  • 고희재;이용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265-270
    • /
    • 2019
  • 한국의 방위산업기술은 세계적인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방위산업 보안은 1945년 이후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방위산업 보안이라는 용어의 개념을 설정하는 데는 관심이 부족했으며, 관련 법률에 의해 방위산업기술 보호에 대한 논의가 활성화 되었음에도 방위산업 보안의 개념 정립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정부는 방위산업기술 보호를 위해 2015년에 방위산업기술보호법을 제정하여 방위산업 보안에 대한 필요성을 강화하였다. 새로운 법이 제정됨으로써 방위산업 보안의 대상 및 보호 자산 다양화 등 패러다임이 변화됨에 따라 방위산업 보안 개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해 졌다. 방위산업은 국가 안보 관점에서 보안 상의 이유로 정보 공개가 제한되어 학술적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방위산업기술보호법 제정으로 보안 영역 확장 등 환경의 변화로 방위산업 보안 개념을 재정립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논문을 통해 다양한 방위산업에 대한 개념과 최근 변화된 방위산업 환경을 분석하여 국가 안보적 차원에서 방위산업 보안 개념을 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학문적 연구가 부족하고 폐쇄적인 방위산업 환경 속에서 상세 규격에 따른 방법론을 사용하여 방위산업 보안 개념을 학술적으로 정립한데 의의가 있다.

국방정보보호산업 관련 중부권 연구기관 활용방안 (A Participation Scheme of the Central Region Research Institute related to National Defense Information Security Industry)

  • 엄정호
    • 안보군사학연구
    • /
    • 통권9호
    • /
    • pp.191-206
    • /
    • 2011
  • This study is presented a scheme that information security research institutions located within the central area can be participated actively m national defense information security industry. The many of information security company are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Daejeon) and there are many research institutes. However,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Defense Information Security Industry is not high compared to other provinces. Although a variety of reasons, there are no the Defense Privacy Office that could have a role in protocol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industry. In addition, the Department of Defense related to national defense information security industry have not information about research institutions in the central region and are not well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al technology and research. So in this paper we presented some of the alternatives. 1) Building Pool involved in information security research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gency 2) Constitute the research community between Research institutions and the company 3) Build the technology cooperation between research institutions and the defense research institutes 4) Utilization of industry/university/research institutes related to Information Security Industry 5) Make strategic alliances among research institutes based on technical expertise.

  • PDF

국방조직의 정보보호 평가 방법론 개발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Security Methodology for Defense Organization)

  • 조성림;최인수;박지훈;신우창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77-90
    • /
    • 2013
  • As Cyber threats are rising, the scope of information Security (IS) is extending from technical protection of a single information system to organizational comprehensive IS capabilit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MND) has established the IS evaluation for defense organization in 'the Directive for Defense Informatization Affairs.' However, no information about an evaluation method, process and organization is provided. We surveyed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ISMS) and related best practices in public sector and other countries, and analysed the military information security affairs. Thus, this paper recommends the IS evaluation method and process. The trial IS evaluation is in progress this year and the MND will expand this IS evaluation to the entire organization.

ONSU-MF(One Network Security Unit-Multi Function)기법과 OSD-MD(One Security Device-Multi Defense)기법 기반의 보안정책 구현 (Implementation of Security Policies of ONSU-MF(One Network Security Unit-Multi Function) and OSD-MD(One Security Device-Multi Defense))

  • 서우석;이규안;전문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8C권5호
    • /
    • pp.317-326
    • /
    • 2011
  • 본 논문은 다양한 보안방어 정책과 기기들이 산재해 있으나, 이를 표준화하여, 각 방어정책의 특성과 방어기법을 새롭게 정의함으로써 기존 네트워크 인프라 구현을 포함한 새로운 보안정책 도입 및 추가 구현 시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손쉽게 정책을 추가하고 바로 적용 가능하도록 각 보안 분야별 정책과 기기를 명세 보고서화 하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하나의 네트워크 보안기기를 기반으로 부여 가능한 정책들을 분류하는 ONSU-MF(One Network Security Unit-Multi Function)기법과 하나의 보안기기로 다양한 보안방안을 구현하는 OSD-MD(One Security Device-Multi Defense)기법으로 구분하고 이를 통합한 표준화 구현기법을 통해 향후 네트워크 보안 인프라 개선 메커니즘을 제안코자 한다.

사이버 방어를 위한 적응형 다중계층 보호체제 (Adaptive Multi-Layer Security Approach for Cyber Defense)

  • 이성기;강태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9
    • /
    • 2015
  • 사이버 공간에서 첨예화, 복잡화되고 있는 공격을 일대일 방식으로 방어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인 방어 방법이 필요하다. 본 고에서는 내외부의 공격에 대해 자산을 체계적 적응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다중계층 보안체제 구축 방안을 제시한다. 방어지역(Defense Zone)을 중심으로 한 다중계층 보안체제의 구조를 고안하고, 사이버 위협분석과 방어기술 자동할당 등 구현에 필요한 기술요소들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다중계층 보안체제에 대한 효과와 적용성을 보인다. 향후, 제시된 방안의 구체화를 위해 방어지역에 대한 상세구조설계, 최적 방어기술 자동선택방법, 위협 탐지를 위한 정상상태 모델링 기술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Defense Strategy of Network Security based on Dynamic Classification

  • Wei, Jinxia;Zhang, Ru;Liu, Jianyi;Niu, Xinxin;Yang, Yixia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12호
    • /
    • pp.5116-5134
    • /
    • 2015
  • In this paper, due to the network security defense is mainly static defense, a dynamic classification network security defense strategy model is proposed by analyzing the security situation of complex computer network. According to the network security impact parameters, eight security elements and classification standard are obtained. At the same time, the dynamic classification algorithm based on fuzzy theory is also presented. The experimental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odel and algorithm are feasible and effective. The model is a good way to solve a safety problem that the static defense cannot cope with tactics and lack of dynamic change.

국방획득체계 적용 한국형 보안위험관리 프레임워크 (Korean Security Risk Management Framework for the Application of Defense Acquisition System)

  • 양우성;차성용;윤종성;권혁주;유재원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2권6호
    • /
    • pp.1183-1192
    • /
    • 2022
  • 정보 및 정보를 생산, 처리, 폐기하는 시스템은 정보의 총수명주기에 걸쳐 일정수준의 보안이 유지되어야 한다. 일정수준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및 자동차 개발, 미국 연방정부 정보체계 등 시스템 수명주기의 보안관리 프로세스를 적용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는 이와 유사한 보안관리 프로세스가 전무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방 분야 정보 및 정보 처리시스템의 총수명주기에 걸쳐 일정수준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한국형 보안위험관리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국방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한국형 보안위험관리 프레임워크의 개발 목적과 적용방안을 소개함으로써 향후 국방 보안업무가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보안 패러다임의 전환을 유도하고자 한다

방산기술보호를 위한 방산기술 마스터 데이터 관리 체계 구현 방안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Defense Technology Master Data Management System for Defense Technology Security)

  • 박흥순;김세용;권혁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1권1호
    • /
    • pp.111-122
    • /
    • 2021
  •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확산으로 국내 방위산업은 첨단 기술이 집약된 산업 구조로 발전하고 있다. 방산기술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됨에 따라 정부는 방산기술보호법을 제정하여 방산기술을 보유하거나 관리하는 기관을 대상으로 방산기술보호체계를 구축하도록 하고 있다. 대상기관이 기술보호체계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보호대상이 되는 방산기술을 식별하고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를 선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방산기술 데이터 관리를 위한 마스터 데이터 항목을 도출하고, 방위산업 환경에 적합한 방산기술 마스터 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현 방안을 분석하였다. 도출된 방안으로 1차, 2차 마스터 데이터 등 방산기술 마스터 데이터를 식별하였고, AHP분석을 통해 마스터 데이터 관리시스템 목표 모델로 Co-existence 유형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방산기술 마스터 데이터 관리 시스템 도입을 통해 한층 강화된 방산기술보호 정책이 추진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