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cursin Content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4초

지대별 적산온도와 묘 크기가 당귀의 수량 및 Decursin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Yield and Decursin Content According to the Accumulative Temperature and Seedling Size in Cultivation Areas of Angelica gigas Nakai)

  • 김영국;안영섭;안태진;여준환;박충범;박호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58-463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some conditions for optimum cultivation of Angelica gigas Nakai by the investigation of root yield and decursin content from different seeding sizes and accumulative temperature. Accumulative temperature from April to October was $4,309^{\circ}C$ on altitude 100 m, $4,242^{\circ}C$ on 250 m, $3,662^{\circ}C$ on 530 m, $3,435^{\circ}C$ on 730 m, and altitude 530~730 m was less $650{\sim}870^{\circ}C$ than altitude 100 m cultivation areas of A. gigas. Seedling stand rate was increased from 86.4% to more than 90% as accumulative temperature decreases, and was increased in above 7 mm of seedling size, and 10% in non-mulching more than PE film mulching. Yield was increased as accumulative temperature decreases and in PE film mulching as 310.2 kg/10a. Also, Yield was increased in 7~9 mm than seedling diameter 5~7 mm as 313.0 kg/10a. Decursin content of primary roots was increased as altitude rises, ie, as 2.55% on altitude 100 m, 3.33% on 250 m, 5.51% on 530 m, and 6.24% on 730 m. Decursinol angelate content appeared little than decursin content as 1.08% on altitude 100 m, 1.37% on 250 m, 1.99% on 530 m, 2.38% on 730 m, and as altitude was heightened, content was increased.

균주 종류를 달리한 참당귀의 발효 후 유효 성분 변화 (Analysis of Active Ingredients Changed After Fermentation by Different Types of Bacteria for Angelica Gigas Nakai)

  • 정연옥;박노복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3권2호
    • /
    • pp.5-14
    • /
    • 2021
  • 참당귀의 유효성분인 nodakenin, decursinol, decursin, decursinol angerate 4종의 함량이 균주에 따라 어떤 물질의 변화를 일으키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Bacillus EMD17, 9-3, HCD2, #8, 191 5종과 Lactobacillus KCTC 3320, WCP02, S65, P1201 4종 모두 9종류의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 실험을 실시하였던 바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참당귀의 추출물에 Bacillus균을 접종하여 발효한지 2일 경과한 후부터 지표물질인 decursin과 decursinol angerate의 함량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는 발효한지 4일이 경과한 후에도 decursin과 decursinol angerate의 함량이 2일째와 동일했다. 반면 발효한지 4일이 경과한 후에 nodakenin과 decursinol의 함량이 높아졌다. 또한 decursin의 함량은 발효한지 6일이 지난 후에는 크게 증가하였다. 2. 참당귀의 추출물에 Bacillus균을 접종 후 nodakenin과 decursinol의 물질변화는 균 종류에 관계없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Decursin과 decursinol angerate의 유효함량 변화는 Bacillus EMD17, 9-3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다. Decursin과 decursinol angerate의 함량 변화는 Bacillus HCD2, #8, 191균주에서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3. 참당귀의 추출물에 Lactobacillus KCTC 3320, WCP02, S65, P1201 4종류를 이용하여 발효한지 8일 후에 유효성분 변화를 알아본 결과균의 종류와 상관없이 nodakenin과 decursinol의 함량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Lactobacillus S65, P1201로 발효를 한 경우에는 decursin과 decursinol angerate의 함량에서 변화가 나타났다.

재배지역에 따른 참당귀의 Decursin 함량변이 (Environmental Variation of Decursin Content in Angelica gigas)

  • 성낙술;이순우;김관수;이승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60-65
    • /
    • 1993
  • 7개 재배지역산 참당귀의 decursin 함량변이를 조사하였으며, 각 재배지의 기상요인들과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기상환경이 당귀 근의 decursin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참당귀 근의 유효성분인 decursin과 decursinol angelate의 정량은 순상컬럼을 사용한 HPLC법이나 GC법이 양호하였다. 2. 참당귀 뿌리의 decursin 함량은 봉화산 4. 86%, 영천산 4.75%이며 수원산은 2.33%로 재배지역에 따른 함량변이가 비교적 컸다. 3. 생육기간별 각 기상요인들과 decursin 함량과의 상관분석 결과 통계적 유의상관은 보이지 않았으나, 평균기온과 강수량은 대체적으로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일교차, 일사량, 일조시수등은 정의 상관을 나타냈다.

  • PDF

참당귀(Angelica gigas)에서 분리한 pyranocurmarin 성분의 ACAT 저해활성 및 참당귀 부위별 pyranocurmarin 성분의 함량 분석 (ACAT (Acyl-CoA:cholesterol Acyltransferase) Inhibitory Effect and Quantification of Pyranocurmarin in Different Parts of Angelica gigas Nakai)

  • 김금숙;박춘근;정태숙;차선우;백남인;송경식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2권4호
    • /
    • pp.187-194
    • /
    • 2009
  • 참당귀 뿌리로부터 2종의 pyranocoumarin 성분을 분리하고 그들의 구조는 NMR 분석에 의해 각각 decursinol angelate(1), decursin(2)로 결정하였다. 이들 화합물에 대하여 hACAT 저해활성을 검정해본 결과, decursinol angelate(1)가 약한 저해활성을 나타낸 반면 decursin(2)은 hACAT1와 hACAT2에 대하여 $IC_{50}$ 값이 각각 137, $168\;{\mu}M$로서 우수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참당귀의 뿌리를 비롯한 꽃, 종자, 잎 등 여러부위에서 decursinol angelate(1), decursin(2)를 정량분석하였는데, 이때 LC/MS/MS(ESI, positive ion mode, MRM mode) 분석을 이용하였다. Decursinol angelate의 함량은 뿌리>잎>종자>꽃 순으로 높았으며, decursin의 함량은 뿌리>종자>꽃>잎 순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참당귀의 decursin이 동맥경화와 같은 심혈관 질환의 개선과 치료를 위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뿌리 이외에 그 동안 이용되지 않고 있던 참당귀 꽃, 잎과 같은 비상용부위에도 기능성물질인 decursin, decursinol angelate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음이 구명되어 이러한 부위도 새로운 천연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참당귀 유효 성분의 추출 및 생리활성 효능 (Extraction of Active Compounds from Angelica gigas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nd its Physiological Activity)

  • 박수인;허수현;이진서;신문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06-212
    • /
    • 2021
  • 본 연구는 참당귀에서 유효 성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찾아 참당귀의 효능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열수, 에탄올 및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으로 참당귀를 추출한 후, 데커신,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함량 분석, 총 폴리페놀 함량 정량, 그리고 항산화, 미백, 항균에 대한 효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데커신, 데커시놀 안젤레이트의 함량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물에서 38.65%로 매우 높았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열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물 순으로 높았지만, 그 차이가 비교적 적었다. 항산화 효능은 총 폴리페놀 함량과 경향이 일치하였고, 항균 효능은 데커신,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함량과 경향이 일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참당귀에서 유효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최적의 방법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임을 확인하였다.

미네랄 및 호르몬 제제 처리에 따른 당귀의 생육특성 및 Decursin, Decursinol Angelate 함량 변화 (Changes i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the Content of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in Angelica gigas Nakai by Mineral and Hormonal Agent Treatment)

  • 이상훈;윤형묵;구성철;이우문;장재기;구현정;장광진;김연복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7-232
    • /
    • 2018
  • Background: Angelica gigas Nakai is a perennial herb belonging to the family Umbelliferae. Its roots are utilized in traditional medicin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yield of and the content of two indicator components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in A. gigas Nakai. Methods and Results: The roots of A. gigas Nakai were harvested 4-times from late August to late October in 2017. Two agents (trace element-TE, and plant hormone-HM) were applied 4 times at intervals of 2 weeks. The content of the two indicator components were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HM treatment showed the greatest increase in underground part yield and root diameter. The content of the two indicator components in the control (non-treatment) group was the highest in the underground part, but was higher in the aerial parts in the agent treatment group. After treatment with the agents, the content of the indicator components tended to decrease in the underground part. However, the total content of the indicator components in the two agent treatment groups exceeded the level of 6% set by the Korean Pharmacopoeia. Conclusions: The highest underground part yield was found in the HM treatment group, while the highest content of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were found in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yield improvement in A. gigas.

Decursinol 처리에 따른 보리 유식물의 전자전달 활성과 엽록소-단백질 복합체의 변화에 대하여 (Changes of Chloroplast-Mediated Electron Transport Activity and Chlorophyll-Protein Complexes in Barley Seedlings by Decursinol)

  • 이현식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1권2호
    • /
    • pp.131-141
    • /
    • 1988
  • The effects of decursinol and decursin on chloroplast-mediated electron transport and phosphorylation in barley seedlings were investigated in comparison with coumarin in the dark or light. The changes of CP-complexes were also studied. Decursinol, decursin and coumarin caused marked inhibitory effects on germination of seed and electron transport and phosphorylation activity of seedlings. The following order of inhibitory effectiveness was exhibited; decursinol>coumarin>decursin. Loss of chlorophyll and decrease of electron transport activity were retarded in the dark, but were reversely accelerated in the light by these three chemicals. The changes of CP-complex patterns were also similar to effects on chlorophyll content and the electron transport activity. These opposite effect in the dark and light suggest that these three chemicals act as natural growth retardants rather than cytokinins or growth inhibitors.

  • PDF

HPLC를 이용한 고체발효 당귀의 지표성분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Marker Substances in Solid Fermented Angelicae Gigantis Radix by HPLC)

  • 엄영란;이지혜;마진열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73-17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ion of quantitative analysis of marker substances in solid fermented Angelicae Gigantis Radix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HPLC was performed for determination of nodakenin and decursin in solid fermented Angelicae Gigantis Radix extract, the separation method was performed on C18 column ($250\;mm\;{\times}\;4.6\;mm$, $5\;{\mu}m$, RS tech) using gradient solvent mixtures of water-acetonitrile with photodiode array detector (330 nm). The flow rate was 1.0 ml/min. Retention time of nodakenin and decursin was about 11.47, 46.79 min and linearity of calibration was showed good result(r2=0.9999, 0.9999), respectively. Content of nodakenin was $0.76\;{\pm}\;0.02%$ in control, $0.31\;{\pm}\;0.00%$ in Angelicae Gigantis Radix extract fermented with Paecilomyces japonica(SDT)(p<0.01), $0.51\;{\pm}\;0.02%$ in Angelicae Gigantis Radix extract fermented with Ganoderma lucidum(SYT)(p<0.01), $0.82\;{\pm}\;0.03%$ in Angelicae Gigantis Radix extract fermented with honey(SST)(p<0.05) and $0.88\;{\pm}\;0.01%$ in Angelicae Gigantis Radix extract fermented with Nuruk(SNT)(p<0.01). Content of decursin was $4.50\;{\pm}\;0.08%$ in control, $2.90\;{\pm}\;0.05%$ in Angelicae Gigantis Radix extract fermented with Paecilomyces japonica(SDT)(p<0.01), $2.65\;{\pm}\;0.08%$ in Angelicae Gigantis Radix extract fermented with Ganoderma lucidum(SYT)(p<0.01), $4.46\;{\pm}\;0.11%$ in Angelicae Gigantis Radix extract fermented with honey(SST) and $4.73\;{\pm}\;0.04%$ in Angelicae Gigantis Radix extract fermented with Nuruk(SNT)(p<0.05), respectively.

재배지 환경에 따른 참당귀 생육 및 지표성분 함량 비교 (Comparison of Growth and Contents of Active Ingredients of Angelica gigas Nakai under Different Cultivation Areas)

  • 김남수;정대희;정충렬;김현준;전권석;박홍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48-456
    • /
    • 2019
  •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미나리과(Apiaceae) 당귀속(Angelica L.)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뿌리에 효능이 많아 약용 목적으로 재배된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생산되는 참당귀 재배지의 특성에 대한 연구와 이에 따른 참당귀의 생장 및 지표성분 함량과의 상관관계를 구명하여 참당귀의 안정적인 한약재 수급을 위한 생산량 및 유용성분 함량 증가에 적합한 재배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참당귀의 근직경은 평창 두일리가, 지근 개수는 평창 탑동리가 가장 많았다. 생중량은 평창 탑동리가 가장 높았으며, 건중량도 이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재배지의 토성은 사질식양토(Sandy Clay Loam)였으며, 유기물 함량은 탑동리에서 3.63%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 질소 함량은 봉화 남회룡리에서 0.19%로 가장 높았으며, 유효인산 함량은 고선리에서 높았다. 총 decursin 함량은 두일리에서 5.31%로 가장 높았다. 결과적으로 평창 두일리에서 참당귀의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decursin 함량 또한 높았다. 당귀의 수량이나 성분은 재배지역의 환경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는데, 해발이 높은 지역에서 재배하는 것이 지표성분 함량과 생산량 증가에 유리하다고 사료되며, 환경조건과 생육 및 지표성분 함량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최적의 재배환경의 확립과 식물의 생리작용에 대한 연구의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