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banding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5초

교정용 밴드 제거 후 미생물 분포 및 치주 조직의 임상적 변화 (Changes of periodontopathogens and clinical parameters of periodontal tissue after debanding)

  • 양유미;김성식;전은숙;박수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63-274
    • /
    • 2006
  • 본 연구는 밴드 제거 직후 및 4주 경과 후 치주조직의 임상적인 환경변화와 미생물 분포 변화를 알기 위해 시행하였다. 최후방 구치에 밴드를 포함하는 고정식 교정 장치를 장착하고 교정 치료를 1년 이상 시행한 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 22세, 남자 6명, 여자 11명). 최후방 구치의 밴드를 제거한 직후와 제거 후 4주가 경과한 다음에 치주조직의 탐침 깊이와 출혈 빈도를 측정하였으며, 치은 연하의 치태를 채취하여 미생물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치주질환에 관련성이 깊은 미생물 중 Porphyromonas gingivalis, Tannerella forsythia, Treponema denticola를 직접 Polymerase Chain Reaction 방법으로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다. 밴드 제거 직후와 제거 후 4주가 경과한 시점의 치주조직의 탐침 깊이와 출혈 빈도, 병원성 미생물의 존재 여부를 통계적으로 비교하였다. 탐침 깊이와 출혈 빈도는 모두 하악 좌측 구치 협면에서 감소율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상악 우측 구치 설면에서 감소율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 병원성 미생물 중 T. denticola가 밴드 제거 4주 후에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였으며, 하악보다 상악에서 감소율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비록 밴드를 장착하여 치주 환경이 불량해졌다 하더라도 올바른 구강 위생 관리가 시행된다면 밴드를 제거한 후 정상적인 치주 상태로 회복될 수 있음을 예시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Angle 씨 III급 부정교합의 치험일례 (A CASE REPORT OF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 성재현;권오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1-45
    • /
    • 1981
  • A girl aged 18 years and 1 month, had a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characterized by .anterior crossbite, anterior crowding, and constriction from right lower 2nd premolar to right lower 2nd molar. This patient underwent sealing and (equation omitted) extraction, and multibanded system was placed. After 14 months, anterior crossbite and crowding was corrected, an bothdental arches were improved. After 6 months from debanding, band space disappeared and any relapse was not detected.

  • PDF

치아 선천결손을 수반한 구개파열의 교정치험예 (A CASE REPORT OF ORTHODONTIC TREATMENT OF CLEFT PALATE ACCOMPANY TEETH CONGENITAL MISSING)

  • 이병태;이희주;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1-77
    • /
    • 1976
  • 19 years old female had untreated Veau classification class II cleft palate with ectopic eruption of upper right lateral incisor and congenital missing of lower lateral incisors. Upper left lateral incisor, left first molar aid lower left first molar were root restswithperiapicalpathologiclesions. So all root rests were extracted and prosthodontic rehabilitation after orthodontic treatment was planned. She was treated by means of multibanded system with face bow. After 23 months all orthodontic correction were achieved and, as soos as debanding procedure was done she was referred to oral surgeon and prosthodontist for surgical operation and bridge construction.

  • PDF

3개월 이하 영아의 대동맥 축착증 수술치료에 대한 임상연구 (Correction of Coarctation in Infants Less than Age 3 Months)

  • 신제균;송명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3권6호
    • /
    • pp.1139-1145
    • /
    • 1990
  • Seven infants less than age 3 months underwent patch aortoplasty and tube graft bypass for relief of coarctation of aorta. All had intractable congestive heart failure, despite aggressive medical therapy Each infant had other cardiac anomalies including patent ductus arteriosus, ventricular septal defect, atrial septal defect and congenital mitral stenosis. All patients underwent closure of the ductus arteriosus and patch angioplasty of the aorta to produce a luminal diameter of at least 15mm or tube graft interposition utilizing the Gortex tube graft diameter larger than 10mm. In 5 patients who had ventricular defect, they underwent pulmonary arterial banding. &ere was one hospital death 17 days after operation secondary to the hydronephrosis and renal failure. Hospitalization was less than 10 days after operation except one case. In 3 patients who had associated VSD, open heart surgery[VSD closure+PA debanding]was done without difficulty. Surgical repair of critical coarctation of the aorta in infants can safely be offered despite the poor preoperative condition and presence of other cardiac anomalies.

  • PDF

제 1 대구치 상실을 동반한 Angle씨 제 I 급 부정교합의 치험예 (A CASE REPORT OF ANGLE'S CLASS I MALOCCLUSION WITH LOSS OF THE FIRST MOLARS)

  • 박영철;오성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7-52
    • /
    • 1984
  • A girl aged 13 years 1 month, had a Angle's Class 1 malocclusion, characterized by severe aterior crowding, high canine, and loss of the upper and lower left first molars on account of dental caries. This patient underwent ${\frac{4}{4}}$extraction and multibonded system was used. After 20 Months, anterior crowding and high canine was corrected, and the extraction space as closed on both arch. The upper and lower left 2nd molars occupied the first molar spaces instead of the first polars. After 6 Months from debanding, band spaces were disappeared and the third molars were upting normally.

  • PDF

영아기의 심실중격결손에 대한 이라완전교정술과 단계교정술의 비교 (Surgical Management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in Infancy)

  • 김병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1호
    • /
    • pp.24-30
    • /
    • 1994
  • Eighteen infants with a large ventricular septal defect[VSD] underwent primary surgical repair from January 1986 to December 1992. Operation was done because of failure to thrive, medically intractable heart failure, recurrent pneumonia, increased pulmonary vascular resistance[PVR]. Four patients[22.2%] died in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Relief of heart failure and normalization of growth and weight gain was evident in all survivor. There was no late postoperative death. The results of primary surgical repair of VSD in infancy are compared with those of palliative pulmonary artery banding[PAB] and of VSD closure after PAB. Twenty-seven patients with isolated VSD or with VSD associated with atrial septal defect, patent ductus arteriosus, or coarctation of the aorta underwent initial palliative PAB. There were 3 early postoperative deaths[11.1%]. Severe elevation of PVR persisted in two patients. Closure of VSD and pulmonary artery debanding was done in twenty patients, with 2 early postoperative deaths[10.0%]. Placement of the PAB too close to the pulmonary annulus necessitated trasannular patching in one patient, but any problem caused by migration of the band was not developed. It is concluded that primary surgical repair of VSD in infancy is reasonable and that PAB is indicated only for those patients less than 6 months old with a complicated defect or in an emergency situation.

  • PDF

가변성 폐동맥 혈류조절기의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Percutaneously Adjustable Pulmonary Artery Banding Device)

  • 강경훈;김상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6호
    • /
    • pp.580-584
    • /
    • 1997
  • 기존의 폐동맥 혈류 조절술(pulmonary래eV banding procedure)의 미비 점을 보완하여 피하에서 조절 가능한 폐동맥 혈류 조절기(pulmonary artery banding device)를 개발하였다. 조절기는 탄성력을 가진 스테인레스 철 사를 이용하여 지그재그형으로 형태를 만든 조절부,폴리비닐 카테터로 된 몸체 부위 및 볼트와 너트로 이 루어진 나사부로 구성되어 있다. 15∼20 kg의 네 마리 황견을 이용해 좌측 개흉술 후 하행 대동맥에 본 장 치를 장착한 후 때월 후 장치의 조절에 따르는 혈압의 변화에 대한 검사를 하였다. 검사 후 실험동물을 희생시켜 장치를 포항한 대동맥의 병리 조직 검사를 시행하였다. 조절기의 나사부를 회전시키므로서 혈관 에 장착된 조절기의 직경과 원주가 정확하고 용이하게 조절되었다. 조절기의 조절에 따라 측정한 혈압 변 화에서 혈압이 조절기의 회전수에 선형 증감을 나타냈다. 폐동맥 혈류 조절기의 장착이 용이하고 쉽게 조 절 가능하므로 이를 장차 임상에 적용시켜 보다 향상되길 기대한다.

  • PDF

소아에서 폐동맥밴딩술후의 개심술 치료 (Open Heart Surgery after Pulmonary Artery Banding in Children)

  • 김근직;천종록;이응배;전상훈;장봉현;이종태;김규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9호
    • /
    • pp.781-789
    • /
    • 1999
  • 배경 및 목적: 폐동맥밴딩술(pulmonary artery banding)은 폐동맥밴딩에 따른 합병증과 2차 수술시의 사망률에 있어서 상당한 위험부담을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동맥밴딩술후에 시행되는 2차 수술의 위험부담을 알아보기 위해서 이전에 폐동맥밴딩술을 받았던 소아에게 시행된 2차 완전교정술의 성적을 조사하였다. 방법: 이전에 폐동맥밴딩술을 받았던 환아들중 1988년 5월부터 1997년 6월사이에 개심술에 의한 2차 완전교정술을 받았던 29례의 소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은 생후 2개월에서 45개월까지 였다(평균 20.6$\pm$9.0개월). 이들중 27례는 기왕의 폐동맥밴딩술후에 심부전 증상이 호전되었던 예들이었고(정기 수술군), 2례는 그렇지 못하여 조기에 2차 수술을 시행해야 했었다(조기 수술군). 술전 진단명은 양대혈관우심실기시가 2례(양대혈관우심실기시군), 심실중격결손이 주병변이었던 경우가 27례(심실중격결손군)였었다. 결과: 폐동맥밴딩술후 2차 완전교정술 시행까지의 기간은 5일부터 45개월까지로 평균 15.5$\pm$8.7개월이었다. 수술방법은 양대혈관우심실기시 2례중 1례에서는 심실내 턴넬교정법이, 1례에서는 수정 Glenn수술이 시술되었고, 심실중격결손군에서는 전례에서 심실중격결손의 첨포봉합을 함과 아울러 누두부근육절제술 4례 및 형성부전성 폐동맥판막의 판막절제술 1례가 추가시행되었다. 2차 완전교정술시에, 18례에서는 폐동맥밴딩으로 인해 초래된 협착을 해소하기 위해서 폐동맥패취성형술을 시행하였고, 1례에서는 수정 Glenn수술을 위해 주폐동맥을 근위부에서 완전결찰하였다. 2차 완전교정술에 따른 병원사망률은 17.2%(5례)였는데, 사망원인으로는 저심박출 4례 및 자가면역 출혈성 빈혈 1례가 있었다. 본 연구에 있어서, 양대혈관우심실기시군(2례)과 조기 2차 수술군(2례)은 높은 병원사망률을 나타내는 위험인자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만기사망 1례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이전에 폐동맥밴딩술을 받았던 소아에게 2차 완전교정술을 시행했던 결과는 폐동맥밴딩에 따른 후천적 병변을 함께 교정해야 하는 어려움에 기인하여 술후 이병률과 조기 수술사망률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가능하면, 단순 심실중격결손에 있어서는 1차 완전교정술이 요망된다.

  • PDF