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fecation diary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초

Correlation between Colon Transit Time Test Value and Initial Maintenance Dose of Laxative in Children with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 Kim, Mock Ryeon;Park, Hye Won;Son, Jae Sung;Lee, Ran;Bae, Sun Hwa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9권3호
    • /
    • pp.186-192
    • /
    • 2016
  • Purpose: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colon transit time (CTT) test value and initial maintenance dose of polyethylene glycol (PEG) 4000 or lactulose. Methods: Of 415 children with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190 were enrolled based on exclusion criteria using the CTT test, defecation diary, and clinical chart. The CTT test was performed with prior disimpaction. The laxative dose for maintenance was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defecation diary and clinical chart. The Shapiro-Wilk test and Pearson's and Spearman's correlation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overall group median value and interquartile range of the CTT test was 43.8 (31.8) hours. The average PEG 4000 dose for maintenance in the overall group was $0.68{\pm}0.18g/kg/d$; according to age, the dose was $0.73{\pm}0.16g/kg/d$ (<8 years), $0.53{\pm}0.12g/kg/d$ (8 to <12 years), and $0.36{\pm}0.05g/kg/d$ (12 to 15 years). The dose of lactulose was $1.99{\pm}0.43mL/kg/d$ (<8 years) or $1.26{\pm}0.25mL/kg/d$ (8 to <12 year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TT test value and initial dose of laxative, irrespective of the subgroup (encopresis, abnormal CTT test subtype) for either laxative. Even in the largest group (overall, n=109, younger than 8 years and on PEG 4000), the correlation was weak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0.268, p=0.005). Within the abnormal transit group, subgroup (n=73, younger than 8 years and on PEG 4000) correlation was weak (R=0.267, p=0.022). Conclusion: CTT test value cannot predict the initial maintenance dose of PEG 4000 or lactulose with linear correlation.

Colon Transit Time Test in Korean Children with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 Yoo, Ha Yeong;Kim, Mock Ryeon;Park, Hye Won;Son, Jae Sung;Bae, Sun Hwa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9권1호
    • /
    • pp.38-43
    • /
    • 2016
  • Purpose: Each ethnic group has a unique life style, including diets. Life style affects bowel movem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results of colon transit time (CTT) tests in Korean children who had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based on highly refined data. Methods: One hundred ninety (86 males) out of 415 children who performed a CTT test under the diagnosis of chronic constipation according to Rome III criteria at Konkuk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January 2006 through March 2015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wo hundreds twenty-five children were excluded on the basis of CTT test result, defecation diary, and clinical setting. Shapiro-Wilk and Mann-Whitney U, and chi-square test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median value and interquartile range (IQR) of CTT was 54 (37.5) hours in Encopresis group, and those in non-encopresis group was 40.2 (27.9) hours (p<0.001). The frequency of subtype between non-encopresis group and encopres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2). The non-encopresis group (n=154, 81.1%) was divided into normal transit subgroup (n=84, 54.5%; median value and IQR of CTT=26.4 [9.6] hours), outlet obstruction subgroup (n=18, 11.7%; 62.4 [15.6] hours), and slow transit subgroup (n=52, 33.8%; 54.6 [21.0] hours]. The encopresis group (n=36, 18.9%) was divided into normal transit subgroup (n=8, 22.2%; median value and IQR of CTT=32.4 [9.9] hours), outlet obstruction subgroup (n=8, 22.2%; 67.8 [34.8] hours), and slow transit subgroup (n=20, 55.6%; 59.4 [62.7] hours).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the basic pattern and value of the CTT test in Korean children with chronic constipation.

자일로올리고당을 함유한 설탕이 20대 여성의 변비 개선에 미치는 효과: 이중맹검 연구 (Effect of xylooligosaccharide-sugar mixture on defecation frequency and symptoms in young women with constipation: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 전진호;경명옥;정상원;조성은;장문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1호
    • /
    • pp.19-29
    • /
    • 2015
  • 본 연구는 자일로올리고당을 설탕에 혼합하여 변비를 앓고 있는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변비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평균연령 22.1세인 젊은 여성 56명을 대상으로 실험 1에서는 설탕을 플라시보로 하는 이중맹검 임상연구를 통해 자일로올리고당 0.7 g이 함유된 설탕 10 g (n = 19명) 또는 설탕 10 g (n = 19명)을 블랙커피와 함께 복용하도록 하였고, 실험 2에서는 자일로올리고당 0.4 g 함유한 설탕 5.6 g과 1.6 g의 커피, 4.8 g의 식물성 크림이 함유된 커피믹스를 1일 2회씩 6주간 섭취하도록 하였다 (n = 18명). 섭취결과 XOS군과 XOSmix군의 경우 섭취전 주간 배변횟수가 2.47회에서 섭취 1주째부터 증가하여 섭취 6주째에는 주간 배변횟수가 4.11회와 5.67회로 각각 증가하였다. XOS와 XOS 함유 커피믹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복부 불쾌감과 잔변감을 개선하였으며, 배변횟수의 증가는 섭취초반 부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XOS는 0.7 g의 적은양으로도 변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음료에 기능성을 갖춘 감미료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자일로바이오스를 함유한 설탕이 젊은 여성의 변비 개선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xylobiose-sugar mixture on defecation frequency and symptoms in young women with constipation)

  • 이정숙;김아름;남혜경;경명옥;조성은;장문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1호
    • /
    • pp.41-52
    • /
    • 2017
  • 본 연구는 자일로바이오스 함유 설탕 섭취가 젊은 여성의 변비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20~29세 여성 31명을 대상을 이중맹검법을 적용하여 7% 자일로바이오스 함유 설탕 시료 (XBS, n = 15)와 7% 자일바이오스 함유 설탕을 포함한 커피믹스 시료 (XBS coffee mix, n = 16)를 1일 2회씩 6주간 섭취하도록 하였다. 시료 섭취 결과 배변 횟수는 시료 섭취 전 XBS 2.13회/주, XBS coffee mix 1.56회/주에서 시료 섭취 1주차부터 증가하여 시료 섭취 6주차에는 각각 3.73회, 3.56회로 증가하였다. 또한 XBS와 XBS coffee mix 시료 모두 섭취 후 배변의 양, 복부 잔변감, 복통의 증상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고, 변비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CSS 점수 역시 시료 섭취 전 XBS 10.53점, XBS coffee mix 10.75점에서 시료 섭취 후 1주차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시료 섭취 6주차에 XBS 7.22점, XBS coffee mix 6.51점으로 3점 이상 낮아졌다. 즉, 시료 섭취 전에 비해 시료 섭취 후 유의적으로 CSS 점수가 낮아진 것으로 보아 7% 자일로바이오스 함유 설탕 섭취가 변비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서 배변 및 변의 상태를 평가한 것으로 화학적 지표성분 변화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지 않았다는 한계는 존재하나 설탕보완재 역할을 지닌 자일로바이오스를 7% 정도 설탕에 첨가할 경우 변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시판되는 다양한 종류의 가공식품에 기능성 감미료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매 해 가을에 반복하는 설사를 주증으로 내원한 산증환자(疝症患者) 치험 1례 (A Case of Chronic Diarrhea with Symptoms Named 'San (疝)' Every Fall)

  • 하수진;이진무;이창훈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541-550
    • /
    • 2019
  • Objective: The aim of this clinical study was to describe the case of a patient who experienced chronic diarrhea related to seasonal changes that improved with herbal medicine treatment. Methods: A patient with diarrhea and globus hystericus was treated following treatment with Hoehyangbanchong-san-hap-Ukgan-san and Gamisachil-tang. A defecation and urination diary, the Bristol Stool Form Scale, and the Visual Analog Scale (VAS)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treatment. Results: During treatment, the patient's Bristol Stool Form Scale score changed from Type 7 to Type 4, and the VAS scor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ymptoms of diarrhea and globus hystericus almost subsided. Conclusion: In this case, Korean traditional herbal medicine reduced the clinical symptoms of diarrhea and globus hystericus.

소아 만성 기능성변비 치료에서 전해질이 함유되지 않은 polyethylene glycol (PEG) 4000의 분변박힘 제거효과 및 안전성 (Efficacy and safety of electrolytes-free polyethylene glycol (PEG) 4000 for disimpaction in children with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 이정희;이란;배선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4호
    • /
    • pp.391-395
    • /
    • 2008
  • 목 적 : 만성기능성 변비소아의 분변박힘제거 단계에서 전해질이 함유지 않은 PEG 4000의 적절한 용량, 효과 및 안전성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4년 3월부터 2006년 8월까지 건국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만성기능성 변비로 진단된 환아 86명을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시행하였으며, 주증상의 완화, 배변횟수와 배변 용이함의 향상, 복부 X선 검사 상 대변양의 감소 가운데 2가지를 충족하면 분변박힘제거가 성공적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치료효과를 판정하기위해 보호자나 환아가 기록한 변비 일지를 바탕으로 PEG 4000 복용전과 복용후의 주증상, 평균 배변횟수, 변의 굳기 및 단순 복부 X-선 사진을 비교하였으며, 임상적 증상 관찰과 함께 일반혈액검사와 전해질 검사, 칼슘, 마그네슘, 혈청삼투압검사를 시행하여 부작용을 확인하였다. 결 과 : 연구를 마친 83명 가운데 82명에서 분변박힘제거에 성공하였으며(99%), 분변박힘제거에 필요한 전해질이 함유되지 않은 PEG 4000의 평균용량은 $0.93{\pm}0.28g/kg/day$ (0.4-2.0 g/kg/day, 최대용량 30 g/day)이었다. 배변횟수는 83명 가운데 79명의 환아에서 치료 후에 배변횟수가 증가되었으며(평균 배변횟수 $5.02{\pm}2.71$회/1주 vs. $11.25{\pm}5.43$회/1주), 배변도 수월하고, 주증상도 거의 모든 환자에서 호전되었다. 치료 전후의 단순 복부 X-선 사진을 비교하였을 때,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호전된 소견을 보였다(P=0.0007). 임상적으로 두드러기 1명, 심한 설사 1명과 설사와 복통 1명, 총 3명이 치료를 마치지 못하였으며, 대상 군에서는 손발 저림 증상이 1명에서 나타났으나, 약제 중단 후 아무런 처치 없이 호전되었다(4/86=4.7%). 검사소견상 1명에서 고삼투압혈증이 관찰되었으나, 임상적으로 증상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6명에서 호산구 증가가 관찰되었다. 결 론 : 만성 기능성변비환아의 분변박힘제거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PEG 4000 용량은 $0.93{\pm}0.28g/kg/day$ (최대용량 30 g/ day)로 생각된다.

한국인 소아에서 만성 기능성 변비치료 시 전해질이 함유되지 않은 PEG 4000의 유지용량 (Maintenance dose of electrolyte free polyethylene glycol (PEG) 4000 in Korean children with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 이소희;배선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2호
    • /
    • pp.1212-1216
    • /
    • 2007
  • 목 적 : 최근들어 전해질이 함유되지 않은 PEG 4000제재는 변비 치료제로 성인이나 소아에서 새롭게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인 소아 만성기능성 변비 환아 치료 시 유지요법 단계에서 전해질이 함유되지 않은 PEG 4000제재의 연령 및 체중별 적정 투여 시작 량을 추정함과 동시에 그 효과 및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방 법 : 2005년 8월부터 2007년 6월까지 건국대학교 서울병원 소아과에서 만성 기능성 변비로 진단하고 분변박힘 제거과정을 마친 후 PEG4000을 3개월 이상 사용한 환아 가운데 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배변을 편하게 하면서 배변 횟수가 주당 5-6회 이상이면서 변 굳기가 정상(보통변 또는 무른변)인 상태가 2개월 이상 유지되는 초기용량을 효과적 유지요법 용량으로 정의하였다. 약제사용에 대한 배변내용(배변횟수, 변의 굳기, 배변시 출혈 등)의 분석은 부모나 환아가 작성한 배변일기의 기록을 바탕으로 시행되었다. 약제 사용과 관련된 부작용은 임상적 및 진단검사의학적으로 관찰하였다. 결 과 : 전체 환아를 대상으로 분석된 효과적 유지요법의 평균 용량은 $0.55{\pm}0.16g/kg/day$(0.25-0.86) 이었다. 환아의 연령에 따라 3-5세, 6-8세, 9-13세의 세 집단으로 나누어 효과적 유지요법의 평균 용량을 구하였을 때, 각각 $0.60{\pm}0.15$(0.33-0.86), $0.57{\pm}0.16$(0.38-0.76), $0.44{\pm}0.14$(0.25-0.70) g/kg/day 이었으며, 이들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24). 체중에 따라서 효과적 유지용량을 산출하였을 때, 30 kg 미만인 군의 효과적 유지요법의 평균 용량은 $0.62{\pm}0.14g/kg/day$(0.33-0.86) 이었으며, 30 kg 이상인 군의 효과적 유지요법의 평균 용량은 $0.41{\pm}0.10g/kg/day$(0.25-0.65)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유지요법동안 공복 복용 시 속이 쓰리다고 호소한 한명의 경우 외에는 임상적으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한국인 소아에서 만성 기능성 변비치료 시 전해질이 함유되지 않은 PEG 4000제재는 안전하고 효과적이다. 유지용량은 0.55 g/kg/day로 시작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생각되고, 이는 환아의 연령이나 체중을 바탕으로 조정되어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