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fense Facilities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2초

전국의 대피시설 실태조사를 통한 민방위 대피시설 표준 정립 모델 구축 연구 (A Study on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ies)

  • 박남희;여욱현;김태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56-70
    • /
    • 2012
  • 현재 우리나라에 설치되어 있는 민방위 대피시설을 조사하여 그동안 시설 지정에 치우쳐왔던 민방위 대피시설 운영 실태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 민방위 대피시설에 대한 시설설비, 관리 등의 조사 및 문제점 분석을 통해 민방위대피시설의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민방위대피시설의 표준 정립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방위 대피시설은 지역별로는 서울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고, 시설별로는 아파트주차장의 빈도가 가장 높다. 둘째, 민방위 대피시설이 주기적으로 점검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설별 점검회수가 일정하지 않고 체계적인 점검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 셋째, 유선전화, CCTV, 이동통신설비, 방송설비 등 통신시설이 없는 대피시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상 상황시 외부와의 연락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넷째, 종합적으로 보면 현재 수도권 및 대도시 중심으로 2000년 이전에 건축되어 비교적 노후한 대피시설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정립모델안은 위치, 규모, 수용인원, 인접시설과의 거리, 독립공간 유무, 개구부, 계단, 진입방식, 시설관리, 안내시설, 전기시설, 통신시설, 소방시설, 냉난방시설, 급배수시설, 위생시설 측면에서 필수 사항을 정리하였다.

민방위 대피시설 실태 분석을 통한 최적의 대피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Optimal Evacuation Model using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ies Survey Data)

  • 여욱현;박남희;김태환;구원용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71-80
    • /
    • 2012
  • 민방위 대피시설의 용량기준을 바탕으로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대피시설 선정시 지침이 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밀도 및 분포에 따른 대피시설의 수용 용량 및 배치 현황을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확한 대피시설의 권역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대피시설의 수용인원을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상 지역별 대피 현황을 정량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근거 자료를 산출하였다. 셋째, 최단거리 이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지형적 조건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넷째, 현실성 있는 모델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한 모델을 설정할 필요가 있음이 드러났다.

국방 지휘·통제 시설을 위한 ICAN, I3A 설계기준 (ICAN, I3A Design Criteria for Military Defense Command & Control Facilities)

  • 조윤정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2권4호
    • /
    • pp.806-815
    • /
    • 2017
  • 한국군은 국방시설기준이 정립되어 있으나 대부분 시설위주의 설계기준에 중점을 두고 작성되어 있다. 특히 정보통신분야에서는 세부적인 기준은 제시하지 않고 대략적인 수준으로만 제시되어 있다. 미군의 경우 1990년부터 각 군이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시설기준에 대하여 통합시설기준서(UFC : Unified Facilities Criteria)를 완성해 모든 사업에 공통적용 할 수 있도록 설계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정보통신분야에서는 시설분야와 연계해서 건물내부체계는 미군의 기지통신 기반구조설계기준(I3A: Installation, Information, Infrastructure Architecture)과 시스템에 대해서는 기지 및 캠퍼스지역 네트워크설계기준(ICAN : Installation and Campus area Network)과 비교를 통해 우리군의 지휘 통제시설 및 일반/행정시설에 대한 바람직한 설계기준선을 제시한다.

국방·군사시설이전사업 구성요소가 주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efense and military facilities the previous business component research on the impact on residents satisfaction)

  • 신광식;김행조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43-148
    • /
    • 2013
  • 본 연구는 국방 군사시설이전사업으로 실시하는 군부대 이전사업과 관련하여 지역주민들이 원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실증 분석한 결과 전문성과 책임성과 효율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노력성과 소통성은 상대적으로 중요도에서 뒤지지만 함께 고려하여야 할 요소로 분석이 되었다. 국방부 등 관련부서에서는 이를 반영하여 사업을 추진한다면 주민들과 협력적이고 갈등이 줄일 수 있는 사업이 될 것으로 본다.

미사일 방어를 위한 방공포대 최적 배치 문제 (The Optimal Deployment Problem of Air Defense Artillery for Missile Defense)

  • 김재권;설현주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98-104
    • /
    • 2016
  •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weapon systems such as tanks, submarines, combat planes, radar are also dramatically advanced. Among these weapon systems, the ballistic missile, one of the asymmetric forces, could be considered as a very economical means to attack the core facilities of the other country in order to achieve the strategic goals of the country during the war. Because of the current ballistic missile threat from the North Korea, establishing a missile defense (MD) system becomes one of the major national defense issues. This study focused on the optimization of air defense artillery units' deployment for effective ballistic missile defense. To optimize the deployment of the units, firstly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defense,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orbital coordinates of ballistic missiles in the limited defense range of air defense artillery units. This constraint on the defense range is originat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anti-ballistic missiles (ABMs) such as PATRIOT. Secondly, this study proposed the optimized mathematical model considering the total covering problem of binary integer programming, as an optimal deployment of air defense artillery units for defending every core defense facility with the least number of such units. Finally, numeric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show how the suggested approach works. Assuming the current state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tudy arbitrarily set ballistic missile bases of the North Korea and core defense facilities of the South Korea. Under these conditions, numerical experiments were executed by utilizing MATLAB R2010a of the MathWorks, Inc.

국방 자기분야 연구를 위한 국방과학연구소 시험시설 (ADD's Test Facilities for National Defense Magnetic Research)

  • 양창섭;정현주;정우진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14-122
    • /
    • 2014
  • 국방과학연구소는 수중 자기 스텔스 분야의 핵심기술 개발, 자기응용 무기체계 연구 및 국방 자기분야의 대군 기술지원 업무 수행을 위해 1990년대 이후로 비자성 실험실과 자기센서 실험실을 운용 중에 있다. 최근 실험실내 주요 시험 장비의 성능을 개량하여 자기 표적에 대한 정밀 측정 및 분석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무기체계에 적용하기 위한 자기센서들에 대한 정밀 시험 평가 능력을 확보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국방과학연구소 자기 시험 시설의 현황 및 시험 능력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HWIL 시뮬레이션을 위한 통합 제어 시스템 고찰 (The Review on the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HWIL Simulation)

  • 김기승;김영주;홍정운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659-2661
    • /
    • 2002
  • The development of guided missile requires complex guidance schemes and hardware units because of high maneuver, delicate and variable missions. In this point of view, simulation systems and facilities which test missile hardwares and softwares are needed. This paper introduces the hardware-in-the loop simulation system and facilities which include the real-time computation systems and 3 Axis FMS(Flight Motion Simulator).

  • PDF

AHP를 이용한 군 취사식당 기능공간 분석 (Analyzing the Functional Spaces of Military Dining Facilitie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 이승후;이현수;박문서;지세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6권5호
    • /
    • pp.155-164
    • /
    • 2020
  • This research used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functional space and evaluation factors of each functional space of the military dining facility. Dining in the military is an important factor in restoring combat power and promoting morale. The military dining facility serves as a not only for meals, but also for watching TV, education and club activities. Workers working in dining facility spend most of their work hours in dining facility, perform tasks such as cooking, dishwashing, and leftover disposal, and take breaks. As such, the military dining facility is a space where various functions are performed, and space planning should take into account these various functions when planning the building of the dining facility. However, the criteria for defense and military facilities, which are the basis for planning the space of military dining facility, are calculated only by simply analyzing the standard floor plan to match the size of the person-to. Therefore, when there is space to be reduced in the total area, there are side effects such as leaving visible table space without consideration for priority or functional space, unseen office space, and adjusting the entire area through reduction of the lounge. Accordingly, based on the priority of the space that the staff of the military dining facility considers important,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unctional space through classification according to its unique function. This can be an indicator that can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revision of the building floor area standards of the defense and military facilities standards, and it can improve usability with an efficient space pla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military and the satisfaction of its workers. Furthermore, efficient use of the defense budget through rational building plans can contribute to budget reduction.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의 구성 및 이용 (Composition and Use of Biosafety Level 3 Facility)

  • 김창환;허경행;이완걸;정성태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35-342
    • /
    • 2015
  • Laboratory facilities for biology are designed as biosafety level 1, biosafety level 2, biosafety level 3, and biosafety level 4. Biosafety level designations are based on a composite of the design features, construction, containment facilities, equipment, practice and operation procedures required for working with agents from the various risk groups. Generally, biosafety level 3 means the facility that is appropriate for the experiments using pathogens which can cause serious diseases by aerosol transmission. The biosafety level assigned for the specific work to be done is driven by professional judgement based on a risk assessment, rather than by automatic assignment according to the particular risk group designation of the pathogenic agents to be used. In this paper, we introduced the biosafety level 3 facility operated in ADD(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It contains the overview of facility, microbiological experiment, animal experiment, decontamination and waste disposal. Biosafety level 3 laboratory in ADD has served the vital role in the research of biological agents and antidote development.

민방위 대피시설 계획 및 설계 방안에 관한 연구 4 - 기존 시설물에 대한 활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ning of Civil Defense Shelter and Design 4 - Focusing on the Applicability of Existing Facility -)

  • Park, Namkwu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400-405
    • /
    • 2015
  • 북한의 화생방무기 운용체계는 세계적으로 상당한 수준에 도달해 있다. 이에 미국은 화생방 공격에 대비하여 다양한 형태의 대피소를 확보하고 있으며 재난특성을 고려해 등급별로 구분하여 운용하고 있는 실정이나, 한국은 재난특성에 대한 고려 없이 무분별하게 대피소를 지정해 효과적인 방호능력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에 사용되는 시설물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고 화생방 대피시설로의 전환이 용이한 시설물을 선별하기 위해 시설별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 및 제안사항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